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6/03/13 02:43:55
Name   기아트윈스
Subject   일상 속의 차별: EBS와 CBeebies를 중심으로
도영 2년만에 티비 라이센스를 사서 요즘 한참 티비보는 재미를 붙였어요. 영국은 기본 채널들을 보려고 해도 연간 145파운드나 하는 티비 라이센스를 사야만 볼 수 있거든요. 추꾸채널 같은 건....어휴... 비싸서 꿈도 못꾸지요. 서민들은 그냥 기본 라이센스만 사서 BBC류 채널들 좀 보고 추꾸는 꼭 보고픈 날 동네 펍에 가서 술마시면서 본답니다.

물론 집에서 티비를 본대도 결국 애들이 보는 걸 옆에서 조금씩 같이 보는 정도에요. 어른 채널을 틀거나 하면 난리가 나거든요.

헌데 BBC의 유아동 채널, 즉 영국의 EBS 유아동 채널에 해당하는 CBeebies를 보다보니 재밌는 점이 보였어요. 0세부터 보는 티비 채널에서부터 정치적 올바름(political correctness)을 지키기 위해 대단히 노력하고 있더라구요. 예컨대,



이거 아이들 축구교실 같은 프로그램인데요, 정치적 올바름을 향한 집념이 느껴지시나요? 선생님은 흑인 여성, 학생들은 좌측부터 남아시아계 남성, 동아시아계 여성, 남아시아계 여성(남미계?), 서유럽계 여성, 서유럽계 남성, 아프리카계 남성 이에요.

세상에 추꾸교실인데 선생님이 여성인 걸로도 모자라서 학생들 간의 성비를 남녀 5:5로 칼같이 맞췄어요. 인종이야 말 할 것도 없구요.




이건 Balamory 라는 어.. 일종의 어린이 시트콤이에요. 배경은 스코틀랜드 변방의 어느 섬마을이고 그래서 다들 스코티시를 써요. 자막 없인 못알아 먹겠다능...

그런데 저 춥고 벽진 섬동네에 흑인이 무려 둘이나 나오고 그 중 하나 (우하단 여성)는 준 주연급이에요. 주연은 가운데 녹색 재킷을 입은 여성이구요. 또 좌측에 보시면 휠체어를 탄 출연자도 보여요(!) 성별로 따져봐도 여성이 더 많군요.




하지만 진짜 킹왕짱 케이스는 바로 이분. Cerrie Burnell 이라고, 나면서부터 오른 팔이 없는 배우에요. Discover and Do 라는 프로그램과 The Bed time Hour 두 개를 2009년부터 맡고있어요. 시비비즈는 오후 6시가 되면 애들 자라고 알아서 방종하는데 그 방종할 때 해주는 프로그램이 베드타임 아워에요. 이분 첫 등장 때 시청자들로부터 약간의 항의를 받았지만 그보다 훨씬 큰 열렬한 지지를 받고 아직까지 말짱히 일하고 있답니다.




하나 더 보고 갈까요? 영국의 뽀로로, Peppa Pig 에요. 요즘은 시즌 종료되서 안하지만 그래도 단연코 영국을 대표하는 아동 프로그램입니다.

주인공인 페파 (우하단의 돼지)네 가족 및 동물친구들의 이야기에요. 여기서 남자들은 몸이 원형, 여자들은 드레스로 표현되요. (그것도 성차별 아니냐라면 할 말은 없지만,) 일단 위 사진에서 남성역과 여성역 캐릭터의 수를 한 번 세 보시겠어요? (뒤의 공룡들은 배경이니 제외)

정답: 애들은 여자가 하나 더 많고 어른은 남자가 하나 더 많아서 결론은 5:5

소오름.....

페파 피그의 정치적 올바름은 파면 팔수록 더 나와요. 토끼 가족이 새로 애를 낳았는데 남/녀 쌍둥이라든가, 누구는 이름이 Pedro고(스페인계) 누구는 Didier라든가 (드로그바!?) 등등.



이런 걸 보고 흥이 나서 그럼 EBS의 유아동 프로그램은 어떨까 하고 떨리는 마음으로 확인해보았어요. CBeebies도 일요일 걸로 했으니까 어디 EBS 유아동 채널도 일요일 편성표를 한 번...





