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23/08/01 16:28:57
Name   카르스
Subject   한국 가사노동 분담 문제의 특수성? - 독박가사/육아 레토릭을 넘어서

한국의 남녀 가사부담이 선진국에서는 제일 불평등한 축이라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습니다. 위의 사진은 Charmes (2019)에서 퍼온 것인데, 선진국들 비임금 가사노동에서 여성의 "상대적인" 분담 비율을 나타낸 것입니다.  한국은 여성 가사노동 전담률로 대만, 포르투갈, 일본과 함께 최상위권, 아니 더 나아가 1위입니다. 가사노동 부담이 제일 불평등한 나라인 셈이죠. 자료마다 구체적인 순위는 조금씩 다르지만, 가사분담 불평등으로 한국이 선진국 최상위권이라는 결론은 동일합니다. 이로인해 독박육아/독박가사라는 말이 나오고, 여성들이 결혼을 기피하며 출산율을 낮추는 원인이라는 지적도 많이 나옵니다. 실제로 여러 연구에서 밝혀진 사실이니 틀린 말은 아닙니다.

분명 엄중한 사실입니다. 하지만 상대적 불평등을 논하기 전에 조심스럽게 검토해야 할 사실이 있습니다.






출처: https://www.oecd.org/coronavirus/policy-responses/caregiving-in-crisis-gender-inequality-in-paid-and-unpaid-work-during-covid-19-3555d164/

바로 한국의 남녀 가사부담의 극심한 불평등에도 불구하고, 한국 여성의 절대적 가사노동시간은 선진국에서 최하위권이라는 데 있습니다. 가사부담이 상대적으로 평등하다는 북유럽과 비슷하거나 더 적습니다.

남녀를 막론하고 한국의 절대 가사 노동시간은 꽤 낮은 편입니다. 위 사진의 Charmes (2019)은 남녀의 "절대적인" 가사분담 시간 수준을 나타내는데, 한국 여성(W)의 절대적 가사 노동시간은 선진국에서 대만 다음으로 낮으며, 성평등등도가 제일 높은 북유럽보다도 낮습니다. 아래 사진의 OECD (2021)도 결론은 비슷합니다. 
노파심에 말하자면 한국의 심각한 가사노동 불평등이 절대 작은 문제라고 생각하지 않지만, 이 극심한 불평등이 여성의 극도로 긴 가사노동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게 중요합니다.


이 이유에 대해 떠오르는 가설은 두 가지입니다.
첫째 가설은 한국의 매우 긴 노동시간, 둘째 가설은 한국에서 유독 발달한 대도시화와 단체주택 문화.

하지만 첫째 가설에는 두 가지 큰 문제가 있습니다.








첫째 문제는 한국은 단순 가사노동을 넘어 가사노동+노동시간을 합한 총 노동시간도 매우 낮은 축에 들어간다는 겁니다. 
이 트렌드는 남녀에 무관하게 나타납니다. 

위의 그림은 Charmes (2019)에서 가져온 것인데, 남성(위 사진), 여성(아래 사진)이 비임금 가사노동과 임금노동에 사용하는 총 노동시간을 계산한 것입니다. 여기서는 한국은 낮은 순으로 찾는 게 훨씬 빠릅니다.



출처는 https://ourworldindata.org/working-more-than-ever

두번째 문제는 긴 노동시간이 문제라면 노동시간이 단축되면서 남녀 평균 가사노동시간이 늘어야 했는데, 한국은 장기적으로 노동시간이 빠르게 줄었음에도 그 현상이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Our World In Data에서 보여주는 국가별 연 노동시간 추이(위 사진)에 따르면 한국은 여전히 노동시간이 길지만 선진국과의 격차가 많이 좁혀졌는데, 생활시간조사(아래 사진)에서는 나타나는 전체 가사노동 시간은 증가하기는 커녕 느리게나마 감소합니다. 


그렇다면 두 번째 가설만 남습니다. 

