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21/03/25 11:32:23
Name   늘쩡
Subject   그냥 아이 키우는 얘기.
어떤 어머님께서 타임라인에 쓰신 얘기를 보고 지난 2년을 회상하게 됐어요.
저도 타임라인에 쓰기 시작했는데 쓰다 보니 너무 길어져서 지워버릴까 하다가 티타임으로 옮겨요. 헤헤.


저희 큰아이는 학교 가길 힘들어했어요.
심할 때는, 자기 전부터 다음 날 학교 갈 일을 걱정하며 울다 잠들고, 아침에 눈 뜨자마자 첫 마디가 학교 가기 무섭다는 거였죠.
교문 앞에서 도저히 못 들어가겠다고 우는 아이를 한참 달래서 느지막이 들여보낸 적도 몇 번 있었어요. 한 번은, 포기하고 그냥 집으로 데려오기도 했고요.

보통 학기 초에는 부모가 아이를 학교까지 데려다주는데, 그 기간은 아이마다 달라요. 일 주일 만에 씩씩하게 혼자 등교하는 아이가 있는가 하면, 1학기 내내 부모와 함께 등교하는 아이도 있죠. 하교도 마찬가지고요.

저희 큰 애는, 학교 가길 워낙 힘들어했기 때문에, 1년 내내 학교에 데려다줘야 했어요. 끝나는 시간에 맞춰 학교 앞에서 기다렸다가 함께 집으로 왔고요.
집에 올 때는 작은 아이가 어린이집에 있어서 좀 여유로웠지만, 아침에 등교할 땐 작은 아이까지 챙겨서 데리고 다니느라 더 힘들었죠.

잠이 안 깨서 아이가 못 일어나면 침대에 누워있는 채로 옷을 갈아입히고 번쩍 안아 식탁으로 데려와 아침을 먹이고 부랴부랴 등굣길에 나서요.
그 사이에 첫째는 계속 학교 안 가면 안 되냐며 흐느끼고, 둘째는 둘째 대로 온갖 떼를 씁니다.
옷 갈아입히는 손이 차갑다고 짜증 부리고, 입혀준 옷이 불편하다고 트집 잡으며 억지로 벗으려고 하고, 아침밥이 마음에 안 든다고 입 꾹 다물고, 바쁜 상황은 아랑곳하지 않고 어제 만들던 레고 만들러 가기도 하고..

두 아이를 달래느라 아침 내내 진이 빠져요.
집에서 학교까지 걸어서 10분 정도 거린데, 가는 길에도 작은 아이는 힘들다고 떼쓰며 업어 달라고 조르고, 큰아이는 또 학교 가기 무섭다고 울고..
아이들이 조금이나마 즐겁게 하루를 시작했으면 좋겠다는 바람으로 아침 내내 웃으면서 말하려 애써요.
열불이 나고 타들어 갈 정도로 초조해서 내면적으로 평정심을 유지하긴 어렵지만, 겉모습이나마 최선을 다해 온화함을 유지해보는 거죠. 물론 최선을 다한다고 항상 성공하는 건 아니지만요.

그렇게 1년을 보내고, 2학년이 되니까, 어라, 코로나 때문에 학교에 안 가네요.
그 사이 큰아이는 어려움을 많이 이겨낸 것 같아요.
이제 3학년이 됐고, 학교생활이 좀 수월해졌어요.
놀이 치료의 효과인지, 시간이 지나며 자연스럽게 내면적으로 성장해서인지, 같이 학교 다닐 친구가 한 명 생겨서인지, 그 모두인지 알 수 없지만, 아무려면 어때요. 이제 울지 않고 학교에 잘 다니는데.

그리고 아빠 힘든 것도 모르고 떼만 쓰던 둘째도 학교에 다니기 시작했습니다.
물론 지금도 아빠 힘든 건 모르지만요.
첫째와 판이하게 다른 기질을 가진 둘째는 학교가 너무 재미있나 봐요.
다행이에요.
아직은 아침마다 두 아이를 데리고 함께 등교하고 있지만, 4월 어느 날부터는 문 앞까지만 두 아이를 배웅할 거예요.
서로 의지하며 학교에 가는 모습을 응원하면서.


육아 관련 서적(사실 거의 읽지 않았지만)이나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육아팁들을 보면 "아니(디폴트 문두어), 이런 건 애가 하나일 때나 할 수 있는 거잖아!" 싶을 때가 많아요.

