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6/01/31 04:08:37
Name   눈부심
Subject   로버트 새폴스키 - 스트레스와 인간
출처 :

이 영상에선 스트레스가 인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더 심층적으로 다루어집니다. 앞서 보여드린 바와 같이 개코원숭이의 심리전이 인간의 스트레스에 대해 연구하기에 좋은 실험주제가 되는데요. 인간이 사회에서 갖는 자신의 위치에 민감하듯 개코원숭이도 자신의 서열에 민감하고 그 서열의 의미를 받아들이는 자세도 인간같이 다양합니다. 재밌는 예가 있는데 서열 2위의 개코원숭이는 항상 서열 1위의 개코원숭이를 일생의 경쟁자로 보고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편이지만 서열 20위의 개코원숭이를 보며 자신의 서열이 더 높다는 사실에 희열을 느끼는 서열 19위의 개코원숭이도 있어요. 물잔이 어중간하게 반 채워져 있을 때 반밖에 안 채워졌냐 반이나 채워졌냐라고 생각하는 차이죠. 인간이 스트레스를 덜 받기 위해선 서열 19위의 개코원숭이처럼 느긋할 필요가 있다는군요. 누구도 감히 다가와서 그루밍을 하지도 못하는 서열 1위의 대장원숭이보다 서로 털을 정리해주며 보듬어주는 사회생활을 즐기는 개코원숭이들의 건강이 더 좋거든요.

천성적으로 스트레스를 덜 받는 개코원숭이에게는 특성이 있습니다. 일의 경중을 헤아릴 줄 알아요. 이를테면, 가만 있는데 두려움의 대상이던 존재가 나타나서 원숭이를 위협하면 바로 방어모드로 돌변해야 정상이고 그 때 스트레스 호르몬이 마구 분출됩니다. 이 때의 스트레스 호르몬은 원숭이에게 이익이 되는 호르몬이에요. 자신을 방어하는 데 도움이 되니까요. 그치만 다른 평화로운 개코원숭이가 근처에서 낮잠을 자는데 그게 거슬리고 짜증이 마구 솟아서 스스로 스트레스를 주체하지 못하면 이 때 분출되는 스트레스 호르몬과 상승하는 혈압은 원숭이의 건강만 해칠 뿐이에요(개코원숭이들이 그렇게 짜증이 많다고 하네요). 그렇다면 위협적인 존재가 나를 공포로 몰아넣는데 가만히 당하고만 있으면 그건 또 좋은 것이냐. 수동적으로 포기모드로 전환하면 맞서 싸우는 것보다 두 배의 스트레스 호르몬이 우리 몸안에서 분비되어 매우 좋지 않다고 합니다.(다른 영상에서 봤는데 우울증이 심해져서 생물학적인 영향을 끼치는 경지에 이르면 나타나는 증상 중에 하나가 모든 일에 흥미를 잃고 포기모드로 들어가게 되는데 이 때 인간의 신체 내에서는 겉보기와는 달리 근육 등에 어떤 수치가 극렬하게 들끓는다고 해요. 내상이 일어나고 있는 거죠).  스트레스 호르몬수치가 높은 원숭이는 싸움에서 지고 나서 결백한 약자를 줘 팬다고 합니다. 그렇지 않은 원숭이는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능력이 뛰어난 것이고 다른 원숭이들보다 2-3년 오래 살구요.

스트레스를 조절하는 비결같은 것이 있느냐. 요가, 에어로빅, 기도, 약물, 취미생활 등은 어느 정도 스트레스 조절에 도움이 됩니다. 도움이 된다는 말은 혈압이나  콜레스테롤수치를 낮춰준다는 의미에서요. 그러나 이것이 다 하루아침에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에요. 그러한 노력은 매일 기울여야 하고 장시간 투자해야 하고 그 노력에 집중할 수 있어야 해요. 그리고 진정 기쁜 마음으로 노력해야 합니다. 실험쥐에게 즐겨하는 바퀴돌리는 운동을 시키면 뇌에서 새로운 뉴런을 생성해 내지만 그 실험쥐가 운동할 때마다 덩달아 운동을 하도록 강요당하는 다른 쥐는 뉴런이 죽어가는 경험을 하죠.  

