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20/12/06 12:01:54
Name   사악군
Subject   판결을 다루는 언론비판 ㅡ 이게 같은 사건인가?
대법 "강간당한 뒤 `괜찮다' 말했다고 성관계 동의 아냐"
출처 : 연합뉴스 | 네이버
- http://naver.me/5lopJzbG

이런 기사를 보았습니다. 저는 발끈했지요.

ㅡㅡ
A씨는 B양이 성관계를 한 뒤 "괜찮다"고 여러 번 답한 점, B씨를 집까지 데려다주고 집 앞에서 서로 키스를 한 점을 근거로 자발적인 성관계였다고 주장했다.

고등군사법원은 A씨 측의 주장을 대부분 받아들여 무죄를 선고했다. 재판부는 B양이 대부분 상황을 잘 기억하면서 성관계가 어떻게 시작됐는지에 대해서만 기억을 하지 못하는 점을 지적하며 진술에 모순이 있다고 지적했다.

~

재판부는 "성폭행 피해자의 대처 양상은 피해자의 성격이나 가해자와의 관계,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밖에 없다"고 판시했다.
ㅡㅡ

또 그 놈의 성인지감수성인가? 아니 같이 술자리하다가 성관계하고 여러번 괜찮다하고 집 바래다주면서 합의하 키스까지 했으면 이건 애정관계에 의한 것 아닌가? 이런것도 강간이라고? 하고 화가 났죠.

그런데 위 사건의 다른 기사를 보게 되었습니다.

대법 “알몸상태 성폭행 피해자 재차 성폭행한 가해자에 무죄선고는 잘못”
http://naver.me/GeYHcOjm

ㅡㅡ

당시 자리에는 최모씨 등 지인 2명이 더 있었고 시간은 흘러 그들은 모두 만취 상태가 됐다. 우선 최모씨가 만취해 화장실에 들어간 A양을 성폭행했다.

이후 최씨가 화장실에서 나오자 김씨는 성폭행당한 후 알몸 상태로 있던 A양을 재차 성폭행했다.

김씨는 검찰에 ‘용변이 마려워 화장실에 들어갔다’고 진술했는데 김씨가 화장실에 알몸으로 있는 피해자에게 괜찮은지 물어본 후 호감이 있다고 하면서도 성행위를 해도 되는지 동의를 구했다는 것은 진술 내용 자체로도 모순된다”고 지적했다.

ㅡㅡ

아니..어떻게 이 두 기사가 같은 사건판결에 대한 기사일 수가 있습니까? 우선 피해자가 구토를 할 정도로 만취해있었고, 첫번째 강간이 있었고 두번째 강간이 있었으며, 괜찮다는 말을 들을 당시 피해자의 상태가 알몸이었는데 이게 정상적인 동의나 양해가 아니라는 점을 당연히 인식할 수 있는 상태잖아요. 진짜 이런게 무죄 판결이 났었다니 군사법원의 시계는 20년전쯤 되는 모양입니다?

첫 기사에 낚인 것에 대한 불쾌감이 강렬히 다가옵니다.

'이 사건에서' 대법원은 왜 피해자의 진술을 신뢰했는지
피해자가 왜 성관계의 시작에 대해 기억이 명확하지 않은지 납득할만한 판시를 했습니다. 결코 그냥 '피해자의 대응은 다 다르다능'이라는 무성의한 유죄추정으로 퉁친게 아니고,
피해자의 이후 대응이 진의/정상적인 의사표시가 아님을
알 수 있는 사정들을 설시하고 원심을 파기한겁니다.

연합뉴스의 첫 기사는 대체 이게 같은 사건판결에 대한
가사라 할 수 있는지 눈을 의심케 합니다.
아니 첫 성폭행의 존재와 피해자가 알몸이었다는
정보를 생략(?)하면 이게 정리입니까? 조작이지.

대법원의 성인지감수성 언급 판례와 성범죄유죄추정 관행에
극도록 거부감을 가지는 저이지만 그럴수록 옥석을 가려야
정상상태로 회복할 수 있습니다.