한국은 도시화를 넘어 (초)대도시화의 나라입니다. 한국인의 절반이 2600만여명이 살아 선진국에서 두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인 서울 광역권에 살아갑니다. (참고로 제일 인구가 많은 선진국 대도시는 일본 도쿄.) 부산, 대구, 광주, 대전 광역권도 수도권에 비하면 체급이 크게 밀리고 그래서 문제지만, 인구가 100만 단위이니 결코 작지 않습니다. 부산, 대구, 광주, 대전 등이 유럽 선진국에 가면, 광역권 인구 기준 제1도시가 될 나라들이 많습니다. 이러한 대도시에서는 가사 노동을 재화와 서비스를 구매하면서 외주화할 수 있는 여지가 많습니다. 그리고 급격한 도시화 과정에서 가사 노동을 최소화하는 단체주택 문화가 발달했습니다. 아파트에 사는 사람들은 정원에 무성히 자란 잔디를 깎거나 지붕을 수리하는 가사노동을 할 일이 없지요. 그렇기에 남녀를 막론하고 절대적 가사 노동시간이 적습니다. 한국과 대도시화와 단체주택 거주의 측면에서 상당히 유사한 대만 일본(여기는 단독주택 거주도 꽤 많긴 한데 대도시화는 비슷하죠) 도 절대적 가사노동시간이 짧은 축인 것을 보면 이 가설이 맞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 가설이 참이라 해도, 또 다른 과제가 생깁니다. 첫째, 한국 여성의 절대적 가사부담은 적지만 상대적 분담률 불평등이 심각한 걸로 불만이 자자합니다. 그렇다면 가사부담 인식은 '절대적으로 낮은 부담'보다 상대적인 공평함이 훨씬 더 중요하다는 이야기입니다. 인간에게 공평함이라는 정서가 중요하다는 건 여러 조사를 통해 알려져 있지만, 저 정도로 중요할까요? 절대적 분담과 상대적 분담이 인식에 끼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해 보입니다.

둘째, 절대적인 가사노동시간의 감소는 여성의 일과 출산의 기회비용을 낮추는 요소로 꼽힙니다. 미국 여성 역사를 경제학적으로 분석할 때 자주 나오는 이야기입니다. 기술의 발전과 베이비시터 등으로 여성의 가사노동 부담이 줄었기에 노동참여가 늘어났고 출산율이 늘어났다고. 그런데 (노동시간을 감안해도) 절대적 가사노동시간이 작은 한국 여성들의 고용률과 출산율은 왜 저렇게까지 낮을까요? 바로 위에서 말한대로 '절대적 부담'보다 '상대적 분담'이 더 중요해서일 수도 있고, 낮은 가사노동시간의 유리함을 압살할만큼 여성 고용과 출산에 미치는 사회적인 부정적 요인이 압도적이어서일 수도 있습니다. 물질적인 것이든 가치관적인 것이든. 이 경우 한국의 여성 고용/출산을 저지하는 사회적 요인은 (이미 알려진 걸로도) 매우 심각하지만 실질적으로는 더 심각하다고 봐야 할 겁니다. 진지한 연구가 필요한 분야라 생각합니다.

출처:
Charmes, J. (2019). The Unpaid Care Work and the Labour Market: An analysis of time use data based on the latest World Compilation of Time-use Surveys (pp. 161-p). Geneva: ILO.
OECD. (2021). Caregiving in crisis: gender inequality in paid and unpaid work during COVID-19. OECD Publishing.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3-08-13 12:46)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15
  • 와 덕분에 좋은글 읽고갑니다. 감사합니다
  • 추천.....


고기먹고싶다
수도권 집중화 또 너냐? ㅠㅠ
1
카르스
수도권이 압도적이긴 한데, 한국 도시들의 체급은 선진국들과 비교할 때 정말 큰 편입니다.