스트레스와 뇌는 서로 연관이 있는데요. 우리에게는 전두엽피질이란 데가 있어요. 전두엽 앞의 피질은 주로 머리를 많이 쓰는 일을 담당해요. 인간의 성장기에서 가장 늦게 완성되는 뇌의 부분입니다. 인간은 어느 동물보다 전두엽이 가장 발달한 동물이고요. 당장의 만족보다는 차후의 이득을 인내를 가지고 기다릴 줄 아는 영역입니다. 충동이나 감정을 억제하는 곳이기도 하고요. 인간에게서 이 부분을 제거하면 씨리얼 킬러가 될 수도 있어요. 사형수들의 뇌를 연구한 결과에 의하면 놀랍게도 많은 이들의 전두엽 피질이 손상되어 있다고 해요. 이곳에 손상을 입으면 우리가 잘잘못을 알기는 하나 자기행동을 억제하지 못합니다. 다른 영장류와 비교했을 때 인간만이 유일하게 이 전두엽 피질에서 매우 특이한 유전자발현을 보입니다.  가장 더디게 발달하는 뇌구역이기도 해서 25세가 되어서야 완전히 성장한다고 해요(!!). 이 말은 즉, 전두엽 피질의 유전자가 가장 선천성에 덜 구속되고 환경과 경험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유전자란 뜻입니다.

영상의 20분 경에 젠더에 관한 이야기가 나와요. 동성애, 트랜스젠더가 부각되는 요즘 혹자는 젠더라는 건 우리가 생각하는 만큼이나 이분법적인 영역이 아니라 일종의 스펙트럼이 아닌가라고까지 하거든요. 로버트 박사에 의하면 우리 인간은 인종에 대한 구분은 애매모호한 태도를 쉽게 보이면서 젠더에 대해서는 거의 불가역적으로 이분법적인 반응을 보인다며 약간은 조심스러운 태도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경계가 허물어져가는 것처럼 보이는 젠더에 대한 담론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더 고집스럽게 이분법적인 사고가 꽤 지속될 것이라고 보고 있어요. 가치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라 인지학, 생물학적으로 그렇다고 하는 얘기예요. 모든 영장류들은 새 생명이 나면 새끼의 가랑이냄새부터 맡으며 암수를 구별하는 것에 매우 집착하는데 이런 특성을 인간 또한 가지고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덧붙여 말하길, 트랜스젠더의 경우, 자신이 타고난 성에 반하여 그들이 신체와는 다르게 여성이나 남성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라고 우리는 생각하지만 그것이 아니고 자신이 스스로 어떤 성이라고 각인하고 있는 뇌가 있는데 신체는 엉뚱한 성으로 태어난 경우라고 합니다. 미묘한 차이가 있죠. 또 로버트는 말하길 젠더라는 것은 제아무리 심리적으로 조작하고, 바꾸려고 해도 방향이 바뀌지도 않고 우리 내면에 철저하게 고착화되어 있다고 합니다. 성의 지향이 무엇이든 그것이 얼마나 선천적인 것인가를 강조하는 것이죠.  

인간의 공감능력에 대한 이야기도 나옵니다. 인간의 공감능력이란 건 특정유전자로 측정되거나 어떤 특성이 보이지가 않는대요. 아이러니하게도 인간의 선한 마음의 발로는 전두엽 피질에서 목격이 안된다고 합니다. 하버드의 어떤 교수가 실험을 했어요. 실험환경은 피실험자가 마음만 먹으면 치팅하는 것이 가능했습니다. 치팅하는 피실험자의 뇌, 특히 전두엽 피질은 엄청나게 활발하게 활동을 합니다. 속일까 어쩔까 고민하고 얼굴 표정을 신경 쓰는 등 '속이는 일'은 전두엽 피질에게서 많은 에너지를 요구하는 일이었어요. 피실험자들의 1/3은 전혀 치팅을 하지 않았는데 이들의 전두엽 피질은 아무 반응을 보이지 않았죠. 어떤 영웅적 행위를 한 보통 사람들을 인터뷰할 때 우리가 종종 듣는 말 중에 '생각할 겨를도 없이 뛰어들었다'고 하는 말이 있어요. 이 도덕적 행위의 영역은 뇌가 어떤 시그널을 주고 그것이 행동으로 나타나는 철저한 계산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어떤 연유에선지 할 사람은 하게 프로그램되어 있는' 거였어요. 이건 어떤 선천적인 도덕적 의지가 있어서가 아니라 뇌에서는 원인을 찾아볼 수 없는 "환경적 요인"에 의해 생겼다가 갑자기 드러나는 것이었어요.

