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24/06/03 17:52:45수정됨
Name   카르스
Subject   낙관하기는 어렵지만, 비관적 시나리오보다는 낫게 흘러가는 한국 사회
이 나라의 사회구조적 변화를 해결하는 과정들을 보면서 공통적으로 든 인상은
"낙관적 시나리오에는 못 미치지만 비관적 시나리오보다는 낫게 가고 있다"는 사실이다.
21대 국회 내 통과가 무산된 국민연금 개혁안에서 그 생각이 들었다. 

개인적으로 생각했던 낙관적, 비관적 시나리오를 예로 들어보자면 
낙관적 시나리오: 21대 국회 임기 막판의 기적적인 타결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45% 전후)
vs  
비관적 시나리오: 보험료율과 소득대체율에 있어 양쪽 의견을 좀처럼 못 좁히다가(예: 소득대체율 이견 5%p 이상) 21대 국회 내 통과 무산. 
양쪽 모두 책임이 커서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까 갑갑한 상황.

실제 상황:  21대 국회 내 통과 무산. 여기까지는 비관적 시나리오로만 보이지만
1) 여야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44%까지 합의. 연금개혁 시급성을 강조하며 불발을 아쉬워하는 전문가들도 인정하는 성과. 
2) 야권의 결단 있는 양보에도 불구하고 여권 일각의 반발로 무산되었기 때문에 여권의 책임이 주도적임. 나아가 정치권의 최소 한 축은 연금개혁 의지가 강하다는 희망도.

낙관적으로 보긴 어렵지만 마냥 절망스럽지도 않고, 희망의 씨앗은 많이 남아있는 일처리다.
 
연금개혁을 넘어 근래 사회쟁점화된 이슈들도 비슷하다.
이태원 사건(정치적 책임공방과 인터넷 음지의 악성컨텐츠를 제외한 다른부분은 놀라울 정도로 멀쩡했다), 
교사들 악성민원 사건(완전하지 않지만 부분적인 절차적 개선은 있었다)도 비슷한 식이었다.
완벽하다곤 못 해도 적지 않은 변화를 불러일으켰다. 
이번의 훈련병 사망사고도 비슷한 수준으로 처리될 거고, 딱 그만큼 훈련 환경이 개선되겠지.   

정치적 양극화의 시대에서 벌어지는 정치적 개짓거리와(여기까지 말하면 정치글이 되기에, 구체적 책임소재와 그 비율은 말하지 않겠다)
그리고 인터넷 음지에서 벌어지는 짓거리는 참 할많하않이지만, 
그 두 영역을 벗어난 현실의 일처리는 낙관과 비관 사이에서 흘러간다.

단순 이슈를 넘어선 사회구조적 변화에 대한 대응들도 크게 다르지 않다. 
안이한 낙관론을 정당화할 정도로 잘 돌아가진 않지만, 최소한 좌절이 정당화될 정도로 비관적이지는 않다. 

1) 저출산 고령화, 지역소멸에 대응하는 이민 유입: 한동훈이 말한 이민청은 없고 이민유입의 노동력 측면이 과도하게 강조된 문제는 있지만 
이민 유입을 정부가 거절하거나, 이에 반발하는 유의미한 시민운동이나 정치적 움직임이 있지는 않음. 이쪽으로 위험한 자유통일당은 다행히 원내정당 진출 실패.   
2) 코로나19 전후의 경제적 혼란 : 재정 관련해서는 R&D를 포함한 삭감빔에 극악의 세수진도율에 감세에 정말 할많하않. 
하지만 적어도 인플레이션과 경제성장률의 관점에서 한은과 정부는 기대 이상으로 잘 하고 있음. 
3) 장애인 인권: 악명높은 지하철 시위는 서울시 대 전장연의 싸움으로 지지부진하게 흘러감. 대신에 해당 이슈가 환기가 되고, 성동구청장 정원오처럼 이동권 어젠다를 받아들이고 이준석의 반전장연 노선을 비판하는 정치인이 생겨나고, 과거에 비해 장애인들이 길거리에서 많이 보이는 등 많은 긍정적 변화가 있음.  
4) 성소수자 인권: 겉으로는 여야 모두가 대놓고 적대하거나 쉬쉬하는 문제적 행태를 보임. 하지만 물밑에서는 많은 변화가 있음. 처음으로 커밍아웃한 지역구의원 LGBT 탄생, 서울 퀴어 퍼레이드의 규모 확대, 처음으로 국회에서 발의된 생활동반자법, 임신한 레즈비언의 커밍아웃 등등. 타 선진국에 비해 느리긴 하지만 분명한 긍정적 변화. 
5) 탄소배출 감축: 1인당 배출량은 6년 전에 정점 찍고 현 정부에서도 감소하는 중. 한국의 절대적 1인당 배출량은 높은 수준이고, 정부의 배출수준 감축 목표가 타 선진국에 비해 약한 수준이긴 하나, 이 주제로 최소한 개선되어가는 모습은 보인다. 

등등 

복합적 도전 내지 위기의 시대에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밑도 끝도 없는 절망이 아니다.
밑도 끝도 없는 절망은 잘못된 비관임을 받아들이고, 그동안 일궈낸 부족한 성과를 인정하면서,
절망에 빠질만한 특정 이슈에 대한 강한 문제의식을, 부족한 성과를 확장하려는 실천의지로 옮기는 데서 시작해야 하지 않을까.

