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7/10/30 14:30:30
Name   二ッキョウ니쿄
Subject   낙오의 경험

"죽이는 SNS를 만들러 왔습니다"

특이한 일이다. 국비지원교육과정은 받는 내가 말하긴 뭐하지만 1차 지식노동자 보급체계에 가깝다는게 일반적인 인식이라고 생각한다. 공고를 나와서 생산직 실습 보내는거랑 비슷한. 그런면에서 죽이는 SNS라는건 마치 동네 복싱체육관에 등록한 학생이 복싱은 왜 배우고싶어요? 라고 했을때 메이웨더좀 줘 팰려고요. 와 같은 느낌이 든다. 젊은이의 패기는 즐겁지만 시선에는 냉소가 서리고, 직업병처럼 웃는 강사는 역시 직업병처럼 웃으며 열심히 해보라는 말을 남긴다. 열심히.

세상사람들은 간혹 지식노동이 당장 열심히 하면 가능한 일이라고 믿는 것 같다. 혹은 사회가 전반적으로 그렇다고 믿게끔 하는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냉정하게 보자면, 지식노동도 육체노동도 완전한 초심자를 위한 판은 없다. 노가다도, 청소도, 출장뷔폐도 근무 첫날, 이튿날, 일주일, 한달 정도는 온 몸이 비명을 지르고 피로감이 전신을 짓누르며, 요령껏 쉬고 요령껏 일하고 요령껏 효율적으로 몸을 굴리는 일은 그 이후의 일이다. 몸을 꾸준히 단련하거나 써 온 사람은 한달이 하루나 이틀로 줄어들 수 있고, 몸을 전혀 쓰지 않은 사람은 꽉 차게 한달이 걸릴 뿐이다. 그리고 어떤 절박한 이유가 없다면, 대체로 후자는 한달이 되기전에 다른 일을 하러 떠난다.

그 친구는 지식노동에 있어서는 정확히 같은 상황이었다. 대체로 지식활동을 어떤식으로든 꾸준히 해 온 사람들은 경험적으로 자신의 학습능력을 파악하고 있고, 모르는 것을 익히는 자기만의 방식들을 나름대로 체화하고 있다. 누군가는 여러번 읽는걸로, 누군가는 쓰는 걸로, 누군가는 쓰고 읽고, 설명하고, 개념도를 그리고, 문제를 풀고, 복습시간은 얼마나 잡아야하고, 오늘 미루면 내일 얼마나 버벅일지를 알고.. 그 사이 어딘가에서 적당히 해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그 친구는 아니었다. 모르는 것을 이해하기 힘들어했고, 이해하기 위한 작업 역시 더뎠다. 누가봐도 열심히 한다고 말할 수 있었지만, 누가 봐도 할 수 있다고 여기지는 못했다.


하루 9시간이 넘는 지식노동을 강제받는 상황에서, 그 친구는 자신에게 할 수 있다는 말을 해 준 강사를 붙잡고 펑펑 울었다. 이미 교실에서는 지식노동에 익숙한 이너 서클 그룹의 냉소와 비웃음에 한참 노출되어 있었고, 또 다른 나머지에게는 그 친구의 질문이나 버벅임이 방해처럼 느껴졌으며, 이도 저도 아닌 이들에게는 그저 프로젝트에서 엮이고싶진 않은데.. 하는 소극적인 거리두기를 통해 고립되어 있었고, 누구에게도 얘기할 수 없는 그러한 공기와 자신을 짓누르는 이해하지 못한, 따라가지 못한 지식의 양에 무릎을 꿇은 것이다. 열심히하는데, 열심히하는데 안됩니다. 뭇 사람들은 거기에 또 한번 냉소를 보냈고, 나는 웃지도 울지도 못한 채 찡그린 얼굴을 삼을 뿐이었다.


