-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19/12/02 11:19:57 |
Name | 원영사랑 |
Subject | 한국어 발음 질문 |
옆동네에서 한국인이면 제대로 발음만 하면 2랑 e 발음 기호가 달라서 구분 가능하다고 파이어난 글보고 문득 생각난건데요. ‘ㅔ’ 와 ‘ㅐ 발음 구분 가능하신가요? 저는 2와 e도 구분 안되고 ㅐㅔ도 구분이 안 됩니다. 보통은 특정 단어에서 ㅏ +ㅣ를 사용하고 ㅓ +ㅣ를 사용하는지 알고 있어서 구분하여 사용할뿐이지 처음 듣는 지명이나 단어, 이름등에서는 발음으로는 구분이 안되서 아이인지 어이인지 되묻게 되더라구요.(콜센터에서 근무할때 정말 많이 물었습니다.) 애초에 ㅔ와 ㅐ가 발음 차이가 모호하니까 베개가 맞느냐 베게가 맞느냐 논란이 생긴거라고 생각하지만 아마도 제 생각보다 자신있게 이 정도 발음 구분은 충분히 가능하고 본인은 명확하게 구분해서 사용한다는 분들이 있을것 같아서 묻습니다. 1. ㅔ와 ㅐ 발음 구분은 충분히 가능한가? 2. e와 2의 발음 구분 충분히 가능한가? 저는 둘 다 구분 못해요. ㅠㅠㅠㅠㅠ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원영사랑님의 최근 게시물
|
ㅒ와 ㅔ는 분명히 다른 발음이고, 다르게 말하고, 구별하여 듣습니다.
다만 제대로 구별안하고 발음하는 사람들이 있을 뿐이죠.
영어 발음기호에도 ae 와 e가 분명히 구분되어 있습니다.
다만 제대로 구별안하고 발음하는 사람들이 있을 뿐이죠.
영어 발음기호에도 ae 와 e가 분명히 구분되어 있습니다.
1. 충분히 가능하지 않습니다. 현대 한국어 단모음 체계가 10모음 체계로 잡혀있기는 한데 현실적으로 'ㅐ/ㅔ' 가 구분이 잘 안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ㅐ와ㅔ를 하나로 보고], 'ㅟ/ㅚ'를 이중모음으로 빼서 7모음 체계를 주장하시는 교수님들도 계셨던 것으로 기억 합니다.
2. 사전을 찾아보니 e의 발음기호가 [iː] 인데 2의 발음기호 역시 [ 이ː ] 인 것을 보면 두 발음이 같다고 봐야하지 않나 싶긴 한데.. 더 자세한 건 다른 분이.. ( ..)
2. 사전을 찾아보니 e의 발음기호가 [iː] 인데 2의 발음기호 역시 [ 이ː ] 인 것을 보면 두 발음이 같다고 봐야하지 않나 싶긴 한데.. 더 자세한 건 다른 분이.. ( ..)
원래 발음이 다른거랑 편의때문에 생긴 버릇은 구분을 해야죠. 고유명사 알파벳 E랑 2는 둘다 이라고 읽고 이는 이하고 당연히 같은 발음입니다.
그러나 실생활에서 E는 이라고 안 읽고 엑센트를 주거나 살짝 뜨는 소리를 내서 굴리니까 구분이 되는거죠.
R도 마찬가지로 '알'어라고 읽어야 하고 알탕할때 '알'하고 완벽하게 같은 발음이지만 실생활에선 R은 굴려서 아ㄹ 이라고 읽으니까 구분이 되는거고 ㅋㅋ
그러나 실생활에서 E는 이라고 안 읽고 엑센트를 주거나 살짝 뜨는 소리를 내서 굴리니까 구분이 되는거죠.
R도 마찬가지로 '알'어라고 읽어야 하고 알탕할때 '알'하고 완벽하게 같은 발음이지만 실생활에선 R은 굴려서 아ㄹ 이라고 읽으니까 구분이 되는거고 ㅋㅋ
ㅐ와 ㅔ 소리는 쉽게 구별되지 않나요? 콜센터에서 구별하기 어려운 건 마주하지 않는 사람이 내는 소리가 전화선을 타고 오니 그렇겠지요.
많은 사람들이 구분하지 않고 사용하는 것은 맞습니다만, ㅔ와 ㅐ는 발음 자체가 다릅니다. 우리말 모음은 혀의 위치(앞뒤/위아래)로 구분되어지는데요, ㅐ는 혀가 아래로 빠져서 조음기관의 방해 없이 나오는 소리입니다. 이걸 열린 소리다 하여 반개(閉)모음으로 구분됩니다. 반면 ㅔ는 혀가 중간 앞쪽에 위치하여 방해를 받고 닫혀 있다 하여 반폐(閉)모음으로 구분되어 집니다.
