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6/10/31 07:10:12
Name   기아트윈스
Subject   만 4세, 실존적 위기에 봉착하다.
https://redtea.kr/?b=7&n=1703

요런 질문 글을 올렸었는데, 어찌저찌 해결을 보았기에 여기 보고드려요.


1. 기

애 엄마가 요즘 입덧으로 힘들어해서 쌍둥이를 데리고 인근 자연사박물관에 갔습니다. 애들도 잘 아는 곳이에요. 몇 번 갔었거든요. 예전에 재밌게 놀았던 만큼 이번에도 재밌게 놀아주길 바랬지요.

공룡 뼉다구도 보고 코끼리 뼉다구도 보고 이것저것 재밌게 많이 보면서 돌아다니다보니 어느덧 사람 뼈가 있는 곳까지 왔어요. 모조품이겠지만 전신 뼉다구를 잘 갖춰놨더라구요. 이게 뭐냐고 알파 (여, 만4세)가 묻길래 별 생각 없이 말했어요.

"응 이건 우리 몸 속에 있는 뼈야. 우리 몸엔 다 이런 게 있어. 그러다 나중에 죽으면 이렇게 뼈만 남지."

"아빠도 죽으면 이렇게 뼈만 남아?"

"응 아빠도 언젠가 죽어. 죽으면 이렇게 해골이 될거야. 사람은 다 죽게 마련이고 죽으면 다 이렇게 돼."

약간 망설였지만, 그래도 많이 생각하지 않고 혀 가는대로 말해버렸어요. 벌써 저만치 도망가서 다른 공룡에 관심을 팔고 있는 베타 (여, 만 4세, 활동력 +1)의 움직임을 추적하느라 알파에게 신경 쓸 여유가 없었거든요. 그래서 알파가 울먹거리는 목소리로 "나도 죽어서 해골이 돼?"라며 반문했을 때, 그래서 그 창백하게 질린 얼굴을 확인했을 땐 정말 깜짝 놀라고 말았어요.


2. 승

애 표정이 그냥 좋지 않다 수준이 아니었어요. 태어나서 지금까지 본 적이 없는 수준으로 질려있는 거예요. 지금 죽는 게 아니다, 아주아주 나중에 죽는 거다, 할아버지가 된 다음에야 죽는 거다, 죽는 것도 까짓 거 별거 아니다  (...) 등등 당황해서 온갖 뻘소리를 했는데 뭐 하나 먹히는 게 없더군요. 

먹히는 게 없는 정도였다면 차라리 다행이었을 것을. 사태는 악화일로로 치달았어요. 다른 곳으로 주의를 돌리려고 "저것봐! 티라노 사우르스야!" 라며 거대 티라노 뼈 모형을 가리켜도 "나 저렇게 되기 싫어" 하면서 우니 이거야 원 도저히 박물관 투어를 계속할 수가 없었어요.


3. 전

어떻게 저떻게 집에 돌아온 뒤에도 애는 마음을 진정시키지 못하더라구요. 전 당황한 나머지 죽음이 아니라 해골이 문제일 거라는 생각에 [재밌고 유쾌한 해골을 보여주면 되겠다]라고 오판을 했어요. 그래서 대충 유튜브에 dancing skeletons 같은 걸 검색해서 보여줬지요. 

"자 이것봐. 해골 친구들 진짜 웃긴다 그치? 얘들은 전혀 무서운 게 아냐. 우리도 나중에 해골이 되면 이렇게 재밌게 놀 수 있어."

젠장. 안 웃어요 -_-;;

이 때 즈음 홍차넷 질게에 글을 올려서 질문도 하고 답변도 달고, 동시에 아빠에게 카톡으로 구조요청을 보냈어요. 홍차넷에서 답글을 다는 와중에 아빠에게서 답이 왔는데 대강 요약하자면,

"얌마 ㅜㅜ 애들한테는 그렇게 말하면 안 돼. 애한테 객관적/과학적 언어를 쓰려고 하지 말고 시어를 써 시어. 삶과 죽음 같은 큰 문제는 애가 나이가 차서 스스로 고민할 힘이 생기면 그 때 가서 자기 힘으로 자기 답을 찾아서 긴 여정을 시작할 거야. 훗날의 일은 걔 몫으로 남겨두고, 그 전까진 은유적으로/시적으로/신화적으로 사유하며 힘을 기르게 해주면 되는 거야."