낙오의 경험은 어떤것인가. 그건 공포이기도 하고 혐오이기도 하다. 스스로의 가치는 땅바닥 위로 철푸덕 하며 떨어지고, 힘겨운 존엄의 포기이기도 하다. 그 모든 것을 잃어버리고 있다는 공포는 이를 악물게 한다. 이를 한번, 두번, 세번, 네번 악물다가 이내 낙오해 버릴때에는, 죽고싶다는 생각이 든다. 낙오의 경험이 없는 이는 축복받은 것이다. 나 역시 어떤 순간에 낙오를 한 경험이 있었고, 다만 운이 좋아 잘 지나왔다는 생각을 한다. 이를테면, 나이 서른이 다 된 이가 누군가를 붙잡고 펑펑 운다는 것은, 낭떠러지에 떨어지기 직전인 나를 제발 구해달라는 비명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으레 그렇듯, 시스템은 낙오자에게 낙오하게끔 만든다. 그것이 모두에게 공적 이익을 가져다 주므로- 강사는 그 사람이 될 때까지 기다려줄 수 없고, 사람들은 그 사람의 낙오에 아무런 관심이 없다. 그것이 내가 아니라 오로지 다행일 뿐. 그것이 '공적'이라는 이름이 붙을만한 이익인지는 사실, 동의하고 싶지는 않다.


강사는 결국 열심히 하다보면 언젠가는 될 거라는 말을 남긴다. 그리고 나는 그 말에 동의하고 싶었다. 대체로, 처음 접하는 영역도 들이받다보면 어느정도의 시간이 쌓이고 마련이고, 그러다보면 점점 되게 된다. 저 사람은 그때까지 절망하지 않을 수 있을까? 그 시기는 언제 오게 될까. 모두의 삶이 달랐던 만큼 모두에게 다른 시간은 과연 그에게 언제쯤 손을 내밀어 줄까. 이런 저런 생각에 잠길때 즈음, 그에게서 아직 통곡의 기운이 가시기도전에 사람들의 원성어린 눈빛과 함께 진도를 나가기 시작한다. 나 역시, 프로젝트로 비추어지는 화면을 따라 바삐 손을 움직인다. 나의 낙오가 지금이 아님을 안도하며. 비릿하게 상해가는 마음을 숨기며.




* 수박이두통에게보린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7-11-13 08:24)
* 관리사유 : 추천 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12


    '열심히'의 기준과 '시간'을 투자하면, '된다'의 개념이 사람마다 크게 다르죠.
    얼마나 열심히 얼마나 오랫동안 해야 하는 것인지... 어느정도 하는게 되는건지...
    이 부분을 명확히 인지하지 못하면 결국 기대는 충족되지 못하는거니까요.

    한동안 온라인 멘토링을 할 일이 있었는데... 막상 해보니 '꿈 깨세요. 쉬운일이 아닙니다' 같은 동심파괴형 대답밖에 안하게 되더라구요.
    1
    二ッキョウ니쿄
    파괘되어버렷
    기쁨평안
    하지만 어떤 스킬을 새로 장착하는 데에는 그만큼의 노력과 고통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하다못해 노가다를 할 때도 요령이 필요한데요..

    그리고 지금 계신 곳은 그런 스킬을 장착하는 1차 훈련소 같은 곳인데요..
    오히려 적성에 맞지 않는 사람들을 걸러주고 있는게 아닌가 싶기도 하네요.

    사실 같은 종류의 트랙에 들어와서 달리기를 하는 사람들끼르는 뒤쳐지는 사람들을 부축하거 도와줄 수 있겠지만,
    지금은 트랙에 나갈지 못나갈지도 모르는 곳에서 준비하고 계시는 거잖아요.
    그런 상황이라면 다른 사람들 돌아볼 여유가 있지도 ... 더 보기
    하지만 어떤 스킬을 새로 장착하는 데에는 그만큼의 노력과 고통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하다못해 노가다를 할 때도 요령이 필요한데요..

    그리고 지금 계신 곳은 그런 스킬을 장착하는 1차 훈련소 같은 곳인데요..
    오히려 적성에 맞지 않는 사람들을 걸러주고 있는게 아닌가 싶기도 하네요.

    사실 같은 종류의 트랙에 들어와서 달리기를 하는 사람들끼르는 뒤쳐지는 사람들을 부축하거 도와줄 수 있겠지만,
    지금은 트랙에 나갈지 못나갈지도 모르는 곳에서 준비하고 계시는 거잖아요.
    그런 상황이라면 다른 사람들 돌아볼 여유가 있지도 못할 것이고...

    애초에 허황된 꿈이 있는 사람이라면 빠르게 접고 다른 길을 알아보도록 하는 것이 더 좋을지도 모르고요..
    그럼 다른 길은 누가 알려주느냐고 반문을 한다면...딱히 할말은 없습니다만...