쉽게 말해, ㅐ는 혀가 바닥에 닿아있고 ㅔ는 닿아있지 않지요.
예로 "제 재주는 제주에서 배웠습니다" 를 발음해보시면서 느껴보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론적으로는 ㅔ와 ㅐ의 차이를 알고, 의식해서 발음하면 구분해서 발음할 수도 있지만 그냥 “ㅐ”, “ㅔ” 하고 들려주면 구분할 자신은 없습니다. 영어에서는 비슷한 발음을 (예컨대 bet bat) 듣고 구분하는 게 좀 더 잘 되긴 합니다만... 말할 때도 굳이 신경써서 다르게 발음하진 않는 것 같습니다. 보통 힘빠진 ㅔ로 발음하겠죠 아마.
추가로 성문파열음은 스스로 알고 적극적으로(?) 써먹기도 하고 들어서 구분도 잘 합니다(1-일 등. 문제는 성문파열음 들어가는 게 ‘일’인지 1인지 좀 헷갈린다는 ㅎㅎ;)
번외로 장단음은 제:(제1, 제2) 정도 말고는 ‘배운거’ 기억도 안 나고 신경도 안 씁니다. 말할 때도 들을 때도요. 틀린 경우에 굳이 신경써서 듣는다면 ‘말투가 어색하다’ 정도로 느끼고 끝일 것 같네요.
추가로 성문파열음은 스스로 알고 적극적으로(?) 써먹기도 하고 들어서 구분도 잘 합니다(1-일 등. 문제는 성문파열음 들어가는 게 ‘일’인지 1인지 좀 헷갈린다는 ㅎㅎ;)
번외로 장단음은 제:(제1, 제2) 정도 말고는 ‘배운거’ 기억도 안 나고 신경도 안 씁니다. 말할 때도 들을 때도요. 틀린 경우에 굳이 신경써서 듣는다면 ‘말투가 어색하다’ 정도로 느끼고 끝일 것 같네요.
외국인을 상대로한 한국어교육 안에서는 ㅔ 와 ㅐ는 같은 발음이라고 가르칩니다. 유의미한 발음 차이가 없어요. 외. 왜. 웨 도 마찬가지로 같은 발음이라고 가르칩니다. 문장의 문맥 안에서 구분하라고 하죠. 예를 들면 게. 개. 와 같이요.
현대 한국어 화자가 특별히 의식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발화할 때에는 ㅐ와 ㅔ를 구별하지 않는다고 보는 쪽이 정설인 것으로 알고 있어요. 스스로는 구별한다고 말하는 사람들도 자연스럽게 발음하는 것을 음성학적으로 분석해 보면 통합해서 발음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거든요. 중세 국어 시기 ㅔ는 ㅓㅣ[əj], ㅐ는 ㅏㅣ[aj]의 이중모음이었고(문자가 저러한 형태로 만들어진 이유이지요), 18~19세기 즈음 ㅔ는 전설 비원순 중고모음 [e], ㅐ는 전설 비원순 중저모음 [ɛ]... 더 보기
현대 한국어 화자가 특별히 의식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발화할 때에는 ㅐ와 ㅔ를 구별하지 않는다고 보는 쪽이 정설인 것으로 알고 있어요. 스스로는 구별한다고 말하는 사람들도 자연스럽게 발음하는 것을 음성학적으로 분석해 보면 통합해서 발음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거든요. 중세 국어 시기 ㅔ는 ㅓㅣ[əj], ㅐ는 ㅏㅣ[aj]의 이중모음이었고(문자가 저러한 형태로 만들어진 이유이지요), 18~19세기 즈음 ㅔ는 전설 비원순 중고모음 [e], ㅐ는 전설 비원순 중저모음 [ɛ]로 단모음화되었는데, 현대 한국어에서는 ㅔ와 ㅐ가 둘 다 전설 비원순 중모음 [e̞]로 통합된(또는 되어가는) 것으로 봅니다. 이처럼 표기는 고착되어 있는데 발음이 표기보다 빠르게 변화하는 것은 언어학적으로 보편적인 현상이며(대표적인 예로 대모음 추이 https://en.wikipedia.org/wiki/Great_Vowel_Shift 가 있지요) 우리가 여전히 ㅔ랑 ㅐ를 구별한다고 느끼는 것은 서로 다른 문자 표기나 해당 단어의 형태에 대한 지식에 이끌려 의식적으로 발음할(또는 발음한다고 스스로 생각할) 때뿐이라고 보아도 무방할 거예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