위의 두 편은 뭔지 모르겠지만 아무래도 부모들 보라는 프로그램 같고 애들 것 같진 않아서 패스. 뽀로로와 타요는 모두 남자가 주인공이고 여자 캐릭터가 매우 드물지요. 

뽀로로, 에디, 포비, 해리, 크롱, 통통 vs 루피, 패티 (6:2)
타요, 로기, 가니 vs 라니 (3:1)



로보카 폴리나 코코몽 역시 여자 캐릭터가 매우 드물며 남자가 주인공이에요. 성비계산은 귀찮아서 패스.




계속해서 이어지는 코코몽/뽀로로/타요



오후에도 코코몽/뽀로로/타요


저녁 8시 이후는 엄마아빠용 프로그램인가봐요. 그래서 패스.


....

[ :( ]

뽀로로나 타요나 코코몽이나 로보카 폴리, 그리고 소개되진 않았지만 카봇이나 캐니멀 등 다른 아동용 프로그램들도 전부 다 남성이 주인공이며 출연진간 성비도 3:1 즈음으로 남성이 많아요. 이 남성 캐릭터들은 놀이를 주도하고 늘 활기차고 모험을 떠나고 무슨 일이 생기거든 해결사로 나서요. 주인공이죠.

아이들 시청자의 절반은 여자아이들이잖아요. 그 아이들은 분명 여성 캐릭터가 주인공일 때 더 감정이입을 할 게 분명해요. EBS는 왜 그런 만화는 틀어주지 않는 걸까요. 없진 않을 텐데요.

또 아이들은 만화를 보면서 자신의 성역할을 알게모르게 배울 텐데 이런 성비의 불균형이 여자아이들에게 긍정적으로 작용할 린 없지 않겠어요?

딸을 둔 아빠로서 여러모로 기분이 편치 않네요.

---
(1차수정: 약간의 오타수정)


* Toby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6-03-27 03:02)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7
  • 영국 프로그램 완전 감동이에요.
  • 많은 생각을 하게 해주는 글입니다
  • 달리 선진국이겠습니까?


리틀미
BBC에서 방영되는 어린이 프로그램이 PC함에 매우 섬세하게 신경 쓴다는 사실이 놀랍기도 하고 놀랍지 않기도 하고 그렇네요. 미국과 문화적 동질성이 큰 영국 말고 다른 유럽에서는 어떤가 궁금하군요. 디즈니에서 만드는 최근 애니메이션들은 남자가 왕자고 여자가 공주인 그동안의 틀에서 벗어나서, 여자를 주인공으로 하는 것들이 많은 것 같아요. TV 시리즈는 이렇게까지 섬세한 가 모르겠지만요.

그래도 코코몽이나 뽀뽀로와 비교하기에는 무리가 있는 것 같아요. 코코몽이나 뽀로로는 아직 언어 발달이 완전하지 않은 아이들을 상대로 만든 인형... 더 보기
BBC에서 방영되는 어린이 프로그램이 PC함에 매우 섬세하게 신경 쓴다는 사실이 놀랍기도 하고 놀랍지 않기도 하고 그렇네요. 미국과 문화적 동질성이 큰 영국 말고 다른 유럽에서는 어떤가 궁금하군요. 디즈니에서 만드는 최근 애니메이션들은 남자가 왕자고 여자가 공주인 그동안의 틀에서 벗어나서, 여자를 주인공으로 하는 것들이 많은 것 같아요. TV 시리즈는 이렇게까지 섬세한 가 모르겠지만요.

그래도 코코몽이나 뽀뽀로와 비교하기에는 무리가 있는 것 같아요. 코코몽이나 뽀로로는 아직 언어 발달이 완전하지 않은 아이들을 상대로 만든 인형극 수준의 애니메이션인데요. 한국에 BBC의 CBeebies에 해당하는 프로그램 자체가 없어요. 옛날에는 방송 3사에 전부 있었는데 이제는 조금만 크면 다들 스마트폰을 하는 바람에 EBS에서도 그런 걸 방영해봤자 시청률이 안 나와서... 아동용 뮤지컬이나 공개 방송 같은 걸로 번개맨이 인기가 많은데 이것도 남자 영웅이랑 남자 악당들이 나오는데 뭔가 또 핀트가 안 맞죠.