    그래도...사실 씁쓸하네요.
    1
    二ッキョウ니쿄
    트랙에설수잇길ㅜ
    지금까지 읽었던 니쿄님 글 중에서 탑3 정도로 전달력이 높고 와 닿는 데가 많은 좋은 글이에요. 낵아 경향신문 2030 칼럼 담당자면 거깃다 싣겠는데 아깝다.
    二ッキョウ니쿄
    이정도 글은 문안하게 10분 정도면 쓸수잇죠 무적권 인정하는 부분? ㅇㅇㅈ~
    호라타래
    낙오 그 자체를 넘어 누구도 손 내밀어 주지 않는 침묵, 배제, 냉소가 더 공포스럽게 느껴질 것이에요. 말로 집어내기는 힘들지만 본능적으로 상황의 냄새를 맡는 능력이 사람에게 있으니까요. 주어진 상황을 보다 복합적인 게임으로 인식하셨으면 좋겠다는 말을 남기고 싶지만, 두서없이 떠오르는 단상들에 앞서 그 눈물에 담겨 있는 좌절이 그저 안타깝네요.
    저요? 제가 공포스럽다뇨~ 부드러운 사람입니다....
    호라타래
    ㅎㅎㅎ
    우분투
    음 갑자기 예고에 다니는 친구가 생각나네요. 연극영화과이고 올해 재수를 하는데, 저한테 공부를 가르쳐 달라고 하더라구요. 만나서 이것저것 물어보고 수준을 파악해보려는데, 뭔가 이상한 느낌이 들어서 자세히 캐물었더니 자기는 평생 공부란 걸 제대로 해본 적이 없다고 합니다. 그러니까 뭔가.. 국어는 영역별로 어떻게 읽어야겠다, 수학은 내가 어느 부분을 못한다, 개념을 숙지해야겠다, 영어 독해는 이렇게 끊어 읽어야겠다, 사탐 노트정리는 언제 복습하면 좋다.. 이런 것 자체를 생각해본 적이 없는.. 제가 연기를 하면 비슷하겠죠.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56 일상/생각나도 결국 이기적인 인간 2 쉬군 17/12/02 6424 13
    555 일상/생각SPC 직접고용 상황을 보며 드는생각.. 20 二ッキョウ니쿄 17/12/01 7243 15
    554 일상/생각삶의 무게... 12 사나남편 17/11/29 5725 22
    552 일상/생각홍차넷의 정체성 48 알료사 17/11/22 10204 43
    551 일상/생각고3, 그 봄, 그 겨울 19 aqua 17/11/21 7315 47
    549 일상/생각그래도 지구는 돈다. 40 세인트 17/11/20 6983 46
    546 일상/생각 34 기쁨평안 17/11/17 7554 16
    545 일상/생각독일에서 들었던 수업들 4 droysen 17/11/16 6911 4
    544 일상/생각무죄 판결 21 烏鳳 17/11/14 7920 31
    543 일상/생각홀로 견디는 당신에게 16 레이드 17/11/10 6885 30
    540 일상/생각독일 대학원에서의 경험을 정리하며: 1편 19 droysen 17/10/30 9885 25
    539 일상/생각아주 작은 할아버지 20 소라게 17/11/03 7000 36
    537 일상/생각낙오의 경험 10 二ッキョウ니쿄 17/10/30 6248 12
    535 일상/생각컴패션, 이타심 26 Liebe 17/10/27 7282 16
    534 일상/생각미역국 6 마녀 17/10/24 5008 13
    532 일상/생각울진 않을거 같습니다. 14 aqua 17/10/21 8408 57
    524 일상/생각해외 플랜트 건설회사 스케줄러입니다. 65 CONTAXS2 17/10/05 13228 18
    521 일상/생각학력 밝히기와 티어 33 알료사 17/10/01 8954 40
    518 일상/생각평등 31 알료사 17/09/26 7751 27
    516 일상/생각애 키우다 운 썰 풉니다.txt 21 Homo_Skeptic 17/09/23 7806 20
    515 일상/생각조카사위 이야기. 47 tannenbaum 17/09/21 8585 24
    510 일상/생각이별의 종류. 6 tannenbaum 17/09/16 9183 19
    507 일상/생각그때 미안했어요. 정말로. 10 알료사 17/09/08 7545 18
    506 일상/생각메론 한 통 2 Raute 17/09/04 6114 13
    504 일상/생각10년전 4개월 간의 한국 유랑기 #완 16 호라타래 17/09/02 6098 18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