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6/08/11 15:34:58
Name   리틀미
Subject   의료 및 의학 관련 질문을 올릴 때
홍차넷에 의사 선생님들이 많이 계셔서 의료 및 의학 관련 질문이 많이 올라오는데요. 의사선생님이 답변을 해줄 것이라고 기대한 글이라고 생각했을 때 이런 부분들을 이야기해주면 좋을텐데 아쉬운 게 많아요. 의학 지식이나 병원 현실에 대해서 아는 바가 많이 없지만, 원하는 정보를 좀 더 정확하게 얻을 수 있도록 참고할 만한 이야기를 몇 가지 써볼께요. 틀리거나 부족한 부분은 댓글로 보충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1. 온라인으로 진단을 내리거나 진료를 할 수 없다는 점을 먼저 기억하세요. 의료법에도 저촉되고 의료 윤리적으로도 문제가 있어요. 의학적으로도 환자를 직접 보지 않고는 단순한 추측에 불과합니다. 경험에 의거한 조언을 할 수 있지만 그것조차도 쓰는 의사 입장에서는 부담을 느낄 수가 있어요. 스스로 아프다는 확신이 들 때는 당연히 직접 병원에 가셔야 합니다. 병원에 방문하기 전에 또는 방문한 이후의 복잡한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궁금한 점에 대한 답변은 가능합니다.

2. 증상이 사소하다면 질문해도 소용이 없어요. 질문 자체가 큰 의미가 없거나 답변을 받기 어려울 것입니다. 긴가민가할 때 "신경 쓰인다"는 표현을 많이 하죠. 신경 쓰이는 정도의 증상은 대부분 별 일 아닙니다. 그런데 만에 하나, 천만에 하나 심각한 병일 가능성이 있죠. 단순하게 텍스트로만 전달된 이야기를 보고 의사 입장에서는 별 일 아닙니다라고 함부로 말할 수가 없어요. 가령 팔에 울퉁불퉁한 점이 나서 신경 쓰인다는 이야기를 한다면 거의 확실하게 단순한 점이겠지만 피부암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그런 상황에서 "아무것도 아닙니다" 혹은 "피부암일 수도 있습니다"라고 답변하기 어려운 것이죠.

심각한 증상인데도 사소한 것으로 오해하여 병을 키우는 경우에는 병원을 가보라고 조언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대부분은 이미 스스로 혹은 다른 사람을 통해서 병원에 가야겠다고 자각하지요. 이런 자각이 있을 때는 "평소와 다르게"라는 단어를 쓰게 됩니다.

3. 의학 지식을 물어보는 것인지 자신의 상황을 물어보는 것인지 명확히 해주세요. 증상을 일반화해서 설명을 요구하거나 특정한 질병이나 의학 용어에 대해서 궁금하다는 글이 올라올 때가 있어요. 쉽게 말씀 드리려고 기억 나는 예를 들면 "물을 많이 마셔도 괜찮은가요?"라는 글을 눌러 보면 "저는 하루에 몇 리터씩 물을 많이 마셔요. 사람은 하루에 물을 얼마나 먹어도 되나요?"라는 내용이 나오지요. 이런 글은 의학 지식을 물어보는 글이 아니라 스스로 건강에 대해 물어보는 글이라고 생각합니다. 사람이 하루에 물을 얼마나 먹어도 되는지는 당연히 사람마다 다릅니다. 게다가 물을 많이 먹는 것 자체가 증상일 수도 있어요. ALT 수치가 어떤 것인지 질문하는 글도 기억이 나네요. ALT라는 효소가 어떤 분자이고 무엇을 분해하는지 궁금하신 건 아니겠죠? 그것도 궁금할 수 있겠지만 그것보다 건강과 무슨 관련인지 알고 싶을 겁니다. 환자 상태가 어떤지에 따라 ALT 수치가 의미하는 바는 천차만별입니다. 외과에서는 조금만 올라도 겁먹는 경우가 있고 내과에서는 아무리 올라도 안 놀라는 경우가 있고 반대의 경우도 있습니다. 

단순히 질병이나 의학용어를 질문하거나 일반화시키는 것에는 의사선생님들이 답변하는 게 큰 도움이 안 됩니다. 구글링하거나 네이버 의학정보를 보는 것이 훨씬 더 친절하고 자세할 겁니다. 자신의 상황을 구체적으로 말해야 조언을 얻을 수 있어요.