그리고 여기서는 가사노동시간을 줄였다는 '긍정적인' 결과물을 낳았지요 ㅎㅎ
서포트벡터
이건 수도권 집중화가 좋은 영향을 끼친 거에 가깝죠
1
고기먹고싶다수정됨
가사 노동의 절대치는 줄었는데 상대적인 박탈감이 크다는 내용이 있고 저래서 더더욱 수도권이나 대도시에 인구가 몰리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거든요 어디서 젊은 여성들이 젊은 남성들보다더 수도권 선호현상이 높다는 조사를 봤는데 이게 저래서 그렇구나 하는 생각도 들었고 제가 부모댓글을 너무 짧게 썼네요.
1
상대적 박탈감
지금 아이폰 없는 아이들이 옛날에 다같이 점심 굶고 수돗물 마시던 애들보다 불행할지도 모른다는 이야기가 있었더랬죠.

비슷한 의미에서 돈없어서 아이 못낳겠다는 것도
물질적으론 역대 최고 풍요로움이지만
인터넷과 SNS의 평균 올려치기에 따른 박탈감과 체감 양극화에 따른 결론?

내가 오이먹고 쟤가 고기먹을 빠엔 다 같이 굶는 게 낫다거나
나는 저런 좆망겜은 안하는 게 낫다. 이런 생각할수도 있고..
아니면 지금 아이없이 살면 자유롭고 풍요로운데, 핵가족에게 육아부담이 쏠린 상황에선
아이낳는 순... 더 보기
상대적 박탈감
지금 아이폰 없는 아이들이 옛날에 다같이 점심 굶고 수돗물 마시던 애들보다 불행할지도 모른다는 이야기가 있었더랬죠.

비슷한 의미에서 돈없어서 아이 못낳겠다는 것도
물질적으론 역대 최고 풍요로움이지만
인터넷과 SNS의 평균 올려치기에 따른 박탈감과 체감 양극화에 따른 결론?

내가 오이먹고 쟤가 고기먹을 빠엔 다 같이 굶는 게 낫다거나
나는 저런 좆망겜은 안하는 게 낫다. 이런 생각할수도 있고..
아니면 지금 아이없이 살면 자유롭고 풍요로운데, 핵가족에게 육아부담이 쏠린 상황에선
아이낳는 순간 이 모든 걸 뺏긴다 생각하면 쉽사리 못하는 것도 당연해보이고..
2
구밀복검
약간 의아한 게, 저 차트대로면 한국의 노동 시간 자체가 남성이든 여성이든 짧아서 너나 나나 다 시간 빌 게이츠에 가깝다는 이야기가 되어버리는 듯한데... 뭐 노동 시간은 인구 집단이나 측정 범위에 따라 다르게 나올 수 있다고 쳐도 그러면 한국의 평균 여가 시간이나 수면 시간은 타국보다 길게 나와야 할 것 같습니다. 근데 지금까지 본 바로는 데이터가 그 반대에 가까워서.
5
당근매니아
저도 이 부분이 의아하네요. 통계처리하는 과정에서 기준이 달리 적용된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2
카르스
좋은 지적 감사드립니다. 다시 찾아보니 총노동 시간 자료별로 차이가 있긴 합니다. Charmes(2019)에서는 한국 총노동시간이 작은 걸로 나오긴 하는데 OECD에서는 좀 달라요. https://www.oecd.org/gender/data/time-spent-in-unpaid-paid-and-total-work-by-sex.htm

Total Work (비임금 가사 + 노동시간 합)이 한국 남성은 주 466.9시간, 여성은 주 500.6시간인데, 남성은 OECD 평균(466.1시간)과 거의 비슷하고 여성은 OECD 평균(487시간)보다 조금 더 많은 수준입니다.

첫째 가설이 틀린 이유는 기각될 수 있겠네요.
자몽에이슬
재미있는 통계네요. 가사노동 시간이 최저일 줄은 생각도 못했습니다.

