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 16/05/12 10:24:01 |
Name | 눈부심 |
Subject | 우리의 뇌에는 청소부가 있어요. |
http://www.fastcompany.com/3059634/your-most-productive-self/your-brain-has-a-delete-button-heres-how-to-use-it 공부를 하면 뇌세포인 뉴런들이 서로 시그널을 보내고 여기 저기 교류가 활발해 집니다. 뉴런들 사이의 교류가 활발하면 활발할수록 그 커넥션도 견고해져요. 그래서 피아노 연습을 많이 하면 많이 할수록, 언어공부를 많이 하면 많이 할수록 그와 관련된 뉴런들 사이의 회로가 공고해져서 실력도 늘어요. 이런 뇌세포의 활동이 학습능력을 연구하는 데 있어 중점적으로 관찰이 됐었는데 실은 학습능력은 뇌세포들 간의 견고한 회로 그 이상의 어떤 것과 관련이 있어요. 우리의 뇌는 정원과 같아요. 다만 꽃이나 과일이 자라는 게 아니라 뉴런에는 신경접합부인 시냅스란 부분이 있는데 이 시냅스 네트워크를 자라나게 하는 정원이죠. 정확하게는 아교세포라는 것이 뇌의 정원 역할을 해서 어떤 아교세포는 특정 뉴런들 사이의 시그널 교신에 가속이 붙도록 해주고 다른 아교세포들은 뇌 속의 잡초를 뽑아내거나 해충을 죽이는 것과 같은 역할을 해요. 우리 뇌에서 가지치기 역할을 하는 세포도 있는데 그건 소교세포라고 합니다. 시냅스 교신이 자주 일어나지 않는 곳에는 C1q라는 단백질이 자리잡아요. 그러면 소교세포가 이 단백질을 발견하고 거기 들러붙어서 시냅스를 싹둑싹둑 잘라줘요. 가지치기를 해주죠. 이렇게 하면 깨끗하게 빈 자리에 새로운 학습능력이 생겨날 수가 있어요. 머리가 가득 찬 것 같은 느낌이 드실 때가 있나요? 이제 막 새로운 직장을 구했거나 프로젝트에 임하면 새로운 정보를 많이 흡수하게 되는데 그런 정보흡수로 뉴런들 사이의 교류를 활발히 해줌에도 불구하고 학습이 잘 되지 않는다면 그 이유는 잠을 충분히 자지 않기 때문이에요. 많은 것을 학습할 때 뇌의 커넥션도 견고하게 구축이 되지만 이것만으로 학습능력이 향상될 수는 없어요. 일시적인 견고함일 뿐이죠. 우리의 뇌는 새로운 정보가 안착하도록 깨끗하게 가지치기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이 가지치는 작업이 바로 우리가 잘 때 일어나요. 잠이 들면 뇌에서 청소작업에 돌입하죠. 뇌세포가 60%까지 줄어서 자리를 비켜주면 청소부 아교세포가 납시어 쓰레기를 몽땅 치우고 사용되지 않고 있는 시냅스들을 숭덩숭덩 잘라 줍니다. 잠을 푹 자고 나면 다음날 머리가 맑아지죠? 그건 바로 지난 밤 뇌 속에서 가지치기와 청소작업을 말끔히 해놔서 깨끗한 새 공간이 많아졌기 때문이에요. 이 공간은 바로 새로운 정보를 습득할 공간이죠. 마찬가지의 이유로 낮잠도 우리 뇌에 참 좋답니다. 10-20분간 낮잠을 자 주면 청소부 소교세포들이 등장해서 청소를 또 깔끔하게 해주거든요. 잠을 제대로 이루지 못한 뇌로 생각하는 건 온통 우거지고 잡초 투성이인 정글 속을 단도 하나 들고 헤쳐 나가는 것과 같아요. 잠을 잘 잔 뇌로 생각하는 건 뉴욕 센트럴 파크를 유유히 산책하는 것과 같답니다 ㅎㅎ. 길도 깨끗하고 나무도 적당히 있고 앞도 잘 보여요. 우리가 잠을 잘 때 뇌의 재활용구역으로 표시되는 지역은 바로 우리가 사용하지 않고 있는 시냅스 커넥션입니다. 우리가 활발히 사용중인 건 뇌가 물도 주고 산소도 공급해 줘요. 일은 안 하고 미드 <왕좌의 게임> 결말에 관한 이런 저런 썰들만 잔뜩 읽는다면 뇌의 어느 부분이 재활용구역으로 표시가 될까요? 일이겠죠. 직장에서 갈등을 겪고 있는 사람이 있어서 어떻게 복수해줄 것이냐만 궁리하고 있다면 시냅스도 프로젝트는 싹 잊고 복수의 시나리오만 모색하고 있을 거예요. 그래서 되도록이면 나에게 실제적으로 중요한 일들에 집중하려고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면 뇌속의 청소부들이 내가 신경쓰지 않는 일들을 제거해줘서 건설적인 사고를 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 수박이두통에게보린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6-05-22 23:35)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11
