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20/12/29 19:13:33
Name   아침커피
Link #1   https://crmn.tistory.com/125
Subject   만국의 척척석사여 기운내라
또 유명인의 대학원 졸업 논문 표절 논란이 터졌다. 말이 논란이지 지금까지 나온 내용만 보더라도 다른 사람 논문을 복사 및 붙여넣기 한 것이 확실해 보인다. 올해 들어서만 벌써 몇 번째인지. 특정인에 대해서가 아니라, 이 사회에 팽배한 이 현상에 대해 짧게 이야기를 해 보고 싶다.

이런 기사를 볼 때마다 씁쓸해진다. 누군가는 그렇게 편하게 석사, 박사를 땄겠지. 그렇게 전문가 칭호를 얻어서 엉터리 지식으로 책을 쓰고 TV활동을 해서 명예를 얻고 엄청난 수입을 올린다. 그러다가 한참 나중에 논문 표절 논란이 일어나면 자숙하겠다고 하며 방송 활동 잠시 중단. 이미 일반인들이 평생 벌어도 못 벌 돈을 번 후다. 공소시효가 이미 지나서 아무런 처벌도 받지 않는 것은 덤.

나는 석사를 3년 했다. 2년차에 이미 거의 다 써 놓았던 졸업논문이었지만 무슨 방망이 깎던 노인마냥 졸업논문 다듬는 데에만 1년이 더 걸렸다. 지도교수님은 석사라고 봐 주는 법이 없으셨다. 그렇게 평생 아무도 읽지 않을 석사논문을 쓰느라 밤을 새고 문헌조사를 하고 실험을 돌리고 몸을 버리고 목디스크를 얻고 나이를 먹었다.

한 다리 건너 누군가는 실력 좋은 포닥에게 돈을 주고 석사 논문을 대필했다는 이야기도 들었다. 또 어떤 포닥이 써서 유명 학회에 뽑힌 논문은 아무리 재현하려 해 봐도 그 수치가 안 나왔다는 이야기도 들었다. 뭐 멀리서 찾을 필요도 없이, 올해 한국에서만도 유명인의 석사, 박사 논문 표절 사건이 얼마나 많이 터졌나.

임재범 말을 흉내내보고 싶다. "내가 만일 쓸쓸하고 외로울때면 누가 나를 위로해주지? 그건 바로 여러분." 아쉽게도 한국 사회는 그렇지 않아 보인다. 논문을 표절한 유명인의 인스타그램에는 힘내세요, 화이팅입니다가 엄청나게 달려 있다. 내 마음을 가장 아프게 하는 것은 "다 관례적으로 그렇게 하던거 아니에요? 그게 뭐가 큰 문제에요?" 라는 댓글들이다.

예전같으면 화가 났을텐데 이젠 그냥 우울해진다. 요즘은 요령없이 살고 바보같이 석사 논문 정직하게 쓰겠다고 고생한 내가 바보인건가 하는 생각까지 든다. 이런게 뉴노멀이라는 건가 싶기도 하고. 그렇게 고생해서 석사를 딴 뒤 내 삶이 바뀐 것이 있다면 "척척석사" 라는 놀림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는 점이다. 너는 박사 안 했으니까 척척석사네. 아 여기 척척석사 오셨다. 척척석사님 한 말씀 해 주세요.

어제 성경 잠언을 읽는데 의롭게 살며 적게 버는 것이 불의하게 살며 많이 버는 것보다 낫다는 말이 있었다. 그래, 누군가는 표절로, 누군가는 대필과 수치 조작으로 학위를 따서 전문가 행세를 하는 동안 바보같이 척척석사로 사는 또다른 사람들이 있다. 잠언은 그런 척척석사들이 더 낫다고 하더라. 만국의 척척석사여 기운내라.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1-01-12 16:55)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35
  • 추천박고 갑니다 ㅠㅠ
  • 석사는 킹정이지.
  • ㅇㅈ합니다.