카르스님이 언급하신거처럼 가사노동의 외주화, 잔디깎이 같은 문화 환경적 특성 외에도 로봇청소기, 식세기 같은 가사도우미 가전제품이 많이 대중화 되어 있는 부분도 상당시간을 줄여주는 부분이 될수 있을 것 같습니다. 거기다 육아를 부모님께 맡기고 출근하는 문화도 한몫 할 것 같구요.

근데 통계로 보자면 평균이 대략 260분 정도이고 한국이 210분정도 되네요. 전체 줄세우기로 보자면 한국이 최저인건 맞는데 이는 상대적일 뿐, 절대적인 가사시간이 압도적으로 적... 더 보기
재미있는 통계네요. 가사노동 시간이 최저일 줄은 생각도 못했습니다.

카르스님이 언급하신거처럼 가사노동의 외주화, 잔디깎이 같은 문화 환경적 특성 외에도 로봇청소기, 식세기 같은 가사도우미 가전제품이 많이 대중화 되어 있는 부분도 상당시간을 줄여주는 부분이 될수 있을 것 같습니다. 거기다 육아를 부모님께 맡기고 출근하는 문화도 한몫 할 것 같구요.

근데 통계로 보자면 평균이 대략 260분 정도이고 한국이 210분정도 되네요. 전체 줄세우기로 보자면 한국이 최저인건 맞는데 이는 상대적일 뿐, 절대적인 가사시간이 압도적으로 적은건 아닌것 같습니다. 이러나 저러나 대다수가 여성친화적이지 않은 한국 회사문화와 가사분담을 하지 않는 남편을 둔 여자 입장에서는 저 정도 가사노동은 충분히 압박이 될 것 같습니다.
6
카르스
절대적인 가사분담은 적어도 여성들에게 압박이 될 수 있다는 덴 동의합니다.
라임오렌지나무
앞에서도 이야기하셨지만, unpaid (care) work의 기준이 국가마다 다른 것 같고, 해당 자료를 링크에서 확인하면 추산치를 다 다른 시점에서 가져옵니다(한국, 멕시코는 2014년 자료인 반면, 일본, 네덜란드는 2016년, 2001년 자료인 덴마크도 있고 심지어 포르투갈은 1999년 자료). 물론 나누어서 시각화할 수 없기 때문에 이렇게 도시했겠지만, 이 자료를 각 국가의 가사노동 절대시간 비교 자료로 사용하면 안 되고, 각 국가의 젠더 노동 비율 비교 자료로만 보아야 합니다. 따라서, 이후에 "한국은 적은 가사노동 시간에... 더 보기
앞에서도 이야기하셨지만, unpaid (care) work의 기준이 국가마다 다른 것 같고, 해당 자료를 링크에서 확인하면 추산치를 다 다른 시점에서 가져옵니다(한국, 멕시코는 2014년 자료인 반면, 일본, 네덜란드는 2016년, 2001년 자료인 덴마크도 있고 심지어 포르투갈은 1999년 자료). 물론 나누어서 시각화할 수 없기 때문에 이렇게 도시했겠지만, 이 자료를 각 국가의 가사노동 절대시간 비교 자료로 사용하면 안 되고, 각 국가의 젠더 노동 비율 비교 자료로만 보아야 합니다. 따라서, 이후에 "한국은 적은 가사노동 시간에도 불평을 하고 있다"라는 주장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게다가 세, 네번째 그래프만 보면 구밀복검님이나 당근매니아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한국의 전체 노동 시간은 세계에서 손 꼽히는 저노동 국가가 되어야 할 것 같은데, 당장 마지막 그래프와도 충돌하지요.
또, 한국의 가사노동 시간이 적은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어요. 들어주신 대도시화의 문제도 있지만, 한국의 생활문화 환경은 다분히 많은 것들을 가전이나 외주로 대체하고 상당히 효율적인 방식으로 돌아갑니다. 가전의 힘을 빌어, 요새 필요한 대부분의 "집안일"은 동시에 빠르게 처리가 가능해요. 세탁기 + 건조기 + 식세기 + 로봇청소기 + 음식물 처리기 등등. 한두 시간이면 이전에 열몇 시간씩 걸리던 집안일이 동시에 끝나지요. 반면, 저는 미국 생활 경험밖에 없지만, 여전히 그 동네는 동시에 처리 이런 것 안 해요. 세탁기 돌아갈 때 옆에 앉아 있는 것이 당연하고, 뒷마당에서 스테이크 굽는 것만 하는 것이 당연하고. 글쎄요, 그저 들이는 절대시간이 적다고 하여 노동 강도나 노동의 질이 동일하다고 생각하시면 안 됩니다.
직접 해보시면 왜 그러는지 안다, 라고 말씀드려야 할 부분이 여럿 있는데, 설명이 너무 길어질 것 같아서 여기선 줄여야 할 것 같아요. 불성실하게 댓글을 작성해서 송구합니다.
14
카르스
1. 자료별 시기가 달라서 국가별 1:1 비교가 좀 어렵긴 한데, 젠더 노동 비율 비교가 무의미하지 않듯이 절대 노동시간 비교도 가능하다고 봅니다. 바로 밑에 설명했듯이 절대 노동시간이 제대로 계산되었는지는 논란이 있겠지만,

