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6/03/24 17:06:08
Name   Toby
File #1   stat.png (170.4 KB), Download : 34
Subject   최근 국내 PC 웹브라우저 점유율의 변화


최근 2년간의 국내 PC 웹브라우저의 점유율을 살펴본다면?
첨부된 이미지와 같이 국내에서도 크롬의 점유율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생각보다 크롬의 점유율이 꽤 높게 나오는 것 같지요?
34%에 육박하는 점유율 자체도 상당히 높지만, 그보다 중요한 것은 변화의 추이입니다.
1년만 지나고 봐도 점유율이 확 바뀌는 느낌이 정도로 빠르게 변화가 일어나는 추세입니다.

IE8의 가파른 하향세도 눈에 띕니다.
이 추이는 Windows XP의 점유율 하락과 관계가 있습니다.
XP에서는 IE9 이상의 버전 설치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IE8 사용자가 많았거든요.

2014년 초에 IE10이 급격히 하락하고 IE11이 급격하게 올라가는 것은, Windows 사용자들의 자동 업데이트에 IE11이 탑재된 영향입니다.
언젠가부터 윈도우의 자동 업데이트에 IE가 포함되고 있기 때문에 IE9, IE10보다 IE11이 훨씬 많습니다.
사라지지 않고 오랫동안 남는건 IE7과 IE8인데, 7은 실제 사용자를 찾아보기가 거의 어렵고 최후의 보루인 IE8의 사용자는 꾸준히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위의 통계는 스탯카운터(http://gs.statcounter.com) 라는 사이트에서 가져온 것인데요.
세계적으로 꽤 공신력이 있는 사이트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분야의 양대산맥은 넷애플리케이션스(넷마켓쉐어)와 스탯카운터인데요.
넷애플리케이션스는 오랫동안 이 분야의 탑을 지켜왔지만, 외부에 데이터를 공개하지 않는 유료 서비스입니다.
반면에 스탯카운터는 새롭게 등장했고, 무료로 서비스하고 있기에 많이 인용되는 데이터지요.

통계 데이터도 꽤나 상이한 편입니다.
넷애플리케이션스에서는 통계가 보수적으로 잡히고, 스탯카운터에서는 파격적으로 잡힙니다.
넷애플리케이션스쪽은 변화의 추이가 너무 늦게 반영되는 느낌이고, 스탯카운터는 너무 앞서나가는듯한 모양새랄까요?
그러다보니 그 차이가 극명하게 드러나서 우스운 느낌마저도 듭니다.

2016-03-09 [베타뉴스] 마이크로소프트 IE와 엣지, 5월 구글 크롬에게 1위 자리 내놓나 (넷애플리케이션스 데이터 반영)
http://betanews.heraldcorp.com/article/628600

2011-12-16 [IT World] 크롬 15, No.1 웹 브라우저 등극 : 스탯카운터 조사
http://www.itworld.co.kr/print/73318

둘 다 똑같이 크롬이 IE를 제치고 세계 1위 브라우저가 되었다는 내용인데, 하나는 기사작성이 2011년이고, 하나는 2016년입니다.
4년이 넘게 차이가 나네요 ㅎㅎ

이렇게 데이터의 수치가 다르기 때문에 입맞에 맞게 소스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IE의 통계가 높게나와야 유리한 경우라면 넷애플리케이션스 통계를, 크롬이 높게 나와야 유리하면 스탯카운터 통계를 쓰시면 되겠네요 ㅎㅎ

양사의 통계가 서로 다르긴 합니다만, 추이가 반영되는 시기가 다를 뿐 추이의 변화는 일치합니다.
그렇게 본다면 앞으로 넷애플리케이션스의 통계에서도 IE가 다시 크롬을 추월할일은 향후 4년간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원래 브라우저 점유율의 변화는 오르내리거나 하지않고 꾸준하게 곡선을 그리는 편입니다.
특별한 일이 있지 않는 이상 사용자들의 패턴이 급격하게 변화하지는 않거든요.

위의 그래프의 곡선이 매끄럽지 않고 다소 거칠게 꺾이는 것은 스탯카운터의 국내 환경 수집 데이터의 양이나 정확도가 떨어지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아직까지도 스탯카운터의 국내 통계를 평가절하하는 분들도 있는데요.
사실 3년전만 하더라도 스탯카운터의 국내 통계는 신뢰하기 어려울 정도로 불안정하게 통계 데이터가 나타났습니다만 데이터 수집을 늘려가면서 지금은 상당히 믿을만한 데이터를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저는 생각합니다.