라더라구요. 저는 뭐라고 해야 할지 몰라서,

"그럼 거짓말을 하라구?"

라고 했더니,

"아이구. 방편을 쓰라는 거지. 광광 우는 아이에게 '여기 돈줄께~' 하면서 나뭇잎을 쥐어주는 건 거짓말을 하는 게 아니라 진통제를 주는 거야."

라고합니다.

그렇군요. 


4. 결

아빠에게 페북 영상통화를 걸어서 알파에게 보여줬어요. 할아버지에게 지금 고민되는 거 물어보라고 했지요.

"할아버지. 나 죽으면 해골되는거야 (울먹울먹)?"

"어 아냐. 너희 아빠가 이상한 소리 했지? 아빠가 원래 가끔 잘 모르면서 이상한 소리를 하니까 그런 거 무시해버려. 사람이 죽으면 별님이 돼. 훌륭한 사람은 달님도 되고 햇님도 될 수 있어. 너 라이온킹 봤지?"

"응"

"라이온킹 보면 심바 아빠가 죽어서 별님이 되잖아? 별님이 되어서 심바에게 말도 걸고 그러잖아. 그것처럼 우리도 죽으면 별님이 되는 거야."

"([공신력] 있는 레퍼런스까지 나오자 더 믿는 눈치로)그...그래?"

"그럼그럼. 할아버지가 이렇게 보니까 우리 알파는 반짝반짝 빛나는 별이 될 것 같아. 그러니까 아무 걱정 안해도 돼."

이런 대화를 몇 번 주고받다보니 애가 표정이 확 피는 거예요. 우왕 ㅋ.

영상통화를 끊은 뒤로도 알파는 저에게 삶과 죽음에 대해 계속 물어봤어요. 누차에 걸친 문답의 결과 알파는 이제 별님교 (Startology)의 교리를 믿게 되었어요. 알파에 따르면:

우리들 마음 속엔 모두 별님이 있어요. 별님은 우리를 숨쉬게 하고 움직이게 하고 생각하게 하고 춤추게 해요. 그러다 언젠가 우리가 죽게되면 별님들은 모두 하늘로 돌아가지요. 별님들은 밤이 되면 나와서 하늘을 돌며 놀다가 낮이 되면 집에 가서 편안히 쉬어요. 크고 아름다운 집에서 가족들과 함께 살지요. 언젠가 알파가 죽게 되어도 베타와 함께, 엄마와 함께, 아빠와 함께, 그리고 모든 친구들과 함께 밤하늘의 별님이 되어 영원히 사람들을 바라보며 행복하게 지낼테니 전혀 무섭지 않아요. 




휴. 잘 끝나서 다행이에요. 언젠가 자라서 까뮈 같은 걸 보게 되는 그날 까지 별님이 너의 앞길을 비춰주며 축복하길.


* 수박이두통에게보린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6-11-14 09:31)
* 관리사유 : 추천 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21
  • 신해철은 저 모든 별들은 먼저 떠난 사람들이 흘린 눈물이랬는데요?!
  • 춫천
  • 마음 따뜻한 별님교 이야기는 춫천
  • 훈훈하네요
  • 알파 베타 너무 귀엽네요 :)
  • 너무나 따듯한 이야기.


