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5/07/21 18:57:30
Name   마르코폴로
Subject   콩국수, 서민음식과 양반음식의 하이브리드


콩국수는 냉면과 더불어 여름철을 대표하는 음식입니다. 하지만 정서적으로는 꽤나 차이가 있는 음식이기도 합니다.
냉면이 주로 밖에서 사먹는 외식의 이미지인 반면에 콩국수는 집에서 해먹는 가정식의 느낌이 강하지요.
이북에 연고가 있으신 분들이 아닌 한 냉면보다는 콩국수에서 옛향수를 느끼는 것은 이런 이유 때문일 겁니다.

이렇게 우리가 즐겨먹는 콩국수는 1911년에 발행된 '시의전서'에서 처음으로 그 형태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내용을 살펴보면 콩을 물에 불린 후 살짝 데치고 갈아서 소금으로 간을 한 후, 밀국수를 말아 깻국처럼 고명을 얹어 먹는다고 전하고 있습니다.
지금의 콩국수와 크게 다를 것이 없습니다만 깻국처럼 먹는다는 설명이 좀 특이합니다.

깻국은 양반들이 주로 먹던 음식으로 '동국세시기'에서 그 모습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여름철 계절 음식으로 밀가루 국수를 만든 다음 거기에 오이와 닭고기를 넣어 백마자탕에 말아 먹는다고 적혀있는데, 백마자탕이라는 것이 바로 들깨를 갈아
만든 깻국입니다.

-깻국에 닭육수를 섞은 임자수탕(농촌진흥청 사이트에 있는 깻국의 이미지를 쓰려니 자꾸 에러가 나네요.)

옛문헌을 살펴보면 조리서에 콩국을 말아먹는 면식에 관한 설명은 찾아보기 힘듭니다.
아마도 콩국이라는 것이 서민들이 향유하던 음식이었기 때문에 양반들의 기록에서는 찾아보기 힘든것이라 생각됩니다.
우리가 먹는 콩은 만주가 원산지일 정도로 역사도 깊고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곡물이었습니다.
과거부터 부족한 양식 대신에 콩을 갈아 국물을 만들어 놓고  배가 고플때마다 수시로 마시며 영양을 보충했습니다.

실학자 이익은 '성호사설' 에서 콩먹는 모임인 삼두회를 만들어 콩 음식을 즐겼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때 이익이 즐겼던 것이
콩죽과 콩국 한잔에 콩나물 한 쟁반 이었습니다. 다산 정약용 역시 춘궁기에 뒤주가 비면 콩국 마시는 것으로 만족하며 지냈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콩국이라는 것이 살림이 넉넉치 않은 사람들이 양식 대신에 먹던 음식이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지금이야 콩이 쌀보다 비싸지만 과거에는 흔해 빠진 곡식이었죠. 우리가 지금까지 흔히 쓰는 '쑥맥'이라는 말에서 쑥이 바로 콩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가장 흔하고 많은 작물인 콩과 보리도 구분하지 못한다는 의미에서 나온 말이죠.

이렇듯 가난한 사람들이 곡식 대신에 먹던 콩국에 과거에는 귀하기 그지없었던 밀국수를 말아 먹지는 않았을 겁니다.
그러니 밀가루 국수를 역시 귀한 깻국에 말아먹는 형태의 음식을 양반들이 여름철 별미로 즐겼던 것이고
이런 이유로 1900년대에 들어와서야 지금의 콩국수 형태가 만들어지게 된 것이지요.
냉면과 마찬가지로 1930년대에 무쇠제면기가 발명되면서 대중들이 흔히 즐기는 음식으로 보급되었을 겁니다.

과거에는 양반들이 주로 먹던 기름진 형태의 깻국에 면을 말아먹었으나 세월이 흐르면서 담백한 콩국에
밀국수를 말아먹는 경우가 더 많아 집니다. 그래서 양반들이 먹던 깻국은 사라지고 지금의 형태의 콩국수가 남게 된 것이지요.
  

  


* Toby님에 의해서 자유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5-07-31 00:14)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0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77 철학/종교사는 게 x같을 때 떠올려보면 좋은 말들 34 기아트윈스 21/04/02 7209 31
    242 기타홍차넷 자게 메타분석 45 기아트윈스 16/08/01 7198 16
    656 꿀팁/강좌고부갈등을 해결해보자 - 희망편 40 기아트윈스 18/07/02 7191 56
    726 꿀팁/강좌홍차넷을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22 Cascade 18/11/04 7190 27
    688 문학책 읽기의 장점 2 化神 18/08/27 7183 13
    586 일상/생각조카들과 어느 삼촌 이야기. 9 tannenbaum 18/02/02 7177 33
    354 기타우리 아들의 신박한 표현들 29 Toby 17/01/25 7168 11
    478 일상/생각... 37 켈로그김 17/07/21 7165 21
    830 정치/사회사회가 감내할 수 있는 적정비용을 찾아서 41 Fate 19/07/10 7160 38
    1129 기타남자 곰타입의 옷배색에 관한 연구 43 흑마법사 21/09/15 7155 10
    209 일상/생각어느 시골 병원 이야기 35 Beer Inside 16/05/28 7154 12
    717 철학/종교은탄환의 딜레마 15 메아리 18/10/16 7150 24
    404 의료/건강성중독에 관하여 몇마디 하고 싶어 적습니다. 12 민지 17/04/04 7150 19
    48 요리/음식콩국수, 서민음식과 양반음식의 하이브리드 33 마르코폴로 15/07/21 7143 0
    162 철학/종교매너의 진화 11 눈부심 16/02/28 7139 7
    1010 경제주식투자, 튜토리얼부터 레이드까지 37 기아트윈스 20/09/23 7137 28
    386 일상/생각치킨값에 대한 단상.. 76 Zel 17/03/14 7133 10
    667 여행서울 호우캉스 호텔 결정 로직 43 졸려졸려 18/07/25 7125 15
    66 체육/스포츠[스탯] 세이브 조작단을 검거해보자 - WPA 8 kpark 15/08/31 7122 3
    516 일상/생각애 키우다 운 썰 풉니다.txt 21 Homo_Skeptic 17/09/23 7121 20
    1136 꿀팁/강좌여자 생활한복 경험담+코디팁+쇼핑추천(부제:남편이여 선물하라) 38 흑마법사 21/10/12 7114 27
    393 문학채식주의자 - 90년대 이후 국내 여성 문학 속 일련의 작품군에 대한 단상 48 팟저 17/03/21 7110 14
    1120 기타남자양말 신는방법(?) 47 흑마법사 21/08/24 7103 9
    722 여행이름부터가 북쪽의 땅 - 노르웨이 16 호타루 18/10/28 7103 18
    1005 일상/생각어른들 말씀 잘 듣고 공부 열심히 하는 착한 사람 되지 마세요. 27 Schweigen 20/09/07 7099 7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