BBC에서는 인권 감수성에 섬세함에 놀라고, EBS에서는 아이들의 사회적 역할을 발달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이 전멸한 상태라는데 놀라고 그렇네요. 작년쯤에 시세미 스트리트에서 하우스 오브 카드 패러디하는 것보고 진짜 웃겼는데 한국에서도 그런 프로그램 있으면 좋을텐데 아쉬워요.
기아트윈스
리플 감사합니다. 제 답변은:

미국과 영국의 문화적 동질성이 어떠한가에 대해선 사실 잘 모르겠어요. 친구들 보면 독일에서 온 친구들이 영국 적응에 아무 문제가 없는 반면 미국에서 온 친구들이 해메고 다닌다거나 하는 일이 비일비재 하거든요. 그래서 언어가 같다는 거 외에 과연 영미간 동질성이 어느정도인가에 대해 약간 의문이 있어요. 한 영국인의 표현에 따르면 영국인들은 대략 영국을 미국과 유럽 사이 대서양 한가운데 정도 떠있는 걸로 생각한다고도 해요.

잘은 모르지만 아마 (최소한) 인종 분포의 PC 문제는 식민지를 대량 보... 더 보기
리플 감사합니다. 제 답변은:

미국과 영국의 문화적 동질성이 어떠한가에 대해선 사실 잘 모르겠어요. 친구들 보면 독일에서 온 친구들이 영국 적응에 아무 문제가 없는 반면 미국에서 온 친구들이 해메고 다닌다거나 하는 일이 비일비재 하거든요. 그래서 언어가 같다는 거 외에 과연 영미간 동질성이 어느정도인가에 대해 약간 의문이 있어요. 한 영국인의 표현에 따르면 영국인들은 대략 영국을 미국과 유럽 사이 대서양 한가운데 정도 떠있는 걸로 생각한다고도 해요.

잘은 모르지만 아마 (최소한) 인종 분포의 PC 문제는 식민지를 대량 보유한 적이 있던 서유럽국가들이라면 비슷한 고민을 다 하지 않을까 싶어요. 자국내 구 식민지 출신 인구가 많으면 최소한의 배려 없이는 공존하기 어려울 테니까요.

코코몽 뽀로로의 연령대를 언급하신 부분은... 뽀로로 무시하시면 안돼요 ㅎㅎ. 우선 구사하는 언어의 수준은 코코몽/뽀로로 쪽이 페파피그나 Balamory보다 분명히 높아요. 이건 영어더빙 뽀로로랑 페파피그를 번갈아가며 시청해보면 금방 답이 나오지요. 뽀로로 시즌 1 정도라면 모를까, 시즌 3 이후의 뽀로로는 한 4세 아동은 되어야 제대로 이해할 만큼 말도 많아지고 복잡해져요.

혹시 한국에 없다고 하시는 [사회적 역할을 발달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이 딩동댕 유치원, 뽀뽀뽀 등이라면 한국에도 아직 있어요. 딩동댕유치원이나 곰디와 친구들은 저희 아이들도 가끔 보곤 해요. 해당 프로그램들에는 여성 출연자가 꽤 있어요 (주로 아이들이요). 그런데 그런 프로그램들도 제 기준으론 여전히 미흡한 구석이 좀 많아요.

당장 생각나는 여성이 주인공인 뽀로로급 프로그램으로 [두다다쿵][키오카] 정도가 떠오르네요. 키오카는 아마 KBS, 두다다쿵은 EBS인가 그럴거에요. 두다다쿵은 요즘도 하고있을 텐데 하필 일요일은 편성일이 아니었는지 위의 비교에서 빠져있네요.

어쨌든 이러한 점들을 감안하더라도 한국의 애니메이션/아동용 프로그램물의 성비 문제는 분명 심각하게 검토해보아야할 필요가 있어요. 그런 문제제기가 있는지 없는지 모르겠지만 있다면 목소리가 작다는 데 아쉽고 없다면 없다는 게 또 아쉽네요.
리틀미
인종차별 문제에 대해서 건너 듣기로는(?) 독일이나 프랑스가 미국에 비해 심하다는 인식이 있어서요. 길가다가 아시안이라고 야유를 보낸다던지 비웃는다던지 하는 전반적인 인식 수준이 유럽이 더 안 좋다랄까요. 느낌상 이런 고도의 섬세함이 부족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네요.