오히려 국내의 다른 통계기관들의 데이터가 더 신뢰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가장 이용량이 많은 상위 사이트중에 금융권, 쇼핑몰, 이통사, 정부기관 사이트가 포함되어있기 때문인데, 이런 사이트들은 ActiveX나 공인인증서의 사용으로 다른 브라우저를 쓰던 사용자들도 IE로 브라우저를 바꿔 접속하게 되기 마련이니까요.
이런 사이트들을 제외하고 데이터를 수집하지 않으면 통계의 결과가 왜곡됩니다.

그런면에서 본다면 실제 우리나라 사용자들의 실제 브라우저 점유율에 가장 근접한 통계를 가지고 있는 업체는 네이버, 다음, 구글일것으로 생각합니다.
구글은 데스크탑 사용자는 적기는 하지만 google analytics를 사용하고 있는 업체가 워낙 많으니까요.

홍차넷에서도 크롬의 점유율은 상당히 높게 나오는 편입니다.
최근 2개월 간의 홍차넷 브라우저 점유율 통계를 Google Analytics에서 보면 다음과 같은데요.


이 통계는 데스크탑 only 통계는 아니고 모바일과 통합한 통계라서 Safari가 높게 나옵니다. 아이폰 사용자들이 Safari를 쓰니까요.
모바일 크롬의 점유율도 크롬에 포함되어 있기는 합니다만, 그런걸 감안해서 보더라도 크롬이 상당히 높은 점유율을 가지고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 수박이두통에게보린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6-04-01 10:48)
* 관리사유 : 추천 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5


    shadowtaki
    최근에 아톰 시피유 기반의 태블릿을 하나 구매했는데 램이 4기가 임에도 불구하고 윈도우에 크롬 브라우저 환경이면 정상적인 서핑이 되지 않는 수준의 퍼포먼스를 보여주던구요. 특히나 브라우저 상에서 동영상을 재생하는 상황이 오면 최악의 결과를 보여주었구요. 반면 익스플로러는 깔끔하게 돌아가는 상황이 나왔어요. 엣지는 아직 페이지가 제대로 표현이 안되는 사이트가 너무 많구요.
    계속해서 평균 이상되는 컴퓨터만 써오면서 크롬을 쓰니 잘 몰랐던 부분이었던 것 같은데 크롬은 더 이상 빠르고 가벼움을 추구하는 브라우저는 아닌 것 같았습니다. 무... 더 보기
    최근에 아톰 시피유 기반의 태블릿을 하나 구매했는데 램이 4기가 임에도 불구하고 윈도우에 크롬 브라우저 환경이면 정상적인 서핑이 되지 않는 수준의 퍼포먼스를 보여주던구요. 특히나 브라우저 상에서 동영상을 재생하는 상황이 오면 최악의 결과를 보여주었구요. 반면 익스플로러는 깔끔하게 돌아가는 상황이 나왔어요. 엣지는 아직 페이지가 제대로 표현이 안되는 사이트가 너무 많구요.
    계속해서 평균 이상되는 컴퓨터만 써오면서 크롬을 쓰니 잘 몰랐던 부분이었던 것 같은데 크롬은 더 이상 빠르고 가벼움을 추구하는 브라우저는 아닌 것 같았습니다. 무겁고 화면 활용이 좋은 브라우저 정도가 맞을 것 같습니다. 셀러론 이상의 시피유+4기가 이상의 램만 되어도 문제가 되지 않는 문제이기 때문에 큰 상관이 없을 수 있겠지만 크롬북이나 태블릿 시장에서의 브라우저 경쟁력이 떨어질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Beer Inside
    크롬이 많이 무겁지요.
    넷북급에서는 파폭을 쓰셔야 합니다
    선택지가 잘 없죠...
    여우야 힘을 내!
    터...털썩...
    리니시아
    흠... 크롬이 무겁다는 소리를 많이 듣긴했는데..
    고사양 = 크롬
    저사양 = 파폭
    이런 수순인가요?
    과거에는 항상 새로나오는 브라우저들이 가볍고 빠르고 했었는데요.
    브라우저들이 상시업데이트가 된 이후로 요즘은 가볍게 만드는 것에는 크게 신경쓰지 않는 것 같기도 합니다.

