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0/02/24 15:50:00
Name   한신
Subject   30대 중반 코딩 배워서 관련 진로로 가는것 어떤가요?

특별한 경력도 없이 고시생활을 오래하다가 어느덧 30대도 몇 해 넘겨버렸습니다.

근데 시장에 나와보니 정~~말 경쟁력 없더라구요.


그러다가 코딩학원의 존재를 알게됐는데, 코딩이라는게 컴퓨터 언어라는것만 알지 문과졸업후 공대쪽 지식은 아무것도 없습니다.

찾아본 학원은 '코드스테이츠'라는 곳인데, 보니까 코딩교육 (6~8개월)후 취업까지 시켜주는 학원이더라구요.
뭐라도 해보자는 심정으로 등록을 고민중인데 이쪽 경험이 전혀 없다보니 현직자분들 계시면 조언을 좀 구하고 싶습니다.

1. 이 학원말대로 일반인이 6~8개월 배워서 취업이 가능한가요? 한마디로 1인분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2. 향후 진로를 전혀 모르겠습니다. 앱, 홈페이지 개발을 한다 뭐 이런건 이해가 되는데 그래서 회사에 가면 무슨 일을 하는건지, 커리어는 어떤식으로 나가게 되는지도 모르겠고요. 업계의 페이나 워라밸도 전혀 몰라요.

3. 친구말로는 문과적 감성(기획이 되는) + 코딩을 안다는게 꽤 강점이 될거라고 꼬시는데, 이게 가당키나 한소린지 잘 모르겠어요. 이미 업계에 그런 기획되면서 코딩실력도 갖추신 분들이 많지 않을까 싶은데...

주변에 어디 물어볼곳도 없고 답답하네요 ㅠㅠ 으휴 이 나이 되도록 뭐했나 질책해주시면서 현실적이고 냉정한 조언 부탁드립니다!
(열심히 할 자신은 있어요 흑흑)



1


맥주만땅
문제는 적성과 체력입니다.

일 좀 할만하면 40대인데..... 그 때가 되면 체력이....
우선 답변감사드립니다. 체력은 그렇다하고, 적성이라는건 어떤 항목(?)이 필요할까요. 쌩초짜도 지금 배워도 무리는 없다는 말씀이신가요?
맥주만땅
꼼꼼함과 생산력이겠지요.
컴퓨터 하드웨어에 관심이 있어서 조립을 직접 하신다던가, 뭔가 프로그램에 원하는 옵션이나 기능이 있을거 같아서 검색으로 찾아보고 직접 해결하고 주변에 아는 사람들이 컴퓨터 관련 질문들을 해올 때 이케저케 하라고 알려 줄 수 있는 정도면 적성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영어 문서를 잘 읽는지도 적성과 크게 관계됩니다.
와우.. 놀랍게도 두개다 저와 거리가 먼 이야기네요 흐흐
2020禁유튜브
저도 java 배우고 있는데....적성은 충분하군요 ㅋㅋㅋ
컴퓨터랑 친하다면 8개월쯤 후 쥬니어 1인분이 가능하긴 합니다. 근데 낮은 페이와 높은 근무강도를 견뎌야 하구요. 그렇게 3년 이상 근무하면서 실력이 늘면 업계에 계속 남아있을 수 있겠으나 절반이상은 이 쪽은 아니구나 하고 돌아갑니다. 적성이 맞아야 합니다.

저도 20년 전에 그렇게 학원에서 배운 지식으로 시작했었습니다. 다만 30대에 시작하는건 어떤 느낌일지 잘 모르겠습니다.

3은 갖다붙인 얘기라고 생각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아무도 그걸 장점이라고 생각하지 않을 것 같아요.
답변감사해요. 일이 고되고 힘들군요. 흑흑. 안 그런일이 어디있겠습니까만...
가장 필요한 적성은 어떤게 있을까요? 끈기인가요?
위에 댓글 달아봤습니다
다람쥐
컴퓨터와 웹, IT 전반에 대한 직관적인 이해와 관심인 것 같습니다
안드로이드 기반과 ios는 이렇게 다르구나
익플은 이렇구나 크롬은 저렇구나
이런거요
제생각엔 30대 중반은 쉽지 않은 것 같아요 40대면 코딩 하시던 분들이 많이들 관리자로 옮겨가시더군요
그러니까 그 나이면 팀장급이 되어야한다는거져.....
그쵸. 근데 사실 제 나이에 어딜 신입으로 가도 마찬가지긴 하더라구요. 그나마 비벼볼곳이 공무원인데 공부하는건 이제 질려버렸고.
공기업은 나이를 안본다 이런말이 있던데 이것도 실제 면접에 가면 경력사항이나 이런 부분에 대해서 물어본다곤 하더라구요.
다람쥐
공기업은 시험 잘보면 가능성 있는것 같습니다 모쪼록 건승을 바랍니다!!!
답변감사합니다 ^^
3번은 이상한 이야기입니다.
30대 중반은 현실적으로 이야기드리자면 뭔가를 시작하기엔 늦은 편인데 이 바닥은 실력만 있으면 되는 판이니 아직 모르죠.
뻔한 이야기같지만 적성이 중요합니다
1
적성이라는게 일단 해보지 않으면 모르는거 같아서 일단 학원 등록하고 맛을 한번 보긴해야겠습니다. 답변감사합니다
참 취업을 시켜주는 부분은 학원에서 할 수 없는 부분입니다.
모든 학원들이 알선을 해준다고는 하지만... 결국 그 부분은 본인이 해결한다(지원서 내고 면접 봐서 뚫어낸다)라고 생각하시는게 좋겠습니다.
30줄에 코드스테이츠 같은 교육기관보다는 안좋은 국비교육과정으로 들어와서 2년차 웹개발자로 일하고 있습니다.