2. 다시 찾아보니 자료별로 총노동시간이 차이가 있긴 합니다. Charmes(2019)에서는 한국 총노동시간이 작은 걸로 나오긴 하는데 OECD에서는 좀 달라요. ... 더 보기
1. 자료별 시기가 달라서 국가별 1:1 비교가 좀 어렵긴 한데, 젠더 노동 비율 비교가 무의미하지 않듯이 절대 노동시간 비교도 가능하다고 봅니다. 바로 밑에 설명했듯이 절대 노동시간이 제대로 계산되었는지는 논란이 있겠지만,

2. 다시 찾아보니 자료별로 총노동시간이 차이가 있긴 합니다. Charmes(2019)에서는 한국 총노동시간이 작은 걸로 나오긴 하는데 OECD에서는 좀 달라요. https://www.oecd.org/gender/data/time-spent-in-unpaid-paid-and-total-work-by-sex.htm
Total Work (비임금 가사 + 노동시간 합)이 한국 남성은 주 466.9시간, 여성은 주 500.6시간인데, 남성은 OECD 평균(466.1시간)과 거의 비슷하고 여성은 OECD 평균(487시간)보다 조금 더 많은 수준입니다. 첫째 가설이 틀린 이유는 기각될 수 있겠네요.

3. 제가 이야기한 대도시화는 말씀하신 트렌드까지 포괄한 것이었습니다. 가전제품과 외주를 이용한 효율성도 대도시가 아니면 누리기 어려운 것이지요 ㅎㅎ 다만 말씀하신 노동 강도나 질의 문제는 생각해보지 못했습니다.