레이드
정말 아름다운 이야기네요. 저도 별님교를 믿어보고 싶어졌어요.
기아트윈스
어디 한 번 영업을 해볼까...ㅎㅎ
많이 배웠어요ㅋㅋ 선행학습 한 느낌?!
기아트윈스
제 실수를 반복하지 마시길 ;)
Ben사랑
산타가 없다고 아이에게 동심파괴짓을 한 리처드 도킨스는 나쁜 사람입니다.
Ben사랑
당장 아이에게 진실을 말하든 거짓을 말하든 그게 중요한 게 아닌 것 같아요. 어차피 지금 감당하기 어려운 것이고, 또 결국엔 다 알게 될 것이니까.
기아트윈스
이번 일을 통해 누구든 자기 힘으로 돌파해야 할 큰 질문들이 있고, 그런 큰 질문들은 돌파하는 과정을 혼자 해내는 것 자체가 중요한 거라서 옆에서 '옛다 정답이다'하고 던져주면 안 된다는 걸 배웠어요.
해피엔딩으로 끝나서 다행이네요!!
근데 정말 할아버지의 내공이 짱이신듯.. 8ㅅ8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줄 수 있는 어른 넘 멋진 것 같아요.
기아트윈스
휴. 일촉즉발이었지요.
windsor
기아트윈스님의 노력도 노력이지만
기아트윈스님의 아버지 즉 할아버지의 설명이 절대절명...... 이런 멋진 할아버지의 손자인 알파는 분명
현명한 아이에서 어른으로 성장할겁니다.
기아트윈스
축복해주셔서 고마워요. 하지만 애들은 기특한 모습을 보일 때는 가끔이고 대부분의 경우는 야만인들...;; 아시잖아요 ㅎㅎ;;
로오서
저도 육아라는걸 하게 된다면 엄청 고민되는 주제일것 같아요...@.@
기아트윈스
밑에 비어인사이드님 댓글이 현명한 것 같아요. 생각해보면 저도 병아리의 죽음으로 처음 죽음을 배웠고, 같은 이유로 신해철의 그 노래가 그렇게 영향력이 있었던 게 아닌가 싶어요.
로오서
날아라병아리 들으면서 울었던 기억이....
기아트윈스
저도 엉엉..
하니남편
4살쯤되면...그런건 사실되로 이야기 해줘야지요. 요즘은 장례법이 바뀌어서 다 화장해야된다고 그래서 저렇게 해골로 안된다고 이야기 해줘야됩니다.
기아트윈스
그렇게 얘기했다간 와이프님 등짝스매싱 맞고 제 해골이 튀어나올지도...ㅠ.ㅠ
Beer Inside
아이에게 죽음을 이해시키는 것은 애완동물을 키우게 하는 것이라고 하더군요.

우리집은 어린이집에서 가져오는 동물들이 잘 죽어서, 애가 한 번씩 아빠 '죽었어'라고 물어보더군요.
기아트윈스
옳아요. 저도 병아리의 죽음으로 처음 배웠던 것 같아요. 그래서 굳바이 얄리만 들으면 아직도 눈물이 나나봐요.
파란아게하
아빠님 만렙현자스킬 덜덜
기아트윈스
후후. 다 윤색된 겁니다. 속지 마세요.
님니리님님
ㅎㅎㅎ라이온킹이라는 공신력있는 레퍼런스ㅎㅎㅎ
기아트윈스
애한테 그보다 더 공신력있는 게 없지용.
마투잘렘
어으, 마음 따뜻해지면서 찡한 글이네요. 아침부터 이렇게 센치해지는 글을 보니까 아무래도 퇴근후에 술 한잔 마셔야 할 거 같습니다.
마음 따뜻한 글 잘 봤습니다.
기아트윈스
한국 소비경제 활성화에 기여했다니 뿌듯합니다. 잘 봐주셔서 고맙습니다.
까뮈 같은 걸 보게 되는 그날까지 ㅋㅋㅋ
기아트윈스
ㅋㅋㅋ 하이데거는 좀 이르잖아요.
나방맨
이래서 어린이는 옛날 이야기를 먹고 커야 하는 군요. 그나저나 기아 트윈스님의 아버님께서는 오늘도 넘나 멋지신 ㅠ
기아트윈스
맞아요. 햇님달님 같은 동화를 좀 보여줄 걸 그랬어요.