딩동댕 유치원이나 뽀뽀뽀에서 여성 출연자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비교하거나 장애인이나 인종적 문제에 대한 접근이 부족한 것을 보여줬다면 비교로서 더 잘 와닿았을 것 같아서 쓴 이야기였습니다. 본의 아니게 뽀로로를 무시했는데 스샷으로 올려주신 프로그램들이 사회적 역... 더 보기
인종차별 문제에 대해서 건너 듣기로는(?) 독일이나 프랑스가 미국에 비해 심하다는 인식이 있어서요. 길가다가 아시안이라고 야유를 보낸다던지 비웃는다던지 하는 전반적인 인식 수준이 유럽이 더 안 좋다랄까요. 느낌상 이런 고도의 섬세함이 부족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네요.

딩동댕 유치원이나 뽀뽀뽀에서 여성 출연자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비교하거나 장애인이나 인종적 문제에 대한 접근이 부족한 것을 보여줬다면 비교로서 더 잘 와닿았을 것 같아서 쓴 이야기였습니다. 본의 아니게 뽀로로를 무시했는데 스샷으로 올려주신 프로그램들이 사회적 역할이 훨씬 복잡해 보여서 그렇게 생각한 것 같습니다. 페파 피그에는 아기들 엄마 아빠 할아버지 다 있는 것 같은데 뽀로로는 친구들만 있잖아요 ㅋㅋ 타요 버스에 남자 버스랑 여자 버스가 따로 있단 사실도 처음 알아서 조금 웃기네요 ㅋㅋ 뽀로로나 타요에서 성비 문제가 예로 드신 PC의 섬세함만큼 저한테는 와닿지가 않은 것 같습니다. 근처에 뽀로로 보는 아이가 없는 제 입장에서 안 와닿을 수도 있는데, 전체적으로 끄덕이면서 보고 이상하게 해명하는 것처럼 얘기를 했네요.

아동 프로그램에서 이런 인권 감수성은 한국에서 따라가야 겠죠. 한국 현실에 맞춰서 여성의 사회적 역할이라거나 저렇게 축구 선생님을 여성으로 하거나 아니면 동남아시아 혼혈 아이들에 대한 차별 문제에 대해 다뤄야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저학년층에서 동남아시아 혼혈에 대한 문제는 생각보다 좀 심한 것 같더라고요. 요즘 애들은 아파트 어디 사는 걸로도 왕따시킨다는 얘기도 본 것 같은데...

그런데 저는 요즘 드는 생각이 놀이터에서 뛰어노는 아이들의 비율이 여자 아이들이 많은 것처럼 느껴지는 게 있습니다. 남자 아이들은 게임하고 컴퓨터하는데 시간을 많이 써서 밖에 놀고 친구들을 만나는데 시간을 훨씬 적게 할애하고 사회화 수준이 낮아지는 것 같아요. 몇년전에 demise of guys라는 TED 강연을 봤었는데 한국 현실에도 맞아 보였어요. 사회적 지능이나 교우 관계에 대한 발달에서 남녀 격차가 점점 심해지는 게 아닐지요. 한국에서 남녀 문제는 영유아부터 노년층까지 하나 같이 다 개판이라 어디서부터 문제를 지적해야 할 지 모르겠는 수준인 듯요.
기아트윈스
맞아요. 지적할 부분이 아주 많지요 -_-;;
와이프에게 들은 인터넷 농담인데, 한국의 경우 백인 혼혈 아이들은 예능에 나오고 동남아 혼혈 아이들은 다큐에 나온대요.