이 게시판에 등록된 눈부심님의 최근 게시물 |
이 글을 보고 나니 glial cell이야말로 인간이 뇌를 이해하기까지 얼마나 많은 것들이 남았는가 알려주는 존재라는 생각이 들어요. 기본적으로 많은 뇌과학이 뇌를 매우 매우 복잡한 회로로 가정하는 경우가 많은데 glial cell은 회로가 아니니까요. 그럼에도 생물학적으로 가장 어려운 영역 중 하나인 면역을 담당하고 그것 이외에도 뭔가 있을 것 같은데 모르는 세포입니다. 뇌는 전자회로가 아니라 생명체의 가장 복잡한 기관이라는 자명한 사실을 한 번 더 일깨우는 glial cell님... 청소부로 살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숨어 있는 하나님 그런 존재가 아닐까요 ㅋㅋㅋㅋ (곡성 후유증)
아... 그거 뭐죠? 무료로 논문 보게 해주는 싸이트... sci-hub 인가요 여긴 들어가보니 다운됐던데...
http://www.cell.com/trends/neurosciences/fulltext/S0166-2236(07)00182-8
저는 학교 IP로 공짜로 볼 수 있지만... 못 보실 수도...
Cajal 이라는 의학자가 Golgi와 더불어서 신경학의 아버지 같은 존재인데... 이게 신경학이라는 게 옛날에는 막 컴퓨터 같은 학문이 아니라 일일히 하나씩 해부하고 현미경으로 보고 구조를 찾는 수작업이었거든요. 사진으로 찍어서 볼 수도 없으니 현미경으로 본 걸 이쁘게 그리는 게 핵심이었어요. 그림이란 건 실물보다 더 많은 걸 알려주기도 하죠.
http://www.cell.com/trends/neurosciences/fulltext/S0166-2236(07)00182-8
저는 학교 IP로 공짜로 볼 수 있지만... 못 보실 수도...
Cajal 이라는 의학자가 Golgi와 더불어서 신경학의 아버지 같은 존재인데... 이게 신경학이라는 게 옛날에는 막 컴퓨터 같은 학문이 아니라 일일히 하나씩 해부하고 현미경으로 보고 구조를 찾는 수작업이었거든요. 사진으로 찍어서 볼 수도 없으니 현미경으로 본 걸 이쁘게 그리는 게 핵심이었어요. 그림이란 건 실물보다 더 많은 걸 알려주기도 하죠.
저는 예전부터 눈부심님이 우연히 문과 인생을 살았지만 영혼은 이과라고 생각해왔습니다ㅋㅋㅋㅋ
그림은 때로 실물보다 더 많은 걸 보여줍니다ㅋㅋㅋㅋ 의대생들은 해부학 공부할 때 사진이 아니라 다 그림으로 공부해요
도감 같은 것도 사진보다 그림으로 볼 때 더 많은 걸 알게 되는 것 같고요
이 책 재밌게 봤는데 ㅋㅋㅋㅋ 거기서 구할 수 있을까요
http://news.kyobobook.co.kr/people/writerView.ink?sntn_id=2673
그림은 때로 실물보다 더 많은 걸 보여줍니다ㅋㅋㅋㅋ 의대생들은 해부학 공부할 때 사진이 아니라 다 그림으로 공부해요
도감 같은 것도 사진보다 그림으로 볼 때 더 많은 걸 알게 되는 것 같고요
이 책 재밌게 봤는데 ㅋㅋㅋㅋ 거기서 구할 수 있을까요
http://news.kyobobook.co.kr/people/writerView.ink?sntn_id=2673
기초생물 수업에서는 Glial Cell 은 안 가르쳐 주었다고 우겨보지만서도... 구글해보니 어린이들도 배우는 셀이네요. https://faculty.washington.edu/chudler/glia.html
요즘 아이들은 재밌는 걸 배우네요.
요즘 아이들은 재밌는 걸 배우네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