아차. 그러고보니 그 동화도 지금 보니 애들이 호랑이에게 잡아먹히고 만 이야기를 아름답게 미화한 게 아닌가 하는 으스스한 생각이 드네요 -_-;;
나쁜피
육아는 정말 어려운 일이군요... 아이가 현명한 부모님을 만난 것 같아 흐뭇합니다.ㅎㅎ
기아트윈스
육아 어려운데 재밌어요. 배우는 것도 많구요. 현명한 부모라기보단... 부모는 애가 만드는 거지요 뭐 --;;
도라에몽
고생하셨습니다^^;;
기아트윈스
어제 하루는 240시간 같았어요 ㅎㅎ
알료사
아이에겐 거짓이 필요합니다. 어른도 완전한 진실만으론 살 수 없어요.
알료사
결국 저마다의 별님교 얘기를 많은 사람들이 더 그럴듯하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오랜 세월 동안 정교하게 가다듬은게 종교죠.
기아트윈스
페북에 같은 내용으로 글을 써 올렸더니 친구 하나가 비슷한 말을 하더라구요. 모든 종교적 사유의 기반엔 "이럴 수는 없는 거야(It can't be so!!)"가 있대요.
별님교를 창시하다니 커서 훌륭한 철학자가 되거나 종교지도자가 될 거에요!
기아트윈스
앙대... 문과 가지 마라... ㅠ.ㅠ
원샷원킬
제 아들은 아빠가 죽으면 먼저 나비가 되어 있으라네요
자기도 죽으면 나비가 되어서 같이 날아다니자고

만3살인데 만4살이 되면 별로 갈아타야겠습니다
기아트윈스
나비도 멋져요. 시적이에요.
사나운나비
참 신기하네요. 아이가 '죽는다'는 것을 이미 이해한 상태에서 죽음 이후에 되는 것에 대해 궁금해하고 있는데 엄청 빠른 것 같아요...
저는 '죽는다'라는 의미를 잘 몰랐던 것 같아요. 그러다 어느날 길에서 파는 병아리를 하두 예뻐하길래, 엄마님이 말렸지만 아빠님이 덥석 다섯마리를 사주셨대요.
집 문 바로 옆에 보일러실이 있었는데, 그 안은 좀 따뜻하니까 여기다 집을 만들어주자며 풀어놓았죠.
그다음날 나갔다 돌아왔는데........ 고양이가 왔다간 모양인지..... 정말 눈뜨고 보기 힘든 처참한 광경이........ 차라리 ... 더 보기
참 신기하네요. 아이가 '죽는다'는 것을 이미 이해한 상태에서 죽음 이후에 되는 것에 대해 궁금해하고 있는데 엄청 빠른 것 같아요...
저는 '죽는다'라는 의미를 잘 몰랐던 것 같아요. 그러다 어느날 길에서 파는 병아리를 하두 예뻐하길래, 엄마님이 말렸지만 아빠님이 덥석 다섯마리를 사주셨대요.
집 문 바로 옆에 보일러실이 있었는데, 그 안은 좀 따뜻하니까 여기다 집을 만들어주자며 풀어놓았죠.
그다음날 나갔다 돌아왔는데........ 고양이가 왔다간 모양인지..... 정말 눈뜨고 보기 힘든 처참한 광경이........ 차라리 물고가지 싶을 정도였대요.
엄마가 보기에도 굉장히 끔찍하고 충격적인 장면인데, 그걸 보고 제가 거길 들어가서 갈기갈기 찢어져 피투성이인 병아리 다섯마리를 그러모아 가슴에 안고
두시간을 서럽게 엉엉 울더랍니다. 아마도 그게 제가 처음 접한 '죽음'이었대요. 그때가 다섯살에서 여섯살 넘어갈 무렵이었다고..
기아트윈스
아... 충격이네요. 사나운나비님도 굳바이 얄리 좋아하시나요"?
아버님의 내공이 정말 대단하시네요. 저희 아이도 좀 더 크면 별님교 신도로 만들어야겠습니다. ㅎㅎ
기아트윈스
(진지하게 별님교를 만들어볼까 ㄷㄷㄷ 마스코트는 별의 카비 같은 걸로)
리니시아
기, 승, 전, 결
기가막히네요 ㅋㅋㅋ
기아트윈스
어쩌다보니 사건 자체가 절도 있게(?) 진행되어서;
(얼마후) 그럼 해골은 뭐야?
기아트윈스
ㅋㅋㅋㅋㅋㅋ 안그래도 와이프랑 그 이야기 했어요. 언젠가 또 분명 해골에 대해 물어볼 텐데 그 땐 별님교 교리가 또 한 단계 진화하게 되는 거 아닌가 하구요.