jnote0504
선생님 응원합니다. 그 사람들이 잠시 인기와 부를 얻었을 지언정 부끄럽게 인생을 마무리 할 수 밖에 없을 것입다.
척척석사라고 하면 왠지 진중권씨를 가리키는 고유명사 처럼 느껴집니다 ㅎㅎ
4
길고양이
척척석사! 업무중에 가끔가끔 riss 들어갈 일이 있는데 들어갈때마다 제 논문들 한번씩 검색해봅니다. 엨..이걸 누가봤어!? 이걸 누가 인용까지했어? 하고 말이죠 ㅋㅋㅋ
5
그저그런
"다 관례적으로 그렇게 하던거 아니에요? 그게 뭐가 큰 문제에요?" 같은 말 정말 기분 더럽죠.
자기편을 옹호하기 위해 불특정 다수를 깎아내리는거거든요. SCIE는 에세이라던가, 교수들 논문대필 다 하는거라던가.. 주옥같죠/
3
조지 포먼
옛날에는 관행이였는데 지금은 관행이여도 뚜까
욕 먹는거 보면은 정상적인 사회로 가고 있기도 하네 싶다가 진실을 계속 접할수록 우울해지고 무관심 해지는걸 느낄때마다 모르는게 약이다 라는게 맞는 말인거 같습니다.
부끄러운 석사학위논문을 갖고있지만 표절자와 같은 선에 놓이는 것을 부정할 정도의 가오는 있습니다
8
캡틴아메리카
석박통합한 나새기 칭찬!
3
Velma Kelly
저런거 하는 사람들은 인생의 어느 시점에서 양심을 홀라당 까먹고 들어가는 걸까요?
전 다른 사람 논문 참조하고 나서 문장 너무 비슷하게 안하려고 별별 똥꼬쇼를 했는데 (아무도 못알아차릴 정도였지만) 저런건 도저히 이해가 안되네요
맥주만땅
한국인으로서 영어로 똥꼬쇼할 때 드는 자괴감이...
1
마술사
저도 그랬네요. 저는 2년반 걸렸고 특히 영어로 석사논문 쓰는게 너무 힘들었어요...
1
관례적으로 하던 건 인용 기록 없이 딴 논문의 문장을 갖다 쓰는 정도였지 타 논문의 아이디어를 배끼는 건 아니었죠. 근데 요즘 표절이라고 나오는 논문은 아이디어 자체나 논문의 결론을 배끼는 거라서 과거의 관행이라고 보기엔 어려운 것 같습니다.
석사 통과받고 제출하기 위해 수정하고 있습니다.
반년동안 어렵게 썼고 내심 아쉬운 결과물을 얻었지만, 부끄러운 길을 걷지 않으려고 부단히 노력했습니다. 척척석사님들 파이팅
1
호라타래
전 지금 들여봐도 제 석사학위 논문이 좋아요 ㅋㅋ 자부심도 있고요.
Anthony's father
잘 읽었습니다. 분명히 의미 있는 시간을 보내신 것이라 생각합니다. 삶에서 가장 중요한 가치는 타인 다수의 인정이 아니라 본인의 진실성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사회적 기준에서 볼때, 양심에 맡겨, 묵묵하게 살아도 이득이 전혀 없을때가 있죠. 이럴때 사실 허무주의 안느끼는게 이상해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28 일상/생각부질 있음 5 化神 19/07/03 6319 18
878 일상/생각체온 가까이의 온도 10 멍청똑똑이 19/10/21 6327 16
278 역사카레라이스의 탄생 19 눈시 16/10/07 6331 5
767 일상/생각혼밥, 그 자유로움에 대해서 13 Xayide 19/02/03 6334 29
1278 정치/사회인생을 망치는 가장 손쉬운 방법 22 아이솔 23/02/13 6334 18
953 일상/생각한국인이 생각하는 공동체와 영미(英美)인이 생각하는 공동체의 차이점 16 ar15Lover 20/05/01 6339 5
129 일상/생각늦깎이 사이버대학생의 마지막 시험. 22 천무덕 15/12/13 6350 4
396 일상/생각딸기 케이크의 추억 56 열대어 17/03/24 6351 21
1181 게임요즘은 엑스컴 2를 재미있게 플레이하고 있습니다 15 손금불산입 22/03/28 6351 14
487 역사삼국통일전쟁 - 8. 황제의 꿈, 대왕의 꿈 8 눈시 17/08/05 6353 10
607 일상/생각동생의 군생활을 보며 느끼는 고마움 7 은우 18/03/29 6356 10
1287 정치/사회미국 이민가도 지속되는 동아시아인의 저출산 패턴 30 카르스 23/03/28 6356 16
310 역사러일전쟁 - 뤼순 때문에 나라가 망할 판 11 눈시 16/11/28 6362 8
877 문학[자랑글] 구글독스 기반 독서관리 시트를 만들었읍니다 7 환경스페셜 19/10/20 6362 15
979 일상/생각집밥의 이상과 현실 42 이그나티우스 20/07/06 6363 46
974 정치/사회섹슈얼리티 시리즈 (6) - 좋거나, 나쁘거나, 미운 폴리아모리 33 호라타래 20/06/23 6364 12
398 창작옆집에는 목련이며 장미가 흐드러지게 피었다 5 틸트 17/03/27 6367 9
812 일상/생각이방인 노숙자 7 멍청똑똑이 19/06/02 6371 36
784 일상/생각과거 카풀 드라이버 경험 11 행복한고독 19/03/24 6372 14
1076 역사왜 멕시코는 북아메리카에 속하는가? 19 아침커피 21/03/31 6374 11
1099 기타 찢어진 다섯살 유치원생의 편지 유게글을 보고 든 생각입니다. 41 Peekaboo 21/06/22 6375 44
388 일상/생각정리해고 당했던 날 47 소라게 17/03/15 6378 31
773 문화/예술우리가 머물다 온 곳 9 사탕무밭 19/02/27 6381 13
1116 정치/사회동북아에서 급증하는 무자녀 현상 (부제: 초저출산이 비혼'만'의 문제인가?) 23 샨르우르파 21/08/13 6382 24
871 역사국내 최초의 이민자, '하와이 한인'들에 대해 -상- 메존일각 19/10/03 6383 19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