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5/11/01 18:58:23
Name   다람쥐
Subject   [2015년 노벨문학상]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 - 여성은 전쟁을 이렇게 기억합니다.
2015년 노벨문학상수상은 벨라루스 출신의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의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가 차지하였습니다.

이 책은 문학상을 탔으나 소설이 아닌 ‘구술서’입니다.
작가 스베틀리나는 벨라루스의 저널리스트로 1948년 우크라이나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녀는 녹음기를 들고 다니며 제2차 세계대전에 소비에트연맹으로 참전했던 여성들을 찾아 인터뷰를 합니다. 그렇게 모은 인터뷰로 태어난 것이 이 책입니다.
이 책은 1983년 완성되었으나 출판사에서는 출판을 거절합니다.
2차 세계대전(러시아에서는 대조국전쟁이라 합니다.)에 출전한 소비에트의 여성들을 영웅적으로 묘사하지 않고 그들의 아픔과 전쟁의 참상을 생생히 전하기 때문입니다.

‘대조국전쟁’이 끝난 이후, 소비에트연방은 당시 참전하였던 ‘붉은 군대’와 이 전쟁을 신화화합니다.
하지만 이 전쟁에서 남성들이 이념과 당위성, ‘전술’과 ‘무공’, 전우애에 집중할 때 여성들은 다른 것을 봅니다.

‘나치 독일이 1941년 6월 22일 바르바로사라는 작전명으로 소비에트 연방을 침공했어...독일은 코카서스 진격을 시도했고...
그렇지만 스탈린 그라드에서...미국이 참전했고 독일이 수세에 몰렸어....결국 1945년 5월 9일 베를린공방전을 마지막으로 독일이 연합국에 무조건 항복하면서 끝났지.’

이것은 남성들이 전쟁을 기억하는 방식입니다. 남성들은 언제 어디서 어떻게 싸웠고 내가 어떠한 무공을 쌓았는지, 상대방을 나의 ‘조국’ 어떻게 무찔렀는지.
적에 대한 증오심과 나의 무공에 대한 자랑스러움, 애국심과 이념을 서술합니다.

그러나 전쟁에 출전한 여성들은 다른 것을 기억합니다.

무릎까지 올 만큼 곱에 땋은 머리를 싹둑 잘리고 뎅강 앞머리만 남아 군복을 들고 나올 때 허전했던 목덜미.
조국을 위해 출전한다고 들떠서 기차를 타던 자신에게 어머니가 싸 주었던 러시아 전통 떡 10개.
누구일지 모르는 어린아이 무덤 위에 올려져 있던 노란 구두 한 짝.
마차를 타고 시체 위를 지나갈 때 바퀴 아래에서 우드득우드득 으스러지던 적군의 두개골.
전장에서 시작했던 첫 생리.
독일군 10명의 머리를, 그것도 오차 없이 같은 부위를 쏘아 죽인 저격수는 빨간 머플러를 좋아한 소녀 사샤라는 것,
그녀는 결국 그 빨간 머플러 때문에 눈에 띄어 저격당해 전사하였다는 것. 그 소녀 저격병들은 처음에는 망아지 한 마리를 잡고도 슬퍼서 밥을 먹지 못하였다는 것.
독일군에게 쫒겨 늪지대로 피해 늪 속에 목만 내놓고 숨어있었는데 그 중 한 여군은 아이를 낳은 지 몇 달 되지 않았었다는 것.
아이는 울음을 그치지 않는데 독일 군견이 쫒아오고 그들은 거의 잡히기 일보직전이었다는 것.
그 때 지휘관이 아무 말도 없이 아이 엄마를 쳐다보자, 그녀는 아이를 포대기로 꼭꼭 싸서 물에 가라앉혔다는 것. 울지도 않고 가만히..

전쟁이 끝나고 나서, 소비에트는 ‘붉은 군대’의 승전을 신화화합니다. 그와 동시에 유럽까지 갔다 온 군인들에게는 유럽의 풍요로움에 대해서는 입도 벙끗하지 못하게 합니다.
공산주의를 지키고 냉전을 굳게 하기 위해서지요. 무공은 남성들의 것이지만 여성들은 가족에게 돌아가지 못합니다.
사람을 죽인 몸으로 어떻게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을 수 있단 말인가요? 사람을 죽인 손으로 애를 키워요? 하물며 4년동안 남성들과 함께 지냈으니까요.