4. 의사가 환자를 이해하는 방법 혹은 차트를 쓰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주 증상 Chief complain
"머리가 아파요", "배가 아파요"와 같이 환자가 직접 호소하는 가장 주요한 증상을 말합니다. 맹장염으로 응급실에 실려온 환자는 배가 아프다고 하지요. 단순하게 배가 아프다고 말하면 근처 내과를 방문하라고 말해주거나 정말 많이 아프면 2차 병원 외과나 소화기 내과를 가보라고 답변할 수 있을 거에요.

2) 나이/성별 Age/Sex
환자를 파악하는데 대단히 중요해요. 주증상과 조합하면 나이와 성별만 가지고도 의사의 머릿속에는 유력한 진단이 떠오르게 됩니다. 진료 과정에서는 신체 진찰과 검사를 통해서 가능성이 높은 것부터 하나씩 배제해나가게 되는데요. 물론 인터넷 상에서 개인 정보를 밝히는 것은 크게 부담되지요. 대신 그만큼 받을 수 있는 답변은 제한적입니다. 개인정보를 밝히면 더 좋은 답변을 얻을 수 있다고 말하려는 것이 아니라 그런 상황임을 감안하셔야 한다는 것이에요.

3) 현 병력 Present Illness
주 증상을 기초로 하여 어떻게 아픈지 설명하는 부분입니다. 의사가 직접 문진하여 병력을 청취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인터넷에서는 불가능한 일이죠. 다만 조금 자세하게 설명하면 더 도움 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정도입니다. 먼저 언제부터 증상이 시작되었는가(onset) 말해야 합니다. 흔히 급성이나 만성이라고 하는 부분이죠. 또 어떻게 아픈가를 묘사하면 좋습니다. "머리가 아프다"라면 "지끈지끈 아프다", "꼭꼭 쑤시듯이 아프다", "꽉 조이듯이 아프다" 등등의 묘사가 있으면 무슨 과를 내원하면 좋겠다 더 구체적으로 말씀드릴 수 있어요.

4) 과거력 History
이 부분은 일반인과 의료인 사이에 간극이 있을 수 있는데요. 병원에서 진단 받은 진단명이 있거나 수술 받은 경험, 먹고 있는 약이 있다면 말해주면 좋아요.

덧붙이면, 홍차넷 질문게시판에 의료 및 의학 관련 질문이 많이 올라오길 바라고 쓴 글은 아니에요. 오히려 사람들이 조금 의존적으로 되면 의사선생님들이 부담을 느낄 것 같고 전체적으로 서로 안 좋은 영향을 줄 것 같다고 생각해요. 지금 정도는 괜찮겠지만요. 서두에 밝혔듯이 특별히 질문게시판에 올라오는 글들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해서 쓴 것이 아니라 이런 점을 더 얘기해주면 좋겠다 아쉬워서 쓴 것이고요. 아프면 가까운 병원에 가세요! 사실 웬만한 증상은 내과 가셔도 다 봅니다.


* 수박이두통에게보린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6-08-22 13:39)
* 관리사유 : 추천 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4


    오 의료넷 쌤들에게 질문할때 알아야할 주의점같은건가요
    진짜 도움되네요. 감사합니다.
    April_fool
    이 글에 따라 최대한 모범적으로 질문 예시를 하나 적어 보겠습니다. 사실 사소해서 질문해도 별 소용은 없는 것이지만…

    28세 남성입니다. 20대 초부터 고혈압이 있어 현재 아모잘탄 5/100mg를 먹고 있고, 3년 전부터 강박장애 및 우울증으로 진단받아 현재 설트랄린 25mg과 아빌리파이 2.5mg을 처방받고 있습니다. 과거에 심전도에서 방실차단 1도가 있었다고 합니다. 몇 년 전부터 종종 뭔가 불규칙한 맥박이 한두 번씩 느껴질 때가 있는데, 이런 증상은 고혈압약을 먹지 않을 때 더 분명하고 연속적으로 나타납니다. 다만 24시... 더 보기
    이 글에 따라 최대한 모범적으로 질문 예시를 하나 적어 보겠습니다. 사실 사소해서 질문해도 별 소용은 없는 것이지만…