로버트 교수의 < 왜 얼룩말은 위궤양에 걸리지 않는가 >라는 책이 엄청 재밌대요. 영상 두 개 봤으니 읽은 것으로 퉁칩시다 ㅋ.

* 수박이두통에게보린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6-02-15 08:24)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10
  • 유익한 내용이에요!


Realise
오늘 올리신 글 두개 다 재밌어요 ㅋㅋㅋ 잘봤습니다.

눈부심님 남편분은 눈부심님 말만 들으면 세상에 아무런 고민거리와 걱정이 없을 듯요. 하자는 대로만 하면 될 테니. 정말 영문학 전공하셨다는 게 참 의외네요. 당연히 이과인줄만 알았는데.
눈부심
저희집은 제가 남편말을 잘 들으면 자다가도 떡이 나오는..ㅋ
저 어렸을 때 이과쪽이 이렇게 재밌는 줄 누가 진작에 가르쳐줬으면 그쪽으로 전공했을텐데 말예요. 보통 여학생들이 하는 공부, 여학생들이 하는 전공 따라..이래서 스테레오타입에 좀비처럼 안주하면 안되는 것 같아요.
April_fool
근래에 본 일본 애니메이션 중에서 <PSYCHO-PASS>라는 게 있습니다. ‘시빌라 시스템’이란 것에 의해 사실상 모든 것이 지배되는, 유토피아인 척 하는 디스토피아 일본에서 “형사”로서 범죄와 싸우고 체제를 수호하는 자들의 이야기인데… 거기 보면 등장하는 주요 키워드 중에서 「범죄 계수」란 것이 있습니다. 이건 (설정상) 범죄자, 혹은 범죄를 저지를 가능성이 있는 자에게서 높게 나타나는 심리적 수치인데, 특이한 게 이 수치는 한번 일정 수준 이상으로 올라가면 좀처럼 내려오지 않고 또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수록 상승합니다... 더 보기
근래에 본 일본 애니메이션 중에서 <PSYCHO-PASS>라는 게 있습니다. ‘시빌라 시스템’이란 것에 의해 사실상 모든 것이 지배되는, 유토피아인 척 하는 디스토피아 일본에서 “형사”로서 범죄와 싸우고 체제를 수호하는 자들의 이야기인데… 거기 보면 등장하는 주요 키워드 중에서 「범죄 계수」란 것이 있습니다. 이건 (설정상) 범죄자, 혹은 범죄를 저지를 가능성이 있는 자에게서 높게 나타나는 심리적 수치인데, 특이한 게 이 수치는 한번 일정 수준 이상으로 올라가면 좀처럼 내려오지 않고 또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수록 상승합니다. 때문에 그곳 세계관의 사람들은 다들 약물과 카운셀링 등으로 스트레스를 지속적으로 최소화시키려는 내적·외적 압력을 받고 있습니다. 범죄 계수 수치가 일정치 이상으로 올라가면 범죄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 하여, 그것만으로 잡혀가서 사회와 격리당하고 말거나 심지어는 즉각 처형당할 수도 있거든요. 그런데 극중에서 보면 이렇게 스트레스를 전혀 받지 않고 살아가는 것의 부작용이 곳곳에서 드러납니다. 자세한 것은 스포일러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생략하겠습니다만… 하여튼, 이 작품이 해당 부분에서 던지는 메시지는 명확해 보입니다. [강제로 스트레스를 줄이도록 하는 것이 옳은가? 스트레스는 과연 해롭기만 한가?] 그게 생각나네요.
눈부심
흥미로운 스토리예요. 마이너리티 리포트가 생각나기도 하고.