말마따나 제가 억울한 무고를 많이 봤다한들 그 비율은 5퍼
미만이죠. 제가 한 200건 정도의 성범죄 사건을 다뤄봤는데
3건의 확실한 무고, 3건의 강한 의심, 4건의 의심 정도의 빈도가 있었죠. 나머지 190건은 거의 대부분 유죄가 의심되지 않는거고요. 성범죄 피해자들에겐 강한 보호가 필요합니다. 문제는 그 보호가 피고인의 방어권을 무력화해서는 안된다는거죠. 외부 정보 통제 강화야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지만 수사, 재판과정에서의 신빙성 검증 탄핵을 막는건 제대로 된 방향이 아닙니다. 피해자들을 위해서도 말이죠.

문제는 무고를 '걸러낼 수 있는데 걸러내지 않는' 시스템이죠. 언제나 옥석은 가려야만하는겁니다. 그걸 안가리는게 악이죠. 강간이든 무고든 충실히 가려내는 시스템을 만들어야지 뭐 하나는 풀어주고 뭐 하나는 조이고 그러는건 어느 방향이든 틀린겁니다.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0-12-22 21:16)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16


    기사를 읽고 바로 입장을 정하지 않아야 할 이유를 보여주는 사례 같습니다.
    그래서 판결문 보기 전까지는 판단유보라는 말이 괜히 나오는게 아니군요
    샨르우르파
    1. 욕먹는 판결은 기레기들이 전후문맥을 빠뜨려서 생긴 오해가 절대다수죠. 그런 면에서 판결기사는 법률신문이 좋습니다. 법조전문지라 그런지, 판결문 내용을 바탕으로 육하원칙에 맞게 되게 잘 정리해놨어요. 로톡뉴스는 법조계의 위키트리 인사이트 허핑턴같은 느낌이고...

    2. 말마따나 제가 억울한 무고를 많이 봤다한들 그 비율은 5퍼
    미만이죠. 제가 한 200건 정도의 성범죄 사건을 다뤄봤는데
    3건의 확실한 무고, 3건의 강한 의심, 4건의 의심 정도의 빈도가 있었죠. 나머지 190건은 거의 대부분 유죄가 의심되지 않는거고요. ... 더 보기
    1. 욕먹는 판결은 기레기들이 전후문맥을 빠뜨려서 생긴 오해가 절대다수죠. 그런 면에서 판결기사는 법률신문이 좋습니다. 법조전문지라 그런지, 판결문 내용을 바탕으로 육하원칙에 맞게 되게 잘 정리해놨어요. 로톡뉴스는 법조계의 위키트리 인사이트 허핑턴같은 느낌이고...