    28세 남성입니다. 20대 초부터 고혈압이 있어 현재 아모잘탄 5/100mg를 먹고 있고, 3년 전부터 강박장애 및 우울증으로 진단받아 현재 설트랄린 25mg과 아빌리파이 2.5mg을 처방받고 있습니다. 과거에 심전도에서 방실차단 1도가 있었다고 합니다. 몇 년 전부터 종종 뭔가 불규칙한 맥박이 한두 번씩 느껴질 때가 있는데, 이런 증상은 고혈압약을 먹지 않을 때 더 분명하고 연속적으로 나타납니다. 다만 24시간 심전도 검사에서는 아무것도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이런 증상의 원인은 무엇이고, 나중에 다른 병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자, 이제 질문에 답을 해 주시죠!! +_+ (기대중)
    리틀미
    음... 국가고시 지문보다 어려운데요. 국가고시 문제라면 고민하지 않고 공황장애를 찍겠습니다. 저도 일반인과 똑같이 공황장애 말고 아는 게 없어서...

    이 정도 내용이면 정신과 전문의나 심장 내과 전문의를 만나서 진료를 보셔야 하지 않을까요? ㅠㅠ 너무 내용이 압박스럽네요.
    April_fool
    앗차, 쓰는 걸 까먹었는데 정신과 전문의에 의해 공황장애는 배제되었습니다.
    리틀미
    그렇군요. 더욱 더 전문가와 면밀한 상담이 필요한 상황이네요...ㅠㅠ
    의사는 아니지만 답해봅니다
    운동부족입니다 ㅋ
    April_fool
    엌ㅋㅋㅋ 팩트폭력 자제효!!
    Leonipy
    원인은 스트레스 및 과로네요 (엄격,진지)
    산적A
    게임부족인것 같습니다.
    고혈압이 있으니 잔잔하게 오래할 수 있는 문명같은 게임을 처방합니다.
    April_fool
    거 부작용이 너무 심한 걸 처방하는 거 아니오?
    헬리제의우울
    그래서 손톱밑에 껍질벗겨지는거는 어떻게 해야 합니까?
    네일샵...쿨럭...
    April_fool
    이분 좀 현자이신듯…
    일반적인 얘기들인데 그리봐주시니 감사합니다 ^^
    영양분도 골고루 섭취하시고요
    하니남편
    마누라 심리상태를...
    그건 하나님도 모르는...
    Las Salinas
    크 과연 의료넷.. 병원가서 증상 말할때도 도움 될 것 같은데요.
    으음... 맞는 말씀이긴 한데.
    무언가 저렇게 질문에 전문성이 느껴지면, 답변하기 더 부담스러워지네요.
    ORIFixation
    이렇게 원격의료에 한걸음더?
    오늘 내과에 가서 제가 먼저 '감기인거 같은데요..' 라고 말을 했는데 지금 생각해보니 의사선생님께서 기분이 나쁘셨을 수도 있을 것 같네요.
    제가 느꼈던 사소한 증상들은 까먹거나 해서 '아 이건 감기인거 같은데..'라는 생각만 가지고 병원에 갔을 때는 어떻게 말씀드려야 좋을까요?
    기아트윈스
    저도 비슷한 경험이... 그 땐 의사가 "진단명 말고 증상을 말씀해주세요 ㅎㅎ" 했던 기억이 나요.
    사나운나비
    지난주 수요일부터 목 깊숙한 곳에서부터 긁어내는 듯한 기침이 나와요. 숨을 들이쉬면 갑자기 목구녕이 쉬이이 하면서 간질간질해가지구 기침이 멈추지 않고 나와요. 코는 괜찮은데 침삼킬때 목이 많이 아프고, 목소리가 많이 쉬었어요. 이게 제 목소리가 아니에요ㅠㅠ
    낮에는 좀 괜찮은데 밤이 되면 잠을 잘 수 없을 정도로 기침이 나와요!!
    살려주세요!!!!