....ㅠ.ㅠ
리틀미
실제로 인생이... 한쪽은 예능이고 한쪽은 다큐... 다큐면 다행이죠, 시사고발에 나올 수도.
난커피가더좋아
웃어넘기기엔 정말 가슴을 때리는 말이로군요. 하...
곧내려갈게요
이거... 그냥 농담이 아닌거 같아요.
어른아이
어린이 프로그램은 아이가 가치관을 형성해 나가는 시기에 보는 것인만큼 작은 점 하나하나 신경써서 만드는 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평생을 가져가게 될 지도 모르는 편견을 심어줄 수 있는 요소들은 철저히 배제해야죠. 가뜩이나 아이에게 무의식적으로 성역할을 주입시키는 어른들이(본문에서 언급된 것과는 조금 다를 수 있지만, 저는 주로 성격적인 부분들에 대한 언급이 거슬리더군요. \"사내가 질질 짜고 그러면 안돼\", \"여자애가 칠칠치 못하게\" 등등) 많은데, 그런 어른들과의 접촉을 완전히 차단할 수도 없으니 공공의 영역에서라도 필요 이상... 더 보기
어린이 프로그램은 아이가 가치관을 형성해 나가는 시기에 보는 것인만큼 작은 점 하나하나 신경써서 만드는 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평생을 가져가게 될 지도 모르는 편견을 심어줄 수 있는 요소들은 철저히 배제해야죠. 가뜩이나 아이에게 무의식적으로 성역할을 주입시키는 어른들이(본문에서 언급된 것과는 조금 다를 수 있지만, 저는 주로 성격적인 부분들에 대한 언급이 거슬리더군요. \"사내가 질질 짜고 그러면 안돼\", \"여자애가 칠칠치 못하게\" 등등) 많은데, 그런 어른들과의 접촉을 완전히 차단할 수도 없으니 공공의 영역에서라도 필요 이상이라고 느껴질 정도로 엄격한 잣대를 들이밀어 주면 고마울 것 같습니다.

본문과 관련된 내용이라면 평소 로보카 폴리에 대해서 큰 불만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말씀하신 대로 주인공들의 성비가 3:1인데다 남자 캐릭터는 경찰차, 소방차, 헬리콥터(?)이고 여자 캐릭터는 구급차(무려 핑크색!). 거기에 캐릭터 설정도 폴리:정의/의리, 로이:강함, 헬리:똑똑함, 앰버:따뜻한 마음/희생정신... 이것을 보고 자란 어린이들이 성역할에 대한 편견이 없길 바라는 건 욕심이 아닐까 싶을 정도라고 생각합니다.
기아트윈스
폴리도 그런 면에서 엉망이네요. 전 뽀로로에서 캐릭터간 역할을 보고 크게 실망했었어요. 루피는 요리를 하거나, 에디의 망상 속에서 에디 조수를 하거나, 뽀로로가 마술을 하면 옆에서 보조를 하거나, 누가 의사를 하면 간호사를 맡거나 뭐 그런 식이에요. 정말 성질나는 일이죠.
까페레인
미국은 철저하게 자본주의적으로 돌아가는 것 같아요. 정치적 올바름은 저 밑에 있는듯, 얼마전에 본 어린이 쇼프로그램에는 여전히 바비인형과 같은 가늘고 백인 여자 어린이가 주인공이 되고 간혹 나오는 흑인어린이나 동양 어린이는 늘 들러리가 되지요. PBS 키즈의 요즘 프로그램은 어떨런지 좀 더 관심을 가지고 한 번 살펴봐야겠어요. 그래도 아이들이 어제 유튜브에서 안녕 자두야를 재밌게 보고 있어서 한국/미국문화의 균형성은 스스로들 잡아가는 구나 했어요. 한타도 못치는데 유튜브 만화채널 보는데, 옆 추천비디오에 노출되어서 보게되었다 하더라... 더 보기
미국은 철저하게 자본주의적으로 돌아가는 것 같아요. 정치적 올바름은 저 밑에 있는듯, 얼마전에 본 어린이 쇼프로그램에는 여전히 바비인형과 같은 가늘고 백인 여자 어린이가 주인공이 되고 간혹 나오는 흑인어린이나 동양 어린이는 늘 들러리가 되지요. PBS 키즈의 요즘 프로그램은 어떨런지 좀 더 관심을 가지고 한 번 살펴봐야겠어요. 그래도 아이들이 어제 유튜브에서 안녕 자두야를 재밌게 보고 있어서 한국/미국문화의 균형성은 스스로들 잡아가는 구나 했어요. 한타도 못치는데 유튜브 만화채널 보는데, 옆 추천비디오에 노출되어서 보게되었다 하더라구요. 집에 안녕 자두야 책을 사 놓았기를 잘했다 했어요.