1. 6~8개월에 가능하지만 정말 공부를 열심히 해야하고, 이 기간동안 한가지 공부를 그렇게 할 수 있다면 사실 저는 다른 어지간한 직업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2. 냉정하게 6~8개월 교육 아웃풋들의 8~9할은 2400만원~600만원에 형성된 초급 SI 업체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파견사원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심지어 이것마저 못가기도 하고, 교육 아웃풋의 5할 이상은 개발자가 되는 것에 실패한다고 생각합니... 더 보기
30줄에 코드스테이츠 같은 교육기관보다는 안좋은 국비교육과정으로 들어와서 2년차 웹개발자로 일하고 있습니다.

1. 6~8개월에 가능하지만 정말 공부를 열심히 해야하고, 이 기간동안 한가지 공부를 그렇게 할 수 있다면 사실 저는 다른 어지간한 직업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2. 냉정하게 6~8개월 교육 아웃풋들의 8~9할은 2400만원~600만원에 형성된 초급 SI 업체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파견사원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심지어 이것마저 못가기도 하고, 교육 아웃풋의 5할 이상은 개발자가 되는 것에 실패한다고 생각합니다. 해당 교육 커리큘럼의 아웃풋이 상당히 뛰어나다면 좀 더 나은 대우를 해주는 업체를 갈 가능성은 있습니다. 그러나 커리큘럼이 아무리 뛰어나도 결국 소화는 자기 몫입니다. 워라벨은 좋지 않은 편이지만, 3~5년 이상의 경력이 생기며 동년배보다 뛰어난 실력과 경험이 있다면 높은 페이나 워라벨 둘 중 하나는 성취할 수 있는 직종입니다. 결과적으로, 6~8개월 배워서 직업을 얻는 시점에서 공부가 끝나지 않고 훨씬 더 많은 공부가 기다리고 있습니다.

3.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한 개발자라는 직책은 매력있는 것이지만 그게 개발 실력보다 앞서지는 않습니다. 개발 능력이 뒷받침 되는 상황에서 문과전공자 특유의 협업태도나 커뮤니케이션의 능동성을 기대하는 거지 일단 개발 능력이 베이스가 되어야합니다.


P.S

개인적으로 추천하지 않습니다. 30중반이면 늦었다고 생각하고요. 30중반에 시작해서 이 일로 커리어를 쌓으시려면 그냥 40까지는 인생 반납하고 일과 공부만 하신다고 생각해야합니다. 사실 이 업계가 세부 파트마다 다르지만 잘하는 인력에 대한 수요는 늘 있는 반면 신입의 문턱이 낮지 않고, 신입이 잘 하는 중견으로 발전하는 비율도 높지 않습니다. 게다가 최근 대두되는 AI, 빅데이터와 같은 부분이 아니라면 기존 웹/앱개발 시장의 잡은 많은 부분이 통합되고 있는데, 이는 기술의 발전이 같이 엮여서 그렇습니다. 즉, 과거보다 1인 개발자가 다룰 수 있는 지식과 역량의 넓이가 넓어졌고, 그래서 더 공부하기 힘듭니다.

적성이나 재미를 물어보는 이유는, 업무중에 잘, 열심히 하려고 하는건 기본이고 업무 외 시간에도 끊임없이 훈련과 습득을 해야하는 직업이라 그렇습니다. 게다가 대부분의 좋은 잡은 컴퓨터사이언스의 학부전공수준에 대한 기반지식을 함께 요구하기 때문에, 비전공자는 일을 하고 실무기술을 습득하면서 공학과정을 따로 더 공부해야합니다. 게다가 자신이 일하는 분야에 대한 도메인지식도 최근에는 요구받고 있고.. 이런 상황에서 재미나 적성, 재능이 없으면 지속하기 어렵습니다.