수많은 여성들이 침묵합니다. 전쟁의 고통은 남성에게도 남아있지만 여성들에게는 더욱 큰 상처가 되었습니다.
남성들은 여성들이 기억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 아니고, 감정적으로 왜곡한 기억이라고 말합니다. 이념과 애국심 앞에 여성들은 입을 다물게 되었습니다.
작가가 이 책을 쓸 당시 출판사도 ‘그런 쓸데없는 것 말고’ 다른 이야기를 하라고 하였지요

역사 교사였다가 징집된 여인은 독일군 장교 숙소에 잠입해 식사에 독을 타라는 명령을 받습니다. 그녀는 잠입에 쉽게 성공하나, 매일 자신을 향해 ‘당케 쇤’하고 인사하던 독일 장교들을 아직 기억합니다.. 그녀는 제대 후 다시 역사 교사가 됩니다. 역사 교과서는 세 번 바뀌고 세 번 다 다른 내용을 가르치라고 하였지만 그녀는 이 사실을 아이들에게 어떻게 가르쳐야 할지 아직도 모르겠다고 합니다.

그녀의 마지막 말이 기억납니다. ‘내가 죽고 난 다음에 역사를 바꿔 버리지 말고 지금 나에게 물어봐.’

‘조국이 부른다’는 말에 애국심에 불타 전장에 나가겠다고 스스로 입영통지서를 밀어 넣었던 순수한 소녀들. 어린 나이에 전쟁이 무엇인지도 모르고. 발에 맞지 않는 군화와 겨드랑이 밑까지 오는 군복 바지를 입고 기차에, 트럭에 실려 전선으로 보내졌던 소녀들. 살아서 돌아온 그녀들의 이야기가 책으로 나오기까지 40년, 그리고 노벨문학상을 받기 까지 다시 30년이 걸렸습니다.

작가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는 자신의 글은 마침표를 찍었다가 말줄임표가 된다고 합니다.
이 책이 알리는 것은 단순한 전쟁의 참상이 아닙니다. 그 곳에 있었던 한 명 한 명의 여성들의 말과 기억을 통해, 한 인간의 생애 속에서 이루어지는 전쟁을 들여다보는 것입니다.


이 책의 특이한 형식 덕분에 우리들은 직접 이야기를 듣는 것 같은 기분을 느낍니다.
그래서 책 한 장 한 장을 넘기기가 참 무거웠습니다.
그리고 맨 마지막 장을 읽고서야
저도 마지막 마침표가 말줄임표라는 것을 알았습니다.

지금도 역사는 계속되고 전쟁과 아픔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 수박이두통에게보린님에 의해서 자유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5-11-16 21:21)
* 관리사유 :



11


    난커피가더좋아
    아 멋진 비평이네요. 감사합니다. 좀있다 다시 읽어보고 제대로 원문을 보고싶다는 생각이 듭니다.
    realise
    독소전쟁에서 소련이 정말 많은 여성들을 사지로 내몰았죠...그 유명한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도 가장 먼저 전멸한 부대가 여군으로 이루어진 방공포대라고 하니.
    지도층 그들에게는 단지 병사1 이었을 뿐이겠지만 각각의 인생은 자신의 삶의 전부였을텐데.
    그나마 그들이 살아있을 때의 생생한 기록을 이렇게 그 여성분 개개인의 회고로 남겨 후손들이 볼 수 있도록 한 작가분이 대단하네요.
    난커피가더좋아
    저도 작가분께 경의를 표하고 싶어 집니다.
    다람쥐
    소련이 공산주의여서 여성의 노동에 대해서도 남성과 동등하다는 슬로건을 펼쳤던 덕분인지, 전쟁 당시 여성 입대희망자가 많았던 것 같습니다.
    책에서는 이미 남자들이 전부 징집되어서 남은 여성들도 참전할 수 밖에 없었다는 이야기도 있지만 저는 공산주의 교육 영향도 있는 것 같아요.
    마르코폴로
    전쟁이라는 것이 상대적으로 패자의 기록은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반면, 승자의 기록은 취사선택되는 경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독일의 홀러코스트는 우리 모두 알고 있지만 소련의 강제노동수용소에 대해서는 잘 모르는 것처럼 말이지요.
    스트로
    제목이...
    다람쥐
    글 제목에 문제가 있나요? 수정해야할까요
    스트로
    아뇨, 작품의 제목이 강하네요. 인상이 강해서 말줄임표랍시고 썼는데 말줄임표가 저게 아니라는 걸 떠올렸습니다. 아니아니, 표정 등의 부수적인 표현을 동반할 수 없는 텍스트로는 함부로 줄여선 안 된다는 걸 망각한 거죠. 죄송합니다.
    다람쥐
    아니에요 자게 글이 처음인데 제 글 제목이 너무 길어서 ....으로 나와서 혹시 너무 긴게 문제인가 하고 혼자 찔려서 그랬습니다 크
    Beer Inside
    이런 것이 진정한 민중의 역사 이겠지요.
    마르코폴로
    멋진 비평이네요.(2) 저도 이번에 한번 읽어 봐야 겠네요.
    *alchemist*
    사 뒀고 차차 읽어봐야겠습니다.. 음..
    뒤에 숨어 있는 다른 시선의 역사겠네요..
    레이드
    \"사람은 전쟁터에서 멀리 있을수록 호전적이게 된다.\" 라는 양 웬리의 말이 떠오르네요. 전쟁은 절대로 일어나선 안됩니다. 잘 봤습니다.
    난커피가더좋아
    유게의 군복입은 아바이연합 사진과 겹쳐보이는 말이로군요.
    YORDLE ONE
    샀습니다. 두껍네요. 일단 챕터 1까지 읽었는데 벌써 가슴아픈 내용이 많네요..