    저는 저사양에서 크롬을 써보지 않아서 무거운걸 별로 느끼지 못했는데요.
    그래서 웬만큼 느리지 않으면 신경 안쓰고 그냥 크롬 써도 무방하다고 생각합니다.
    파폭을 쓰면 파폭을 쓰는데 따르는 애로사항이 또 있고할테니까요.
    April_fool
    대충 비슷합니다.
    크롬은 그 구조상 메모리 사용량이 많고, 파이어폭스는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다만 최근에 e10s가 도입되었기 때문에 파폭도 메모리 사용량이 늘었을 것 같긴 한데, 직접 재어보지는 않아서… 예전 같으면 오페라 브라우저가 저사양의 구세주였겠습니다만, 지금은 오페라 브라우저도 내부 엔진은 크롬과 똑같이 바뀌는 바람에 도찐개찐인 듯 합니다.
    파폭 1.0부터 써온 1인으로서
    파폭이 2버전 접어들면서 램을 마구마구 먹기 시작하더니 걷잡을 수 없이 치솟아서 모질라 커뮤니티는 연일 융단폭격을 맞았지요
    이게 3까지도 해결이 안 되었고 그 이후에야 개선이 됐는데 암튼 그 때의 트라우마라고 할까... 최소한 데탑용은 가급적이면 자원 안 먹으려고 노력하는 모습이 보이더라구요
    Beer Inside
    크롬 쓰다가 못해먹겠어서 컴을 업했습니다.
    Azurespace
    Servo가 빨리 완성되어 차세대 브라우저로 나와줘야 할텐데 말이죠... 넷북이나 모바일에서는 정말 절실히 필요합니다

    랜더링 결과물의 호환성에 문제가 있어서 그렇지 이미 퍼포먼스는 타 브라우저들을 가볍게 압도하고 있습니다. Rust 프로그래밍 언어와 완전 멀티스레딩의 힘이죠..
    전혀 기대하지 않고 있었는데, 그렇게 말씀하시니 기대가 되네요.
    과연 좋은 결과물이 나오려나요
    Azurespace
    Servo의 특징은 레이아웃 엔진부터 시작해서 브라우저의 각 부분이 모두 멀티스레드로 동작하고 전부 모듈화가 되어 있다는 점인데요

    렌더러 부분도 예외가 아닙니다. 그런데... 여기에 GPU가 결합되면서 어마어마한 퍼포먼스를 내고 있죠. 타 브라우저들도 GPU를 활용하고는 있지만 미진한 점이 많습니다

    http://m.youtube.com/watch?v=u0hYIRQRiws
    Chrome vs Firefox vs Safari vs Servo WebRender


    CSS로 표현된 페이지를 실시간 랜더링하고 있는 겁니다(...)
    ... 더 보기
    Servo의 특징은 레이아웃 엔진부터 시작해서 브라우저의 각 부분이 모두 멀티스레드로 동작하고 전부 모듈화가 되어 있다는 점인데요

    렌더러 부분도 예외가 아닙니다. 그런데... 여기에 GPU가 결합되면서 어마어마한 퍼포먼스를 내고 있죠. 타 브라우저들도 GPU를 활용하고는 있지만 미진한 점이 많습니다

    http://m.youtube.com/watch?v=u0hYIRQRiws
    Chrome vs Firefox vs Safari vs Servo WebRender


    CSS로 표현된 페이지를 실시간 랜더링하고 있는 겁니다(...)

    HTML+CSS로 게임엔진도 만들 수 있을거라는 전망..

    모질라에서도 성능에 고무되어 차후 파이어폭스에 서보 웹랜더를 사용하겠다고 한 걸로 알고 있습니다.

    아마 다른 부분들도 이후에 완성되면 이용하게 돠겠죠
    오. 그래픽 처리 속도가 훌륭하네요.
    기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April_fool
    오, Servo 엔진 개발이 많이 진척되었나 보군요? 빨리 파이어폭스에 Servo가 장착되었으면 좋겠습니다.
    Azurespace
    아직은 먼 훗날의 일이기는 합니다

    Rust 프로그램이 C로 작성된 이종 코드와 문제없이 연동이 되기는 합니다만, 서로 다른 표준 런타임을 사용한다는 문제는 여전히 있어서... 통합에 약간 품이 들기도 하고, 랜더러가 제 성능을 내려면 레이아웃 엔진에서 각 오브젝트의 위치 같은 걸 제때 알려줘야 하는데 옛 브라우저 엔진들은 그게 안 됩니다.