영어를 잘하면 무척 좋고, 꼼꼼함과 끈기는 당연하고, 여러가지 세상의 다양한 문제들에 대해 추상적으로 생각하여 추상화시키고 문제를 해결하는 생각을 많이 해 본 사람이 유리합니다. 수학 잘하면 좋고요. 컴퓨터에 흥미가 있는것도 좋습니다. 하지만 무엇보다, 이 일의 대부분은 지루하고 반복적이며 꼼꼼해야 하는 시간을 필요로 합니다. 그 시간들을 겪고 마무리 하는게 즐겁지 않다면 다른 직업이 낫습니다.


저는 이쪽 공부를 시작하려는 사람들에게 늘 해보라고 하는게 생활코딩의 웹어플리케이션 만들기나 노마드코더(유투브)의 무료 카피코딩을 처음부터 끝까지 따라해보라고합니다. 이해가 안되어도 좋고 뭔 소린지 모를 수도 있지만 그냥 끝까지 해보라고 해요. 이걸 끝까지 쭉 하는 과정이 즐겁고 재밌고, 노는 시간을 아끼고 싶어지면 저는 그게 적성이라고 생각합니다. 근데 이것이 다른 재밌는 일들에 밀린다면 30중반에 도전하라고 말씀드리고 싶진 않습니다. 한번 2주에서 한달정도 쭉 따라서 해보세요. 돈 안들이고 최소한의 적성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겁니다.
9
원하는 답변을 대부분 얻었습니다. 조언 감사합니다.
맨 아래 문단은 답변 다신후에 추가했습니다
파란아게하
고고씽 예!!!!!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658 연애친구와 애인, 사랑에 대한 궁금증 32 해유 19/08/16 10490 1
7659 의료/건강시험공포증을 치료하고 싶습니다. 9 [익명] 19/08/16 2783 1
7707 의료/건강아파트에 귀뚜라미.. 56 문학소녀 19/08/21 13284 1
7738 기타전통주 추천 부탁드려요 33 naru 19/08/26 5369 1
7739 IT/컴퓨터보조배터리 추천 부탁드립니다. 8 전설따조 19/08/26 4292 1
7748 기타누가 제 차를 박았습니다. 4 김치찌개 19/08/27 3387 1
7760 IT/컴퓨터동영상통화 또는 AR로 보면서 지원(도움)할 수 있는 앱 2 리오니크 19/08/28 3227 1
7783 경제에어프라이어 추천 부탁드립니다 10 헬리제의우울 19/09/01 4263 1
7872 체육/스포츠자전거 헬멧 추천해주세요 naru 19/09/16 4008 1
7875 기타사람을 만나고 싶은데 방법을 모르겠습니다. 28 kaestro 19/09/17 4085 1
7891 진로30후반 40초반, 새로운 일(직업)을 하고 싶어요. 16 [익명] 19/09/19 4317 1
7916 법률공수처가 대체 어떤 기관인가요? 8 원영사랑 19/09/24 3934 1
7918 기타한 사람에게 매년 선물할 경우 선물 리스트 어케하시나요 17 알료사 19/09/24 4826 1
7983 교육문제풀이 반타작 탈출하려면.. 11 셀레네 19/10/05 5336 1
7992 기타충격적으로 좋은 책 없을까요? 28 안유진 19/10/07 3454 1
7995 여행인도네시아 여행 잘 아시는분 계세요?? 9 유니 19/10/07 3507 1
8008 의료/건강인간 관계에서 상처를 쉽게 받는 사람을 위한 도움 요청 합니다 11 흥차넷 19/10/10 3986 1
8048 여행경기도쪽에 가족 주말 나들이 할만한 곳 추천해주세요! 10 쉬군 19/10/15 3818 1
8053 의료/건강환자 동의시 각 병원에서 의무기록 열람 14 tannenbaum 19/10/16 4721 1
8184 기타연봉과 Amount... 51 비니 19/11/04 4250 1
8089 기타자차보험을 통한 자동차 수리 절차 7 Aesop 19/10/22 6313 1
8096 기타영어 도움 요청 7 흥차넷 19/10/24 3929 1
8106 기타야간주거침입 미수 질문 10 Moocow 19/10/25 3714 1
8149 문화/예술이어폰, 헤드폰 커뮤니티는 어디를 가야하나요 5 흥차넷 19/10/30 6000 1
8153 홍차넷물만두의 최강자 or 후보는 어떤 녀석들인가요? 21 naru 19/10/30 4584 1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