    좋은 책 추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람쥐
    뒷 챕터에는 소녀들의 유쾌한 감성을 엿볼 수 있는 부분도 있습니다. 보고 나면 가슴이 먹먹해서 참 천천히 읽게 되는 책이었어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4 꿀팁/강좌imgur로 게시판에 이미지 올리기 5 Toby 15/09/23 7865 5
    75 기타소주 이야기 20 모모스 15/09/23 6619 2
    76 문화/예술goodbye. printmaking 18 1일3똥 15/09/24 9435 4
    82 일상/생각수줍수줍..이런걸 한번 해봤어요.. 23 얼그레이 15/09/29 8724 21
    79 IT/컴퓨터사실 구글은 스카이넷을 만들고 있습니다 16 Azurespace 15/09/30 10259 4
    81 역사두 형제 이야기 - 황형의 유산 10 눈시 15/09/30 5662 6
    80 기타gentlemen and ladies는 왜 안 되는 걸까?... 8 Neandertal 15/09/30 6413 7
    83 역사사도 - 사랑치 않으시니 서럽고, 꾸중하시니 무서워서... 7 눈시 15/10/08 6392 7
    84 역사사도 - 지옥으로 가는 길 5 눈시 15/10/09 6425 4
    85 과학불멸의 세포 17 모모스 15/10/09 8184 10
    86 역사사도 - 그 때 그 날, 임오화변 16 눈시 15/10/14 6874 8
    90 영화킹콩 : 원숭이만이 이해할 수 있는 위대함(스포일러) 3 구밀복검 15/10/15 10092 13
    89 경제노벨경제학상 앵거스 디턴과 21세기자본 도마 피케티는 대립하는가? 16 난커피가더좋아 15/10/15 8576 10
    88 IT/컴퓨터간략하게 살펴보는 웹디자인의 역사 24 Toby 15/10/16 11414 17
    87 역사사도 - 역적이되 역적이 아닌 8 눈시 15/10/16 6244 8
    91 과학쓰레기 유전자 ( Noncoding DNA ) 와 유전자 감식 23 모모스 15/10/20 7615 9
    92 기타세계화, 무역 그리고 전염병 12 마르코폴로 15/10/20 8946 11
    96 요리/음식토마토는 과일인가? 채소인가? 24 모모스 15/10/21 10814 6
    99 일상/생각삐딱하게 사는 것, 사실은 세상이 내게 원한 것 41 난커피가더좋아 15/10/25 8400 11
    101 과학지구의 온난화와 빙하기 4 모모스 15/10/27 9684 8
    102 꿀팁/강좌홍차를 저렴하게 구입해보자 (딜마) 22 관대한 개장수 15/10/28 12782 7
    100 꿀팁/강좌라면 49 헬리제의우울 15/10/29 11677 30
    98 문학[조각글 2주차] (1주차와 약간 믹스, 약 기독) 노래는 가사지 18 매일이수수께끼상자 15/10/30 6876 14
    97 정치/사회비동시성의 동시성과 한국의 페미니즘 40 난커피가더좋아 15/10/31 8703 6
    106 문학[2015년 노벨문학상]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 - 여성은 전쟁을 이렇게 기억합니다. 16 다람쥐 15/11/01 7087 11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