    다른 브라우저들은 싱글스레드 알고리즘 기반하고 있어서, 대부분 코어 하나가 한 프레임을 맡아서 처리하는 식으로 병렬화가 됩니다. 이런 식으로는 많은 오브젝트가 존재하거나 하면 개별 처... 더 보기
    아직은 먼 훗날의 일이기는 합니다

    Rust 프로그램이 C로 작성된 이종 코드와 문제없이 연동이 되기는 합니다만, 서로 다른 표준 런타임을 사용한다는 문제는 여전히 있어서... 통합에 약간 품이 들기도 하고, 랜더러가 제 성능을 내려면 레이아웃 엔진에서 각 오브젝트의 위치 같은 걸 제때 알려줘야 하는데 옛 브라우저 엔진들은 그게 안 됩니다.

    다른 브라우저들은 싱글스레드 알고리즘 기반하고 있어서, 대부분 코어 하나가 한 프레임을 맡아서 처리하는 식으로 병렬화가 됩니다. 이런 식으로는 많은 오브젝트가 존재하거나 하면 개별 처리시간이 늘어서 프레임레이트가 떨어지게 마련이고, 싱글스레드보다 빠르긴 한데 암달의 법칙에 의해 금방 성능향상이 정체됩니다.

    반면 서보는 같은 프레임 내의 오브젝트들의 위치도 서로 다른 스레드에서 각자 계산하여 처리하기 때문에, 개인 PC에서 사용하는 정도의 코어 숫자에서는 성능이 거의 선형 스케일링이 되고 있어요
    April_fool
    그럼 어쩌면 모조리 다 새로 만들어 버리는 것이 더 나을지도 모르겠네요.
    그나저나 그 정도의 병렬화를 달성했다는 것이 놀랍네요.
    Azurespace
    어떠한 경우에도 공유 데이터의 오염을 막는 Memory Safety를 컴파일 단계에서 보장하는 Rust 의 특징 덕분이지요. 물론 Servo 정도 프로젝트는 최적화된 퍼포먼스를 위해 unsafe 코드로 작성된 부분도 많지만 그 경우에도 개발자들 스스로가 라이브러리나 함수 단위에서 Safety 가 유지되도록 설계합니다.

    왜 Safety 가 중요하냐면, C나 c++같은 unsafe default 언어에서는 병렬성 확보가 어렵습니다. 이 데이터가 수정 가능한지, 공유되어 있는지 등의 정보를 따로 필드를 만들어서 하나하나 추적하면서 ... 더 보기
    어떠한 경우에도 공유 데이터의 오염을 막는 Memory Safety를 컴파일 단계에서 보장하는 Rust 의 특징 덕분이지요. 물론 Servo 정도 프로젝트는 최적화된 퍼포먼스를 위해 unsafe 코드로 작성된 부분도 많지만 그 경우에도 개발자들 스스로가 라이브러리나 함수 단위에서 Safety 가 유지되도록 설계합니다.

    왜 Safety 가 중요하냐면, C나 c++같은 unsafe default 언어에서는 병렬성 확보가 어렵습니다. 이 데이터가 수정 가능한지, 공유되어 있는지 등의 정보를 따로 필드를 만들어서 하나하나 추적하면서 실행하면 병렬성 확보가 가능은 한데 최적화와 거리가 멀어져 버립니다. 그렇다고 그런 정보 없이 빠른 코드를 작성하려 하면 거의 틀림없이 골치아픈 버그가 생깁니다. 멀티 스레드 프로그램은 검증하기가 훨씬 어렵습니다.

    Rust 는 이를 피하기 위해 설계된 언어답게, 아예 싱글스레드 프로그램에서부터 강력한 제약을 걸어서 이를 우회합니다. 변수를 선언하면 값을 다시는 바꿀 수 없고, 바꿔야만 하는 변수는 명시적으로 mutable이라고 적어야 하지요. mutable 변수는 aliasing이 불가능하도록 컴파일 단계에서 보장이 됩니다.싱글 스레드에서 안전한 Rust 코드는 멀티 스레드에서도 안전한 코드가 되지요.