영육이 분리되고 몸은 해골이 되어 땅으로 돌아가고 영은 별님이 되어 올라가고 막..
은채아빠
같은 4살인데도 아직 순수한 (이라고 쓰고 말이 아직 서툰이라고 읽습니다) 저희 딸아이는 아직 먼 걱정이네요. ^^;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아버님께서 정말 현명하고 멋지세요!
기아트윈스
저희도 베타가 말이 몹시 서툴어요. 대신 활동력이...;; 그래서 알파가 던져주는 퀘스트는 저렇게 말로 풀어야하고 베타가 주는 퀘스트는...몸으로...아이고..
네 살에 해골을 보고 죽음을 고민하다니 천재일까나
기아트윈스
천재 아닙니다 (단호). 희망을 갖고 보려고 해도 그냥 평범해요. 그냥 제가 말을 잘못해서 일을 크게 만든 거 아닌가 싶어요 =_=;;;
마르코폴로
최근에 죽음의 얼굴이라는 책을 보고 있어요. 비슷한 주제의 이야기가 나오니 흥미롭네요. 책의 내용 중에서 하이데거의 사유를 레비나스가 비판하는 부분이 있어요. 하이데거의 주장과는 다르게, 죽음이 주체의 의식이 아니라 타자와 관계한다는 점을 피력하더군요. 특히 나의 죽음이 아니라 타자의 죽음이 삶의 근원적 현상이며 죽음의 첫번째 경험이라고 얘기하는 부분이 인상적이었어요.

'죽음과 나의 관계는 타인의 죽음에 대한 지식이 불러일으킨 그런 정서적, 지적 반향에서 나온 것이다.'

알파의 사례를 보니 레비나스가 옳은 것 같기도 합니다. 흐흐흐
기아트윈스
ㅎㅎㅎ 전 그 말이 맞기도 하고 틀리기도 하다고 생각해요. 타인의 죽음을 아픔과 상실로 느끼든 무심한 생체기계의 작동정지로 느끼든 "나"의 죽음은 그 자체로 거대한 벽이니까요. 가장 매정하고 냉혹한 인간이라도 자신의 죽음 앞에선 굉장히 감상적으로 변하지 않을까요?

알파의 사례는... 잘 모르겠어요. 자기 죽음이 무서운 건지 아니면 제가 "아빠도 죽어"라고 말한 게 무서웠던 건지 모르겠어요. 별님교를 믿게된 뒤에도 자기가 별님이 될 거라는 거에 안도하면서도 한편으론 우리 가족이 다 같이 별님이 되어야한다고 강조하는 걸 보면 두 가지 포인트가 혼재되어있는 것 같기도 해요.
한달살이
자동차를 좋아하는 아이가 아빠에게 묻습니다. '자동차는 어떻게 움직이는거야?'

아빠는 심호흡을 한 후 열심히 설명을 하죠.
'엔진에 연료를 넣고 태워서 피스톤을 움직이면서 그 힘으로 동축으로 이어진 바퀴를 돌리면서 자동차가 간다.
이때, 기어라게는 있고, 브레이크라는게 있고.. 어쩌구 저쩌구.. '
자기 나름대로 엄청 열심히 설명을 하고 뿌듯해 하려다가 아이 얼굴을 보니, 온통 물음표가 가득 차 있더란다.