제가 스트레스에 굉장히 약한 편인데 다행히 스트레스 받을 일이 없어서 평온하게 살고 있어요. 옛날에 옛날에 직장때문에 매일 출근하는 것이 공포스러웠던 그 때가 생각나요. 우... 무셔븐...로버트 박사가 혹시나 누가 상술로 이거면 스트레스 한 방에 가신다며 과학적으로 증명된 방법이라고 떠들고 다니면 헛돈 낭비하지 말라고 하더라고요.
April_fool
안 그래도 등장하는 보스급 악당 양반이 작중에서 “전에 읽었던 (필립 K. 딕) 소설의 패러디인 것 같아, 이 도시는”이라는 대사를 하기도 합니다.
--------
(전략)
마키시마 쇼고 : 평범하지 않은 도시라… 뭐랄까, 전에 읽었던 소설의 패러디인 것 같아, 이 도시는.
최구성 : 예를 들면… 윌리엄 깁슨인가요?
마키시마 쇼고 : 필립 K. 딕이려나. 조지 오웰이 그린 사회만큼 지배적이지도 않고, 깁슨이 그린 만큼 와일드하지도 않아.
최구성 : 딕이라… 읽어본 적 없네요. 우선 한 권 읽어본다면 뭐가 좋을까요?
마키... 더 보기
안 그래도 등장하는 보스급 악당 양반이 작중에서 “전에 읽었던 (필립 K. 딕) 소설의 패러디인 것 같아, 이 도시는”이라는 대사를 하기도 합니다.
--------
(전략)
마키시마 쇼고 : 평범하지 않은 도시라… 뭐랄까, 전에 읽었던 소설의 패러디인 것 같아, 이 도시는.
최구성 : 예를 들면… 윌리엄 깁슨인가요?
마키시마 쇼고 : 필립 K. 딕이려나. 조지 오웰이 그린 사회만큼 지배적이지도 않고, 깁슨이 그린 만큼 와일드하지도 않아.
최구성 : 딕이라… 읽어본 적 없네요. 우선 한 권 읽어본다면 뭐가 좋을까요?
마키시마 쇼고 : <안드로이드는 전기양을 꿈꾸는가?>.
최구성 : 오래된 영화의 원작이군요.
마키시마 쇼고 : 내용이 상당히 달라. 언제 한가할 때 비교해보는 게 좋을 거야.
최구성 : 다운로드해 두죠.
마키시마 쇼고 : 종이책으로 사. 전자책은 무미건조해.
(후략)
--------
April_fool
전두엽피질 하면 항상 엮여서 떠오르는 것이 바로 [전두엽절제술](lobotomy)입니다. 20세기 초중반에 “정신질환을 호전시킨다” 하여 엄청나게 유행한 수술이지요. 기록에 따르면 이 수술을 받은 사람들은 대개 대단히 수동적이고 온순한 잉여인간이 되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 부분을 제거하면 연쇄살인범이 될 수도 있다니, 상당히 역설적이네요. 전두엽절제술을 받은 환자가 저지른 범죄 하면 전두엽절제술을 개발한 에가스 모니스가 자신이 수술한 환자에게 총을 맞아 장애인이 된 것이나, 혹은 일본에서 일어난 소위 “로보토미 살인사건”(ロボトミー殺人事件)이 생각나기는 하는데…
눈부심
헛. lobotomy란 말 들어봤어요. 뇌수술로 정신질환을 치료하고자 했던. 그 부분이 전두엽이었군요. 오아...
레지엔
위에서 이야기한 건 이제 물리적으로 전두엽이 통으로 제거된 경우라기보다는 전두엽에 의한 \'억제\' 기능이 손상된 경우에 충동적, 감정적 폭발을 보인다는 이야기에 가깝습니다. 그러니까 피니어스 게이지의 일화같은 것이죠.
April_fool
그러고보니 피니어스 게이지도 사실 물리적으로는 전두엽 대부분이 날아간 것 아니었던가요?
레지엔
다는 아니고 반쪽이 날아갔을 겁니다. 사실 이것도 남아있는 기록(머리 크기 측정, 그림, 파이프 두께 등등)으로 추정한거지 요즘처럼 MRI로 찍어놓은게 아니라서 정확하게 어디까지인가는 꽤 논란이 있는 걸로...
The Last of Us
글 두 가지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방어가 필요할 때 참는 것도 스트레스 호르몬을 유발하는군요 신기하네요
