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20/12/29 19:13:33
Name   아침커피
Link #1   https://crmn.tistory.com/125
Subject   만국의 척척석사여 기운내라
또 유명인의 대학원 졸업 논문 표절 논란이 터졌다. 말이 논란이지 지금까지 나온 내용만 보더라도 다른 사람 논문을 복사 및 붙여넣기 한 것이 확실해 보인다. 올해 들어서만 벌써 몇 번째인지. 특정인에 대해서가 아니라, 이 사회에 팽배한 이 현상에 대해 짧게 이야기를 해 보고 싶다.

이런 기사를 볼 때마다 씁쓸해진다. 누군가는 그렇게 편하게 석사, 박사를 땄겠지. 그렇게 전문가 칭호를 얻어서 엉터리 지식으로 책을 쓰고 TV활동을 해서 명예를 얻고 엄청난 수입을 올린다. 그러다가 한참 나중에 논문 표절 논란이 일어나면 자숙하겠다고 하며 방송 활동 잠시 중단. 이미 일반인들이 평생 벌어도 못 벌 돈을 번 후다. 공소시효가 이미 지나서 아무런 처벌도 받지 않는 것은 덤.

나는 석사를 3년 했다. 2년차에 이미 거의 다 써 놓았던 졸업논문이었지만 무슨 방망이 깎던 노인마냥 졸업논문 다듬는 데에만 1년이 더 걸렸다. 지도교수님은 석사라고 봐 주는 법이 없으셨다. 그렇게 평생 아무도 읽지 않을 석사논문을 쓰느라 밤을 새고 문헌조사를 하고 실험을 돌리고 몸을 버리고 목디스크를 얻고 나이를 먹었다.

한 다리 건너 누군가는 실력 좋은 포닥에게 돈을 주고 석사 논문을 대필했다는 이야기도 들었다. 또 어떤 포닥이 써서 유명 학회에 뽑힌 논문은 아무리 재현하려 해 봐도 그 수치가 안 나왔다는 이야기도 들었다. 뭐 멀리서 찾을 필요도 없이, 올해 한국에서만도 유명인의 석사, 박사 논문 표절 사건이 얼마나 많이 터졌나.

임재범 말을 흉내내보고 싶다. "내가 만일 쓸쓸하고 외로울때면 누가 나를 위로해주지? 그건 바로 여러분." 아쉽게도 한국 사회는 그렇지 않아 보인다. 논문을 표절한 유명인의 인스타그램에는 힘내세요, 화이팅입니다가 엄청나게 달려 있다. 내 마음을 가장 아프게 하는 것은 "다 관례적으로 그렇게 하던거 아니에요? 그게 뭐가 큰 문제에요?" 라는 댓글들이다.

예전같으면 화가 났을텐데 이젠 그냥 우울해진다. 요즘은 요령없이 살고 바보같이 석사 논문 정직하게 쓰겠다고 고생한 내가 바보인건가 하는 생각까지 든다. 이런게 뉴노멀이라는 건가 싶기도 하고. 그렇게 고생해서 석사를 딴 뒤 내 삶이 바뀐 것이 있다면 "척척석사" 라는 놀림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는 점이다. 너는 박사 안 했으니까 척척석사네. 아 여기 척척석사 오셨다. 척척석사님 한 말씀 해 주세요.

어제 성경 잠언을 읽는데 의롭게 살며 적게 버는 것이 불의하게 살며 많이 버는 것보다 낫다는 말이 있었다. 그래, 누군가는 표절로, 누군가는 대필과 수치 조작으로 학위를 따서 전문가 행세를 하는 동안 바보같이 척척석사로 사는 또다른 사람들이 있다. 잠언은 그런 척척석사들이 더 낫다고 하더라. 만국의 척척석사여 기운내라.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1-01-12 16:55)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35
  • 추천박고 갑니다 ㅠㅠ
  • 석사는 킹정이지.
  • ㅇㅈ합니다.