성역할에 대한 편견은 사회에서 받는 영향은 말도 못하게 크겠지만 일단 집에서 성차별하지 않으려하지만 어렵네요. 저렇게 영국의 잘 만든 교육 프로그램이나 유럽에서 온 사람들 이야기를 들어보면 미국은 정말 노답인 것 같아요.
기아트윈스
사실 유럽도 곳곳이 응망진창인데 BBC는 그래도 공영방송이라고 저런 티를 내는가보다고 생각했어요. 미국은 가본 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네요 -_-;;
리틀미
한국이야 그렇다 쳐도 미국이랑도 차이가 나는군요. 방송의 문제인가요. 방송 산업을 생각하면 넘사벽으로 일본이 저질이고 그 다음 미국, 오히려 아직 한국은 버티는 수준일지도 모르겠네요.
Beer Inside
EBS는 좀 노력을 하지만 그래도 \'서구계 혼혈은 예능\', \'아시아계 혼혈은 다큐\'를 찍는 차별도 있지요.

기본적으로 의지도 없고, 뭐가 잘 못인지도 몰라서 그렇겠지요.

실력과 관계없이 백인만 원하는 영어유치원도 많고 영어학원도 실력과 관계없이 재미교포이면 한국인 강사로 취급, 외국인이면 원어민강사로 취급하기도 하니까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62 철학/종교매너의 진화 11 눈부심 16/02/28 7947 7
163 역사자화자찬(自畫自贊) 6 기아트윈스 16/03/01 6901 13
164 기타인도네시아 이야기 28 Hitam 16/03/01 6749 11
165 일상/생각알랭드보통의 잘못된 사람과 결혼하는 것에 대하여 54 S 16/03/03 8841 5
166 경제디플레이션의 시대가 오는가? 36 난커피가더좋아 16/03/06 10636 3
168 창작[SF단편] 펭귄 밀크 11 중년의 럴커 16/03/11 7492 5
169 IT/컴퓨터알파고가 이겼군요. 35 Azurespace 16/03/11 10337 11
170 일상/생각일상 속의 차별: EBS와 CBeebies를 중심으로 13 기아트윈스 16/03/13 6482 7
171 창작[조각글 18주차] 궁극의 질문 9 마스터충달 16/03/13 6445 4
172 일상/생각아빠와 알파고 7 nickyo 16/03/18 6250 7
173 IT/컴퓨터최근 국내 PC 웹브라우저 점유율의 변화 43 Toby 16/03/24 10460 5
174 일상/생각수업시간 추억 한 폭 7 기아트윈스 16/03/26 5706 31
175 요리/음식세 형제는 용감했다 1 (feat. 다르질링) 1 펠트로우 16/03/29 7241 8
178 사진봄, 그리고 벚꽃 (10장) 14 다시한번말해봐 16/03/29 7069 7
176 IT/컴퓨터최초의 웹브라우저 Mosaic 이야기 22 블랙자몽 16/03/30 7936 4
177 기타[空知] 녹차넷을 엽니다. 78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6/04/01 8716 9
179 IT/컴퓨터100점짜리 단어를 찾아서. 30 April_fool 16/04/05 12074 15
180 과학적록색맹과 Vitamin C 이야기 22 모모스 16/04/07 6925 12
181 기타왜 아이들은 학교에 가지 않으면 안 되는가 22 Moira 16/04/08 8649 6
182 기타[회고록] 그 밤은 추웠고, 난 홍조를 띠었네. 43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6/04/12 6092 10
183 의료/건강게보린 3형제 이야기 26 모모스 16/04/12 7233 9
184 정치/사회각국 20대의 투표율에 관한 일고 29 기아트윈스 16/04/13 11016 14
185 의료/건강음주에 대한 수학적이고 과학적인 접근 26 모모스 16/04/14 10468 5
187 요리/음식한식판 왕자와 거지, 곰탕과 설렁탕 45 마르코폴로 16/04/18 10217 13
186 음악홍차넷 지상파 입성 기념 뮤직비디오 248 Toby 16/04/20 14280 9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