이과가 이렇게 재미있을 줄이야 ㅎㅎ
눈부심
모든 초딩들한테 알려주고 싶어요. 이과 정말 재밌다고 ㅎㅎ.
로버트 새폴스키를 검색해보니 웬 산할아버지가...ㅋㅋ http://news.donga.com/3/all/20081206/8667463/1
며칠만에 들어오니 감사히 읽을거리가 많네요 헉헉
눈부심
영상에서도 캐주얼하게 입고 운동화 신고 계시잖아요. 말씀하실 때 유머감각도 있으시고 너무 좋아요..
앗 들켰다 동영상을 눌러보지 않은 것을...;;;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56 꿀팁/강좌고부갈등을 해결해보자 - 희망편 40 기아트윈스 18/07/02 8059 56
655 꿀팁/강좌집단상담, 무엇을 다루며 어떻게 진행되는가 4 아침 18/07/02 6233 14
644 꿀팁/강좌[사진]이미지의 품질 12 사슴도치 18/06/07 7267 10
640 꿀팁/강좌[사진]꿀팁. 내가 써본 보정하기 좋은 어플순위 13 사슴도치 18/05/31 9058 14
496 꿀팁/강좌[사진]하늘 사진을 찍어봅시다. 4 사슴도치 17/08/18 8230 8
492 꿀팁/강좌[커피]모카포트이야기 39 사슴도치 17/08/11 10400 11
443 꿀팁/강좌[사진]을 찍는 자세 20 사슴도치 17/06/02 8935 6
420 꿀팁/강좌[사진]인물 사진의 기초 - '앵글'을 알아봅시다. 14 사슴도치 17/04/26 8671 8
418 꿀팁/강좌[사진]인물 사진의 기초 - '프레이밍'을 알아봅시다. 2 사슴도치 17/04/25 7522 7
413 꿀팁/강좌국립중앙박물관에 가 보세요! 34 열대어 17/04/16 7705 15
410 꿀팁/강좌원룸 구할 때 고려해야 할 것 (#원룸 #부동산 #월세 #자취) 5 이슬먹고살죠 17/04/12 9304 7
409 꿀팁/강좌[사진]주제 부각하기. 15 사슴도치 17/04/10 5893 5
403 꿀팁/강좌움짤을 간편하게 만들고 업로드해보자 (데이터 주의) 6 익금산입 17/04/01 9569 16
367 꿀팁/강좌[사진]판형에 대해 알아봅시다. 30 사슴도치 17/02/16 8353 11
365 꿀팁/강좌[사진]노출의 3요소와 PSAM 27 사슴도치 17/02/15 9574 13
361 꿀팁/강좌사진찍으러 갈까요? 22 사슴도치 17/02/07 8176 25
359 꿀팁/강좌인간의 일 22 moira 17/02/04 8707 16
352 꿀팁/강좌읍,면,동 주민센터 방문시 알아두면 좋을 팁. 6 레이드 17/01/23 7136 12
281 꿀팁/강좌셀카기술학 개론 (1) 19 elanor 16/10/12 9248 7
249 꿀팁/강좌의료 및 의학 관련 질문을 올릴 때 27 리틀미 16/08/11 6870 4
246 꿀팁/강좌조용함의 떠들썩한 효과 26 눈부심 16/08/07 7217 8
204 꿀팁/강좌우리의 뇌에는 청소부가 있어요. 66 눈부심 16/05/12 9156 11
147 꿀팁/강좌로버트 새폴스키 - 스트레스와 인간 16 눈부심 16/01/31 9241 10
141 꿀팁/강좌만장일치의 역설 30 눈부심 16/01/11 9367 11
114 꿀팁/강좌진지한 취미 사진가를 위한 다섯 가지 팁(스크롤 압박!) 43 *alchemist* 15/11/15 10559 14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