jnote0504
선생님 응원합니다. 그 사람들이 잠시 인기와 부를 얻었을 지언정 부끄럽게 인생을 마무리 할 수 밖에 없을 것입다.
척척석사라고 하면 왠지 진중권씨를 가리키는 고유명사 처럼 느껴집니다 ㅎㅎ
4
길고양이
척척석사! 업무중에 가끔가끔 riss 들어갈 일이 있는데 들어갈때마다 제 논문들 한번씩 검색해봅니다. 엨..이걸 누가봤어!? 이걸 누가 인용까지했어? 하고 말이죠 ㅋㅋㅋ
5
그저그런
"다 관례적으로 그렇게 하던거 아니에요? 그게 뭐가 큰 문제에요?" 같은 말 정말 기분 더럽죠.
자기편을 옹호하기 위해 불특정 다수를 깎아내리는거거든요. SCIE는 에세이라던가, 교수들 논문대필 다 하는거라던가.. 주옥같죠/
3
조지 포먼
옛날에는 관행이였는데 지금은 관행이여도 뚜까
욕 먹는거 보면은 정상적인 사회로 가고 있기도 하네 싶다가 진실을 계속 접할수록 우울해지고 무관심 해지는걸 느낄때마다 모르는게 약이다 라는게 맞는 말인거 같습니다.
부끄러운 석사학위논문을 갖고있지만 표절자와 같은 선에 놓이는 것을 부정할 정도의 가오는 있습니다
8
캡틴아메리카
석박통합한 나새기 칭찬!
3
Velma Kelly
저런거 하는 사람들은 인생의 어느 시점에서 양심을 홀라당 까먹고 들어가는 걸까요?
전 다른 사람 논문 참조하고 나서 문장 너무 비슷하게 안하려고 별별 똥꼬쇼를 했는데 (아무도 못알아차릴 정도였지만) 저런건 도저히 이해가 안되네요
맥주만땅
한국인으로서 영어로 똥꼬쇼할 때 드는 자괴감이...
1
마술사
저도 그랬네요. 저는 2년반 걸렸고 특히 영어로 석사논문 쓰는게 너무 힘들었어요...
1
관례적으로 하던 건 인용 기록 없이 딴 논문의 문장을 갖다 쓰는 정도였지 타 논문의 아이디어를 배끼는 건 아니었죠. 근데 요즘 표절이라고 나오는 논문은 아이디어 자체나 논문의 결론을 배끼는 거라서 과거의 관행이라고 보기엔 어려운 것 같습니다.
석사 통과받고 제출하기 위해 수정하고 있습니다.
반년동안 어렵게 썼고 내심 아쉬운 결과물을 얻었지만, 부끄러운 길을 걷지 않으려고 부단히 노력했습니다. 척척석사님들 파이팅
1
호라타래
전 지금 들여봐도 제 석사학위 논문이 좋아요 ㅋㅋ 자부심도 있고요.
Anthony's father
잘 읽었습니다. 분명히 의미 있는 시간을 보내신 것이라 생각합니다. 삶에서 가장 중요한 가치는 타인 다수의 인정이 아니라 본인의 진실성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사회적 기준에서 볼때, 양심에 맡겨, 묵묵하게 살아도 이득이 전혀 없을때가 있죠. 이럴때 사실 허무주의 안느끼는게 이상해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11 문화/예술여백이 없는 나라 13 아침커피 20/09/29 6557 36
991 문학사랑하는 법 26 아침커피 20/07/28 5837 36
812 일상/생각이방인 노숙자 7 멍청똑똑이 19/06/02 6347 36
582 과학국뽕론 44 기아트윈스 18/01/25 8125 36
539 일상/생각아주 작은 할아버지 20 소라게 17/11/03 6981 36
465 정치/사회홍차넷 20000플 업적달성 전기 89 파란아게하 17/07/04 8330 36
401 기타인간에 대한 예의를 지키지 않는 나라 15 烏鳳 17/03/28 7262 36
1405 일상/생각머리에 새똥을 맞아가지고. 12 집에 가는 제로스 24/08/02 2082 35
1400 정치/사회한국 언론은 어쩌다 이렇게 망가지게 되었나?(3) 26 삼유인생(삼유인생) 24/06/19 3351 35
1234 일상/생각우리는 조금씩 성장한다. 4 whenyouinRome... 22/09/05 4171 35
1144 일상/생각어느 유서깊은 양반가문 이야기. 18 Regenbogen 21/11/16 5851 35
1119 일상/생각족보 4 私律 21/08/20 4294 35
1094 일상/생각엄마는 내 찢어진 츄리닝을 보고 우셨다 3 염깨비 21/06/04 5096 35
1087 일상/생각어느 개발자의 현타 26 거소 21/05/04 8092 35
1085 기타발달장애 아이들을 위한 키즈카페 추천 2 쉬군 21/05/04 6185 35
1046 정치/사회만국의 척척석사여 기운내라 15 아침커피 20/12/29 6367 35
928 역사역사학 강연에서 의용대를 자처하는 이들을 만난 이야기 13 Chere 20/02/29 5772 35
743 정치/사회한 전직 논술강사의 숙대 총학의 선언문 감상 40 烏鳳 18/12/11 7806 35
735 정치/사회형벌의 목적, 책임주의, 그리고 음주운전 28 烏鳳 18/11/20 6709 35
715 여행이별 후 홀로 여행 6 곰돌이두유 18/10/14 7213 35
595 일상/생각따듯한 난제 10 Homo_Skeptic 18/02/23 6120 35
441 기타사람은 아픈만큼 성숙해지지 않는다 11 소맥술사 17/06/01 6752 35
378 일상/생각내 잘못이 늘어갈수록 20 매일이수수께끼상자 17/03/02 6211 35
1429 정치/사회민주당을 칭찬한다 13 명동의밤 25/01/15 2431 34
1388 기타잡담)중국집 앞의 오토바이들은 왜 사라졌을까? 27 joel 24/04/20 4025 34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