아이가 둘이면(혹은 그 이상이면) 같은 일을 곱하기 2 해서 하면 되는 게 아니라 아예 새로운 방식을 활용해야 합니다. 옷을 입히든, 밥시중을 들든, 목욕을 시키든, 흘러가는 컨베이어 벨트 앞에서 눈앞에 있는 작업 하나씩 착착 처리하듯 할 순 없는 노릇이죠. 동시적이고 복합적인 상황을 능수능란하게 다루기 위해서는 유연하고도 창의적인 접근이 필요해요.

절망스러운 건, 제가 별로 유연하고 창의적인 사람이 아니라는 거죠. 흑흑.

물론 어렵기만 한 건 아니에요. 두 아이를 포함한 다각적인 상호작용이 행복과 웃음을 동반 상승시키거든요. 어려움과 마찬가지로 기쁨도 단지 양적으로 확대될 뿐 아니라 질적으로도 새로워요.
게다가, 아이가 클수록 둘이어서 힘든 점보다 둘이어서 편해지는 부분이 더 많아지고요.

좀 지나면 각자의 세계에 깊이 뿌리내리고 지금처럼 서로를 의지하지 않게 되겠죠.
그 전까지 더 많은 시간을 함께하며... 쌓아 둬야겠어요.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1-04-06 07:43)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19
  • 모든 부모님들, 화이팅!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135 일상/생각약간의 일탈과 음주 이야기 3 머랭 21/10/11 3759 19
1236 기타2022 걸그룹 4/6 31 헬리제의우울 22/09/06 3800 30
1073 일상/생각그냥 아이 키우는 얘기. 5 늘쩡 21/03/25 3817 19
1180 일상/생각일상의 사소한 즐거움 : 어느 향료 연구원의 이야기 (3편) 12 化神 22/03/25 3824 22
1027 일상/생각오랜만에 고향 친구를 만나고 4 아복아복 20/11/05 3828 12
1248 꿀팁/강좌간혹 들어오는 학점은행제 알바들은 뭐 하는 사람들일까? 5 Profit 22/10/30 3841 14
1157 일상/생각중년 아저씨의 베이킹 도전기 (2021년 결산) (스압주의) 24 쉬군 21/12/31 3879 32
1305 창작서울에 아직도 이런데가 있네? 7 아파 23/06/01 3910 24
1133 정치/사회청소년, 정체성의 발전, 인종관계 15 소요 21/10/03 3928 30
1168 일상/생각길 잃은 노인 분을 만났습니다. 6 nothing 22/02/18 3940 45
1222 정치/사회장애학 시리즈 (1) - 자폐를 지닌 사람은 자폐를 어떻게 이해하나? 16 소요 22/07/14 3941 26
1147 일상/생각둘째를 낳았습니다. 15 고양이카페 21/11/29 3948 32
1006 기타온라인 쇼핑 관련 Tip..?! - 판매자 관점에서... 2 니누얼 20/09/16 3951 12
1227 일상/생각(영양無) 나는 어쩌다 체조를 끝내고 레전드로 남았는가 14 Picard 22/07/27 3953 11
1280 일상/생각자격지심이 생겨났다가 해소되어가는 과정 14 골든햄스 23/02/22 3954 43
1153 일상/생각도어락을 고친 것은 화성학과 치과보철학이었다 3 Merrlen 21/12/15 3962 31
984 일상/생각한 가족의 고집, 그리고 나의 고집에 대한 고백 자몽에이드 20/07/14 3978 9
1036 정치/사회판결을 다루는 언론비판 ㅡ 이게 같은 사건인가? 4 사악군 20/12/06 3985 16
1106 기타소우주를 여행하는 아미를 위한 안내서 : 1 22 순수한글닉 21/07/16 3998 21
1126 기타물 반컵 12 쉬군 21/09/14 3998 63
1050 일상/생각자다 말고 일어나 쓰는 이야기 7 Schweigen 21/01/05 3999 23
1138 정치/사회다시 보는 사법농단 8 과학상자 21/10/19 4009 19
987 일상/생각천하장사 고양이 3 아침커피 20/07/21 4017 9
1019 꿀팁/강좌[사진]노출차이가 큰 풍경사진 찍기 - GND필터 사용하기 9 사슴도치 20/10/18 4021 5
1164 역사자주포란 무엇인가? - (1) 자주포 이전의 대포 18 요일3장18절 22/01/26 4023 12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