    라고 말했습니다 저는...
    그냥 1번이 제일 중요합니다
    질문했던 적이 있어서 찔리네요. 제 경우에 온라인에서 진단 받으려는 것보다 직접 병원 가기 전에 알아둬야 할 거나, 표현을 어떻게 할 것인가가 궁금해서 하게 되는 경우가 많았어요. 또 어떤 상황이 벌어지거나 말을 들었을 때 이유를 설명 듣기 보다, 그 자리에선 권위에 눌려서 '네' 그러고 끝나게 되는 경우도 많고. 답변을 온라인상에서 듣고 싶은 것보단 병원 가서 의사 앞에서 어떻게 얘기해야 될 지를 모르는 경우가 많다고 해야 할 지... 미리 혹은 나중에라도 물어봐서 무슨 얘기라도 들으면... 미리 정리가 돼서 입이 쉽게 떨어지고, 원하는 걸 직접 표현하기도 수월해지고.. 안 되더라도 이유를 들어볼 수 있게 되고 그래서...
    질문 요령을 알 수 있게 하는 글 써주셔서 감사합니다. 역시 사소한 건 그냥 넘기거나... 아프면 직접 병원에
    리틀미
    저도 진료 보러 가면 말 잘 못 해요. 진료 시간도 너무 촉박하고요. 말씀하신 내용은 온라인에서 조언 받으면 큰 도움이 될 것들이죠.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56 꿀팁/강좌고부갈등을 해결해보자 - 희망편 40 기아트윈스 18/07/02 8060 56
    655 꿀팁/강좌집단상담, 무엇을 다루며 어떻게 진행되는가 4 아침 18/07/02 6233 14
    644 꿀팁/강좌[사진]이미지의 품질 12 사슴도치 18/06/07 7267 10
    640 꿀팁/강좌[사진]꿀팁. 내가 써본 보정하기 좋은 어플순위 13 사슴도치 18/05/31 9058 14
    496 꿀팁/강좌[사진]하늘 사진을 찍어봅시다. 4 사슴도치 17/08/18 8230 8
    492 꿀팁/강좌[커피]모카포트이야기 39 사슴도치 17/08/11 10400 11
    443 꿀팁/강좌[사진]을 찍는 자세 20 사슴도치 17/06/02 8935 6
    420 꿀팁/강좌[사진]인물 사진의 기초 - '앵글'을 알아봅시다. 14 사슴도치 17/04/26 8671 8
    418 꿀팁/강좌[사진]인물 사진의 기초 - '프레이밍'을 알아봅시다. 2 사슴도치 17/04/25 7522 7
    413 꿀팁/강좌국립중앙박물관에 가 보세요! 34 열대어 17/04/16 7705 15
    410 꿀팁/강좌원룸 구할 때 고려해야 할 것 (#원룸 #부동산 #월세 #자취) 5 이슬먹고살죠 17/04/12 9304 7
    409 꿀팁/강좌[사진]주제 부각하기. 15 사슴도치 17/04/10 5893 5
    403 꿀팁/강좌움짤을 간편하게 만들고 업로드해보자 (데이터 주의) 6 익금산입 17/04/01 9569 16
    367 꿀팁/강좌[사진]판형에 대해 알아봅시다. 30 사슴도치 17/02/16 8353 11
    365 꿀팁/강좌[사진]노출의 3요소와 PSAM 27 사슴도치 17/02/15 9574 13
    361 꿀팁/강좌사진찍으러 갈까요? 22 사슴도치 17/02/07 8176 25
    359 꿀팁/강좌인간의 일 22 moira 17/02/04 8707 16
    352 꿀팁/강좌읍,면,동 주민센터 방문시 알아두면 좋을 팁. 6 레이드 17/01/23 7136 12
    281 꿀팁/강좌셀카기술학 개론 (1) 19 elanor 16/10/12 9248 7
    249 꿀팁/강좌의료 및 의학 관련 질문을 올릴 때 27 리틀미 16/08/11 6870 4
    246 꿀팁/강좌조용함의 떠들썩한 효과 26 눈부심 16/08/07 7217 8
    204 꿀팁/강좌우리의 뇌에는 청소부가 있어요. 66 눈부심 16/05/12 9156 11
    147 꿀팁/강좌로버트 새폴스키 - 스트레스와 인간 16 눈부심 16/01/31 9242 10
    141 꿀팁/강좌만장일치의 역설 30 눈부심 16/01/11 9367 11
    114 꿀팁/강좌진지한 취미 사진가를 위한 다섯 가지 팁(스크롤 압박!) 43 *alchemist* 15/11/15 10559 14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