    2. 말마따나 제가 억울한 무고를 많이 봤다한들 그 비율은 5퍼
    미만이죠. 제가 한 200건 정도의 성범죄 사건을 다뤄봤는데
    3건의 확실한 무고, 3건의 강한 의심, 4건의 의심 정도의 빈도가 있었죠. 나머지 190건은 거의 대부분 유죄가 의심되지 않는거고요.
    ========================================
    성범죄 무고는 심각한 문제고, 성인지 감수성에도 회의적인 제가 보기에도 요즘 인터넷 분위기는 과장된게 많죠.
    마카오톡
    애매한 사건으로 보이네요 그래서 1,2심과 대법의 판결이 다른거 같습니다.
    남자가 강간에 해당할만한 행동을 하지 않아서 준강간에 대해서 이야기 했던거 같은데
    술에 취해서 정신을 잃은게 아니고 여자분은 속칭 필름 끊겼다는 상태였던거같습니다.
    그러니깐 집에도 가고 집앞에서도 키스도 하고 그러죠.
    하급심에서는 필름에 끊겨서 준강간 상태라고 하는데 불리한 기억은 필름이 끊겨있고 유리한 기억은 진술하므로
    너 정말 블랙아웃이 맞냐 라며 블랙아웃상태임을 인정해주지 않아서 준강간이 성립안한거같네요.
    대법원에서는 블랙아웃이 아니라도 성폭행당한뒤의 여성으로서 항거불능 상태에 놓였음을 인정했다는거같고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62 정치/사회섹슈얼리티 시리즈 (10) - 성노동에는 기쁨이 없는가? 35 소요 21/02/21 5942 18
    1061 정치/사회일용근로자 월가동일수 기준 축소에 반대한다 7 주식하는 제로스 21/02/16 5210 19
    1052 정치/사회건설사는 무슨 일을 하는가? 13 leiru 21/01/13 5241 16
    1051 정치/사회미국의 저소득층 보조, 복지 프로그램 칼웍스 5 풀잎 21/01/13 5150 8
    1046 정치/사회만국의 척척석사여 기운내라 15 아침커피 20/12/29 6358 35
    1042 정치/사회편향이 곧 정치 20 거소 20/12/23 5867 34
    1036 정치/사회판결을 다루는 언론비판 ㅡ 이게 같은 사건인가? 4 사악군 20/12/06 4789 16
    1029 정치/사회현 시대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_ 관심에 대해서 9 Edge 20/11/09 4784 10
    1026 정치/사회툰베리가 당신의 변명을 들었습니다. 툰베리:흠, 그래서요? 34 코리몬테아스 20/11/03 6697 18
    1024 정치/사회공격적 현실주의자 Stephen M. Walt 교수가 바이든을 공개 지지하다. 6 열린음악회 20/10/29 4887 13
    999 정치/사회섹슈얼리티 시리즈 (7) - 마이 리틀 섹시 포니 28 호라타래 20/08/18 7661 25
    974 정치/사회섹슈얼리티 시리즈 (6) - 좋거나, 나쁘거나, 미운 폴리아모리 33 호라타래 20/06/23 6331 12
    971 정치/사회그냥 이야기 12 Schweigen 20/06/16 4875 24
    968 정치/사회미국 제2의 독립기념일과 트럼프 - saying the quiet part out loud 8 다시갑시다 20/06/12 5335 15
    952 정치/사회[번역-뉴욕타임스] 삼성에 대한 외로운 싸움 6 자공진 20/04/22 5898 25
    944 정치/사회해군장관대행의 발언 유출 - 코로나 항모 함장이 해고된 이유. 4 코리몬테아스 20/04/07 6009 11
    942 정치/사회[데이빋 런시만] 코로나바이러스는 권력의 본성을 드러냈다. 10 기아트윈스 20/04/02 6526 22
    939 정치/사회가속주의: 전세계의 백인 지상주의자들을 고무하는 모호한 사상 - 기술자본주의적 철학은 어떻게 살인에 대한 정당화로 변형되었는가. 18 구밀복검 20/03/24 8048 23
    938 정치/사회섹슈얼리티 시리즈 (4) - 젠더는 BDSM 속에서 작동하나요? 6 호라타래 20/03/23 5565 13
    932 정치/사회빌게이츠의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NEJM 기고문 (시론) 16 Zel 20/03/11 5961 13
    930 정치/사회섹슈얼리티 시리즈 (1) - 성인물 감상은 여성들에게 어떤 이득을 주는가? 28 호라타래 20/03/06 7304 20
    924 정치/사회봉준호 감독 통역을 맡은 최성재(Sharon Choi)씨를 보면서 한 영어 '능통자'에 대한 생각 31 이그나티우스 20/02/19 7694 23
    902 정치/사회역사적 유물론과 행위자 연결망 이론(2) - 역사적 유물론과 홍차넷...? 9 호라타래 19/12/23 4760 6
    890 정치/사회셰일가스는 미국의 전략을 근본적으로 변경시켰나? 6 술탄오브더디스코 19/11/22 5509 13
    863 정치/사회'우리 학교는 진짜 크다': 인도의 한 학교와 교과서 속 학교의 괴리 2 호라타래 19/09/23 6233 11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