생각해볼만한 좋은 지적들을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2
저는 값중에서 빠진 시간이 하나 있다고 생각합니다. '출퇴근 시간'요.
저 두개만 놓고 보면 시간이 많아야 할 것 같지만, 수도권에 사는 출퇴근 왕복 2시간 직장인들에겐 그럴 수 없죠.
3
카르스
네 그것도 생각해 봐야 할 것 같습니다.
하우두유두
확실히 식세기 건조기사고나서 하루에 1시간은 번거같아요
1
아저씨무시하지마
식세기가 있는데도 뽀득뽀득 씻어서 넣어야되는 성격인 나새기......ㅋㅋㅋㅋㅋㅋ 하....
2
하마소
가사노동의 범주도 체크해볼 필요가 있겠네요. 이를테면 자녀의 등하원시간이라든가 하는 분명 가정의 역할 내에 포함됨에도 가사노동으로 분류되어 있을 지 모호한 영역이라든가 하는 것들. 분 단위도 허투루 쓰기 안타까워하는 수많은 가정의 모습을 보면 분명 의아한 통계이긴 합니다. 다만, 그래서 그 나머지 시간이 유휴시간은 아닐 거라는 의심이 드는 것도 사실이예요. 어쨌든 덕분에 인사이트를 넓혀야 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소중한 포스팅 감사해요.
2
카르스
잘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말씀하신 가사노동의 범주가 상당히 중요한 부분이긴 한데, 유감스럽게도 Charmes든 OECD 자료든 엄밀한 분류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나와있지 않습니다 ㅠㅠ 좋은 지적해주셔서 감사합니다.
1
카르스
아 다시 확인해 봤는데 OECD 통계에서는 자녀의 등하원시간은 가사노동에 포함되는 것 같습니다.
Estimates of daily time spent on unpaid work, such as routine housework, shopping, care for household members, childcare, adult care, care for non-household members, volunteering, "travel related to household activities", and other unpaid activities, in minutes per day, by gender, most recent year
1
오호라
아파트생활로 가사노동이 집안에서만 이루어질텐데
이렇게 되면 자녀와 관련된게 높겠죠.
1
절름발이이리
인터레스팅
1
흥미로운 연구네요. (여)210분 + (남)50분 vs (여)260분 + (남)140분 이렇게 되는걸까요?

생각해보면 말씀하신 것처럼 도시화된 수도권에 살며 다양한 가전제품을 적극 활용하며, 많은 부분을 외주화했기에 가능한 수치네요. 시골 산기슭에 한옥을 사서 수리해서 산다거나 미국처럼 교외 주택에 거주하면 생각지 못한 더 많은 가사일이 생성될 것 같습니다.

한가지 더 궁금한게, 동거구성이 싱글/커플(결혼)/육아 이렇게 나눠진 가사노동량이 궁금하네요.
저는 싱글일 때는 회사일에 집중하며 퇴근 후에는 여가를 즐기며... 더 보기
흥미로운 연구네요. (여)210분 + (남)50분 vs (여)260분 + (남)140분 이렇게 되는걸까요?

생각해보면 말씀하신 것처럼 도시화된 수도권에 살며 다양한 가전제품을 적극 활용하며, 많은 부분을 외주화했기에 가능한 수치네요. 시골 산기슭에 한옥을 사서 수리해서 산다거나 미국처럼 교외 주택에 거주하면 생각지 못한 더 많은 가사일이 생성될 것 같습니다.

한가지 더 궁금한게, 동거구성이 싱글/커플(결혼)/육아 이렇게 나눠진 가사노동량이 궁금하네요.
저는 싱글일 때는 회사일에 집중하며 퇴근 후에는 여가를 즐기며 사는데 지장이 없었거든요.
그래서 가사노동량을 생각하여 저의 변화를 보면 싱글:30분 / 커플:50분 / 육아 : 200분 정도 체감이라....제 입장에선 현재 개인시간이 전무하다시피 하죠.

남여가 결혼전에 비슷한 시간 자원이 있는데, 결혼후엔 상황이 달라진다면 저출산 결혼기피 트렌드가 이해가 될 수 있지 않을까요? 전 독립해 살아 다른 경우지만, 예를 들어 부모님 집에서 부모님이 해주는 밥, 세탁, 청소 서비스 등을 받고 살던 남녀가 만나서 같이 살게 되었을 경우...맞벌이는 똑같이 하는데 한쪽만 가사노동량이 급증한다면 기피 사유가 될 수 있겠죠.

(이건 다른 말인데 저는 라이프스타일이 재활용쓰레기가 거의 안나오는 타입이라 혼자살 땐 2주에 한번 정도 버렸는데
지금은 일주일에 2번은 버려야할 양이 나오고 있어요. 4배 증가...)
3
카르스
말씀하신 가족구성 부분도 중요하겠네요. 좋은 지적 감사드립니다.
초밥은연어
순수 가사노동의 가치는 바닥이고 앞으로 더 떨어질겁니다

세탁기/건조기/로봇청소기/고성능 무선청소기/식기 세척기로 끝나요...