    Rust 도 아직 최적화나 언어 기능에서 완벽이라고 하기엔 갈 길이 멀지만, 그래도 현재 임베디드에서부터 최종사용자 응용프로그램에 이르기까지 C/C++을 거의 전 영역에서 대체 가능한 거의 유일한 industry-ready 언어가 아닐까 합니다.
    April_fool
    함수형 언어가 각광받던 것과 유사한 이치로군요.
    확실히 웹브라우저 엔진이라는 대형 프로젝트를 성공시킨 언어라면 그 자체만으로도 많이 각광받을 수 있겠네요.
    Azurespace
    네. 그러나 함수형 언어와 다른 것은 Rust는 자원 관리...스택과 힙 할당을 프로그래머가 직접 합니다. 반면 해제는 컴파일러가 자동으로 해줘서 double free나 use after free 문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가비지 컬렉션과 다른 것은, 객체의 라이프타임 규칙에 의해 언제 해제되는지가 컴파일 타임에 정적으로 결정되기에 추가 비용이 전혀 없다는 것과, 프로그래머가 명시적으로 해제 시점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곧내려갈게요
    쩌...쩌네요.
    세계구조
    크롬 64비트로 설치해서 쓰세요 아마 그냥 설치하면 32비트로 깔릴거에요
    뒷짐진강아지
    크롬도 돼지라서...
    크롬 요새 정말 느린 것 같아요. 편리해서 쓰기는 하는데 IE랑 차이가 별로 없으면 어떻게 하냐;
    생각보다 느리다고 하시는 분들이 많네요.
    저는 느리다는 느낌을 받았던 적이 전혀 없다보니 어떤 조건이면 느려지는걸지 궁금하기도 합니다.
    제가 노트북을 사용해서 그런가 싶기도 합니다. 익숙해져서 느리다고 평소에는 못느끼는데 갑자기 그림이나 플래시가 나오면 더 그런 느낌도 들고요.
    IE나 파폭에 비해서 절대로 빠르다고 안느껴져요. 가끔 이상하게 튕기고 ㅜ
    regentag
    홍차넷 통계의 오페라 점유율에 저도 일조하고 있습니다.
    오페라는 예전에는 자체 엔진을 썼기 때문에 굉장히 이질적이었는데 블링크로 렌더링 엔진을 교체하면서 그냥 또다른 크롬이 되어버렸어요...
    사실 그렇기 때문에 쓰고 있는거지만요.
    리틀미
    엣지 점유율은 제가 차지하고 있는듯 ㅋㅋ 윈도우즈10으로 업데이트하고 나서 엣지 정말 좋더라고요
    엣지 화이팅
    이게 무너지게 된 것이 모바일 탓이 큽니다
    특히 어느 기업이든 ceo님께서 스마트폰이나 아이패드 사파리로 홈페이지 한 번 들어가보고 `어 이거 왜 이래?` 한 마디 하시면
    최소한 초기 홈페이지만큼은 어느 브라우저로 들어가도 모두 잘 뜨게 바꿔놓습니다 ㅋㅋ
    크롬은 메모리를 잡아서 느리다는 느낌이고
    익플은 그냥 인터냇 자체가 느리다는 느낌이라 크롬 써요. 창 확 늘렸다가도 금방 끄면 매모리 관리가 되니까요
    Dr.Pepper
    요즘은 기업 업무용 웹페이지를 만들더라도 웹표준이 안지켜지면 까이는 추세라..
    액티브엑스도 걷어내는 추세입니다.