이때, 엄마가 와서 아빠 등짝을 철푸덕 내리친후.
아이를 보면서 웃으면서 한마디 했다.

"부응, 부응, ... 더 보기
자동차를 좋아하는 아이가 아빠에게 묻습니다. '자동차는 어떻게 움직이는거야?'

아빠는 심호흡을 한 후 열심히 설명을 하죠.
'엔진에 연료를 넣고 태워서 피스톤을 움직이면서 그 힘으로 동축으로 이어진 바퀴를 돌리면서 자동차가 간다.
이때, 기어라게는 있고, 브레이크라는게 있고.. 어쩌구 저쩌구.. '
자기 나름대로 엄청 열심히 설명을 하고 뿌듯해 하려다가 아이 얼굴을 보니, 온통 물음표가 가득 차 있더란다.

이때, 엄마가 와서 아빠 등짝을 철푸덕 내리친후.
아이를 보면서 웃으면서 한마디 했다.

"부응, 부응, 부르릉~~쌩~~ 쌩~ 재미있지?"

아이는 그제서야 자동차 장남감을 들고 신나게 놀기 시작했다.
기아트윈스
ㅋㅋㅋㅋㅋㅋ 엄마 짱!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54 기타우리 아들의 신박한 표현들 29 Toby 17/01/25 8054 11
351 기타고소하면 제가 돈을 받을 수 있나요? 14 사슴도치 17/01/23 6477 15
342 기타알료사 6 알료사 17/01/10 6461 13
333 기타육아일기 - 아이와 나눈 대화 8 까페레인 16/12/28 6462 5
323 기타딸바보와 바보딸 28 민달팽이 16/12/16 6935 26
318 기타아직도 이불킥하는 중2병 썰, 20 마투잘렘 16/12/06 8447 16
316 기타마, 얼굴만 봐도 알겠네! 너지! 26 Azurespace 16/11/29 10358 17
315 기타ISBN 이야기 17 나쁜피 16/12/02 6125 15
314 기타ISBN 이야기(2) 20 나쁜피 16/12/03 5631 10
302 기타서원철폐 21 피아니시모 16/11/16 6106 4
296 기타만 4세, 실존적 위기에 봉착하다. 56 기아트윈스 16/10/31 7426 21
287 기타당연한 육아는 없답니다 16 밀크티티 16/10/20 6923 22
270 기타채식주의자(The Vegetarian) 번역자 데보라 스미스씨 만난 썰 39 기아트윈스 16/09/27 6708 1
267 기타[마르크스 사상사 시리즈] 1. 맑스?마르크스? 29 nickyo 16/09/21 7687 5
266 기타양자역학 의식의 흐름: 더 퍼스트 어벤져 37 Event Horizon 16/09/16 6953 13
265 기타니코틴과 히로뽕 이야기 5 모모스 16/09/15 9971 6
264 기타맛 칼럼니스트 황교익은 왜 "추석 차례 지내지 말자"고 할까 9 님니리님님 16/09/13 6177 5
252 기타후장식 드라이제 소총과 아름답고 푸른 도나우강 7 모모스 16/08/19 10480 3
251 기타"국왕" 대신 "국가와 조국" 위해 싸운 나폴레옹의 프랑스군 8 모모스 16/08/18 8120 3
250 기타반사 21 기아트윈스 16/08/14 5926 7
247 기타원어민도 못푸는 수능34번 문제? 34 Event Horizon 16/08/09 8448 12
242 기타홍차넷 자게 메타분석 45 기아트윈스 16/08/01 7830 16
231 기타올바른 '판단-해석'을 위하여 11 전기공학도 16/07/10 5950 6
230 기타종이모형을 아시나요? (데이터 주의!!!) 35 볕뉘 16/07/08 9140 13
210 기타아들이 말을 참 잘합니다. 37 Toby 16/05/30 6796 25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