그리고 밥도 문제가 안 되는게 밀키트 가게 요새 아파트나 거주지역마다 1개는 있습니다.

전업주부의 가치가 낮아지고 있고 앞으로도 그럴겁니다.
커피를줄이자
늘 느끼는 건데 ㅎㅎ.. 홍차넷은 늘 요점을 못건드리다 보니까 ㅋㅋㅋ 항상 변죽만 길게 울리다 끝나는 거 같네요.. ㅎㅎ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25 정치/사회구척장신 호랑이 포수 장군의 일생 3 당근매니아 23/09/05 2903 16
1324 일상/생각경제학 박사과정 첫 학기를 맞이하며 13 카르스 23/08/29 4056 32
1323 영화콘크리트 유토피아 - 각자에게는 각자의 하느님이 6 골든햄스 23/08/27 2826 12
1322 요리/음식내가 집에서 맛있는 하이볼을 타 먹을 수 있을리 없잖아, 무리무리! (※무리가 아니었다?!) 24 양라곱 23/08/19 4192 28
1321 일상/생각뉴욕의 나쁜 놈들: 개평 4센트 6 소요 23/08/16 2928 20
1320 경제사업실패에서 배운 교훈, 매출 있는 곳에 비용 있다 7 김비버 23/08/12 3859 28
1319 정치/사회개평이 필요하다 19 기아트윈스 23/08/05 3863 65
1318 체육/스포츠대모산 간단 가이드(수서역~청솔마을 코스) 20 산타는옴닉 23/08/03 3054 19
1317 일상/생각사랑하는 내 동네 7 골든햄스 23/08/01 3009 34
1316 일상/생각우리 엄마 분투기 8 dolmusa 23/08/01 3081 47
1315 정치/사회한국 가사노동 분담 문제의 특수성? - 독박가사/육아 레토릭을 넘어서 25 카르스 23/08/01 3870 15
1314 창작어쩌다 보니 그림을 그리게 된 건에 대하여 61 퐁퐁파타퐁 23/07/25 4213 15
1313 일상/생각벗어나다, 또는 벗어남에 대하여 11 골든햄스 23/07/24 2949 27
1312 정치/사회학생들 고소고발이 두려워서, 영국 교사들은 노조에 가입했다 3 카르스 23/07/21 3595 20
1311 일상/생각(기이함 주의) 아동학대 피해아동의 부모와의 분리를 적극 주장하는 이유 45 골든햄스 23/07/12 3696 44
1310 과학(아마도) 후쿠시마 오염수가 안전한 이유 25 매뉴물있뉴 23/07/09 3392 13
1309 일상/생각사진에도 기다림이 필요하다. 6 메존일각 23/07/06 2537 13
1308 일상/생각비둘기야 미안하다 14 nothing 23/06/29 3028 10
1307 과학유고시 대처능력은 어떻게 평가가 될까? - 위험 대응성 지표들 18 서포트벡터 23/06/26 3449 31
1306 문화/예술애니메이션을 상징하는 반복 대사들 22 서포트벡터 23/06/14 4948 8
1305 창작서울에 아직도 이런데가 있네? 7 아파 23/06/01 4668 24
1304 문화/예술'이철수를 석방하라' 1 열한시육분 23/05/29 3239 13
1303 일상/생각난임로그 part1 49 요미 23/05/21 4533 69
1302 일상/생각빨간 생선과의 재회 13 심해냉장고 23/05/21 3522 22
1301 일상/생각팬은 없어도 굴러가는 공놀이: 릅신이 주도하는 질서는 거역할 수 없읍니다. 8 구밀복검 23/05/20 3400 23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