    저도 후방지원만 해주는 입장이지만 요즘은 오픈소스를 쓰려고 하고, 웹표준을 지키려고 하는 분위기가 대세입니다.
    여전히 제가 하는 오라클을 많이 쓰긴하지만 소규모에서는 이제 거의 안써서 대형 프로젝트만 불려다니느라 좀 피곤합니다.ㅠ
    김치찌개
    크롬 점유율이 높군요 와우~
    그나저나 크롬 메모리 많이 잡더군요
    둘다 포기하기 싫어서 익스랑 크롬 같이 씁니다^^
    소노다 우미
    파폭 유저가 생각보다 적다는데서 조금 슬프긴 하네요.
    여우야 힘을 내! (2)
    크롬 느리다는건 메모리 부족인 경우가 많죠.
    요즘같은 경우 별로 해당이 안되는..
    이렇게나 크롬을 쓰는 사람들이 많은데 아직도 nPAPI 플러그인 안된다고 크롬말고 익프로 결제하라고 하는 수많은 쇼핑몰들...ㅠ
    April_fool
    사실 NPAPI도 걷어내려는 추세죠.
    아직까지는 쓰는 곳이 너무 많네요 ㅇ<-< 엉엉 빨리 다 액티브x랑 사라졌으면..
    성의준
    warning.or.kr 이 크롬으로 갈아타게 하는데 어느정도 일조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단디쎄리라
    저는 얼마전까지 11년에 샀던 컴퓨터 썼는데, 크롬이 느려지는 게 체감이 되서 도저히 못쓰겠더라구요. 그래서 모바일만 썼었는데
    그러다가 이번에 컴퓨터 나름 괜찮은 걸로 바꾸면서 PC-모바일을 크롬 연동시키니 편하더라구요. 북마크 관리 하기도 좋고..
    아쉬운 건 은행 결제 이런거 할 땐 익스 써야하는데, 익스도 안될 때가 있고 그래서 요새 고민입니다. 으으
    스팀펑크
    회사가 똥컴이라 그런지 크롬 매우 느림....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68 철학/종교다윗왕과 밧세바 이야기 구약 시대의 가장 큰 섹스 스캔들 20 기쁨평안 16/09/21 10607 14
    166 경제디플레이션의 시대가 오는가? 36 난커피가더좋아 16/03/06 10594 3
    144 경제행복과 행복에 관한 생각들 21 Moira 16/01/21 10579 5
    501 철학/종교정상영웅 vs 비정상영웅 93 기아트윈스 17/08/26 10570 25
    114 꿀팁/강좌진지한 취미 사진가를 위한 다섯 가지 팁(스크롤 압박!) 43 *alchemist* 15/11/15 10569 14
    14 철학/종교[서평] 빅데이터 시대 : 알고리즘적 자아와 존재론적 위기, <만물의 공식> 4 그녀생각 15/06/07 10557 1
    63 의료/건강커피가 건강에 끼치는 영향에 대한 최신 지견 49 레지엔 15/08/26 10544 0
    53 철학/종교보수, 진보, 도덕, 공리주의 23 눈부심 15/07/27 10541 0
    408 정치/사회김미경 교수 채용논란에 부쳐 194 기아트윈스 17/04/07 10482 32
    252 기타후장식 드라이제 소총과 아름답고 푸른 도나우강 7 모모스 16/08/19 10471 3
    577 음악자장가의 공포 81 문학소녀 18/01/15 10422 65
    185 의료/건강음주에 대한 수학적이고 과학적인 접근 26 모모스 16/04/14 10420 5
    173 IT/컴퓨터최근 국내 PC 웹브라우저 점유율의 변화 43 Toby 16/03/24 10414 5
    492 꿀팁/강좌[커피]모카포트이야기 39 사슴도치 17/08/11 10403 11
    809 문화/예술알라딘은 인도인일까? 28 구밀복검 19/05/28 10376 46
    307 요리/음식청와대에서 구입한 리도카인은 뭐하는 물건인고? 17 모모스 16/11/23 10370 12
    5 일상/생각잘 지내요?.. 15 박초롱 15/06/04 10365 0
    13 영화[스포] 대부 보고 왔습니다. 3 王天君 15/06/07 10362 0
    316 기타마, 얼굴만 봐도 알겠네! 너지! 26 Azurespace 16/11/29 10350 17
    169 IT/컴퓨터알파고가 이겼군요. 35 Azurespace 16/03/11 10298 11
    3 문화/예술홍차넷이라길래 써보는 홍차 이야기 10 트릴비 15/06/01 10293 0
    39 요리/음식이탈리안 식당 주방에서의 일년 40 뤼야 15/07/07 10289 0
    55 요리/음식마트 와인 코너 앞에서 서성이는 사람들을 위한 팁(달콤한 스파클링 와인편) 23 마르코폴로 15/07/28 10272 1
    490 일상/생각실리콘밸리의 좁은 상상력 80 다시갑시다 17/08/08 10221 16
    79 IT/컴퓨터사실 구글은 스카이넷을 만들고 있습니다 16 Azurespace 15/09/30 10219 4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