한국 사회는, 적어도 밑도 끝도 없는 절망은 잘못됐다고 말할 긍정적이 사회 변화를 보여왔으니까.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4-06-18 09:26)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11
  • 추천합니다


자공진
진지한 글일수록 맞춤법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실례를 무릅쓰고 말씀드립니다. 어감을 위해 일부러 '지꺼리'라고 쓰신 것이 아니라면, '짓거리'로 수정하시는 것이 글의 완성도를 높여 줄 것입니다...
2
카르스
수정했습니다. 지적 감사합니다.
2
절름발이이리
다른 건 솔직히 타국대비 치명적인 문제라고 보기도 민망한 수준이고, 출산률 하나가 유독 JOAT이긴 한데 이민으로 풀어가야 하고 풀어갈 것이다 라는게 제 오래된 생각입니다.
3
저는 출산율도 베이비붐세대가 소유한 부동산이 시장에 풀리기 시작하면 결국 반등할거라고 생각합니다.
2
절름발이이리
설령 반등하더라도 선진국 출산률의 상한이 그리 높지가 않고 이미 기본 모수가 너무 깎여서, 이민이나 거대유전 같은 변수가 없으면 경창륙 충격을 피할 수가 없습니다.
1
네 저도 그 부분은 염려하는데 AI 발달로 인한 로봇 노동력 투입과 핵융합 발전 상용화가 이루어지면 괜찮을거라고 희망회로 태우고 있습니다.
1
절름발이이리
기술발전 절망(제겐 아니지만)편: 노화가 극복되어서 사고사/질병사 하기 전까지 수백년 은퇴하지 못하고 생산인구로 살 수 있음
2
골든햄스
그게 시장에 풀릴까요? 거의 상속될 거라 생각했는데 ..
1
상속되더라도 여러가지 이유로 시장에 풀릴 일은 많죠.
2
cheerful
현대에는 고령 단계에 진입해도 지출이 줄지 않을 가능성 (의료 비용으로 오히려 증가) 이 매우 높아서 여러가지 방법으로 현금화 할 생각을 할 수 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2
골든햄스
오호..
1
자몽에이슬
공급대비 수요 부족으로 인한 부동산가격 대폭락에 대해서는 어떻게 해결될 것으로 생각 하시나요?
말하신 시나리오 대로라면 낮아진 집값으로 집 구매는 좋아지겠지만 전체적으로 경제 자체가 대침체 될 것 같아서요.
1
인구수가 늘거나 외국인 투자 유치 말고는 답이 없죠. 개인적으로는 부동산 가격이 낮아야 출산율이 높아진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경기가 침체되더라도 부동산 내려가는게 맞다고 봅니다.
3
산들에꽃피네
집 사는 문화는 죽을 때까지 없어지는 걸 보기 힘들 것 같네요.

고가 아파트는 생활비 때문에 역모기지론으로 많이 나올 것 같습니다.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00 정치/사회한국 언론은 어쩌다 이렇게 망가지게 되었나?(3) 26 삼유인생 24/06/19 3309 35
1399 기타 6 하얀 24/06/13 2269 28
1398 정치/사회낙관하기는 어렵지만, 비관적 시나리오보다는 낫게 흘러가는 한국 사회 14 카르스 24/06/03 3489 11
1397 기타트라우마와의 공존 9 골든햄스 24/05/31 2308 23
1396 정치/사회한국 언론은 어쩌다 이렇게 망가지게 되었나?(2) 18 삼유인생 24/05/29 3583 29
1395 정치/사회한국언론은 어쩌다 이렇게 망가지게 되었나?(1) 8 삼유인생 24/05/20 3090 29
1394 일상/생각삽자루를 추모하며 4 danielbard 24/05/13 2466 29
1393 문화/예술2024 걸그룹 2/6 24 헬리제의우울 24/05/05 2559 16
1392 정치/사회취소소송에서의 원고적격의 개념과 시사점 등 9 김비버 24/05/02 2637 7
1391 일상/생각방문을 열자, 가족이 되었습니다 9 kaestro 24/04/29 2437 11
1390 일상/생각나는 다마고치를 가지고 욕조로 들어갔다. 12 자몽에이슬 24/04/24 2971 19
1389 꿀팁/강좌[해석] 인스타 릴스 '사진찍는 꿀팁' 해석 24 *alchemist* 24/04/23 2860 16
1388 기타잡담)중국집 앞의 오토바이들은 왜 사라졌을까? 27 joel 24/04/20 3975 34
1387 요리/음식드디어 쓰는 쌀국수 투어 모음집 1편 5 kogang2001 24/04/19 1947 10
1386 일상/생각개인위키 제작기 7 와짱 24/04/17 2470 13
1385 정치/사회이준석이 동탄에서 어떤 과정으로 역전을 했나 57 Leeka 24/04/11 5150 6
1384 정치/사회절반의 성공을 안고 몰락한 정의당을 바라보며 10 카르스 24/04/11 3149 20
1383 정치/사회의대 증원과 사회보험, 지대에 대하여...(펌) 45 cummings 24/04/04 9064 37
1382 기타우리는 아이를 욕망할 수 있을까 22 하마소 24/04/03 3126 19
1381 일상/생각육아의 어려움 8 풀잎 24/04/03 2240 12
1380 정치/사회UN 세계행복보고서 2024가 말하는, 한국과 동북아에 대한 의외의 이야기 17 카르스 24/03/26 3564 9
1379 일상/생각인지행동치료와 느린 자살 8 골든햄스 24/03/24 2784 9
1378 일상/생각아들이 안경을 부러뜨렸다. 8 whenyouinRome... 24/03/23 2612 28
1377 꿀팁/강좌그거 조금 해주는거 어렵나? 10 바이엘(전문가) 24/03/20 2807 13
1376 일상/생각삶의 의미를 찾는 단계를 어떻게 벗어났냐면 8 골든햄스 24/03/14 2655 19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