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8/07/25 14:42:50수정됨
Name   기쁨평안
Subject   재보험(Re-Insurance)에 대해 간단한 설명
보험도 어려운 판에 재보험이 왠말이냐? 싶으실 수도 있지만,
그래도 알아두시면 모르는 것보다는 나을 것 같아서 조금이나마 풀어봅니다.

아마 일반분(?)들은 보험이라고 하면 가입해 두신 생명보험이나 실손보험, 그리고 차가 있으신분들은 매년 가입하시는 자동차보험 이정도만 접하실 것 같은데요.
이 보험이라는 것은 원래는 기업들이나 정부와 같은 사업현장에서 제일 먼저 발생했고 발전을 해왔답니다.

최초의 화재 보험은 1666년에 발생한 런던 대화재로부터 생겨났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 해에 런던의 한 빵공장에서 불이 납니다. 그런데 그 당시 소방담당관이 안일하게 대응을 하는 바람에 런던 시내로 확산이 되었고 총 5일동안 런던은 불바다가 됩니다. 당시 인구 8만 명 중 7만 명(...)이 집을 잃고 노숙자가 되고 만 대참사였죠.
이 이후 화재보험이 발생을 하게 됩니다.

해상보험은 이보다 300년이나 앞서 르네상스 시절에 이미 발생을 했구요.

이런 보험들, 특히 이번에 라오스 댐 건설같은 것들도 다 공사 시작 전에 건설공사보험을 들어놓게 됩니다. 이건 거의 필수거든요.

그런데 문제는 이런 프로젝트는 사고가 날 확률은 엄청 적은 반면 한번 사고가 터졌다 싶으면 걷잡을 수 가 없는 것이 문제입니다.

보통 보험을 가입하고 보험료를 내야 하는데, 이게 보험료 책정이 애매한 거에요.
예를 들어 이런 댐 공사시 사고가 났을 때 5천억원을 보상해주는 보험을 든다고 가정해봅시다.
(아직 피해추산도 안나온 상황이니만큼 그냥 예시를 들어봅니다.)

그러면 이 5천억원에 대한 보험료는 얼마로 책정해야 할까요?
5백억원? 50억원? 5억원?

원래 보험이라는 것이 "위험을 분산해서 떠넘기는 것" 입니다. 발생확률 1%인 사고에 대해 100만원 보상을 받으려고 100명의 사람들이 1만원씩 걷는게 보험이거든요. 그렇게 모인 100만원을 가지고 있다가 사고가 난 사람에게 주는 구조인데,

이런 대형 프로젝트는 수가 많지도 않고 사고날 확률은 극히 희박한데, 한번 나면 회사가 망할 판이라 가입이 너무 부담스러운 거에요.

그래서 대부분의 보험회사는 이런 초대형 사고를 대비해서 자체적으로 또 보험에 가입을 합니다. 이걸 [재보험(Re-Insurance)]라고 해요.

1차적으로는 건설사는 사고의 [위험(Risk)]를 돈을 주고 보험회사에게 떠넘기죠.
그리고 보험회사는 인수한 위험을 다시 재보험회사에게 돈을 주고 넘깁니다.

이런 재보험회사들은 말 그대로 초대형 금융그룹인 경우가 많아요. 워렌버핏으로 유명한 버크셔 해서웨이라던가, 스위스 리, 뮌헨 리 (뮌헨린지 뮈닠 리 인지 ㅋㅋ), 로이즈 등등이 유명해요. 우리나라에는 코리안 리 (Korean Re)라고 한군데 밖에 없어요. 예전에는 (다들 그렇듯이) 국가기업이었다가 민간으로 전환되었죠.

그리고 이런 재보험사들도 넘겨받을 걸 그대로 다 인수하지 않고 또 잘게 분산해서 다시 재보험을 들거나 해요. 그래서 위험을 끊임없이 잘게 잘게 분산해서 나눠갖는 거죠.

그래서 앞서 말한 초대형 건설프로젝트의 경우에는 국내 보험사가 위험을 인수하는 경우가 잘 없어요. 받는 즉시 100% 다 재보험으로 넘기는 경우가 많아요.
그러면 사고가 나도 한푼도 안물어줄 수 있거든요. 대신 재보험회사에게 위험을 넘기면서 수수료를 받죠. 이게 꽁돈이에요. 예를 들어 보험료가 500억원이다. 수수료 5%만 받아도 25억원이 그냥 생기거든요. 위험부담이 전혀없는 그냥 날로 먹는 금액이죠.

그래서 또 이런 대형 프로젝트는 보험회사 한군데하고만 계약하는 경우도 별로 없어요. 보통 손해보험회사가 5개 이상 참여를 하고 시장점유율대로 계약을 나눠 갖는 경우가 많아요. 그래서 대충 몇억씩 챙기고 뭐 이런 구조가 있습니다.



* 수박이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8-08-06 08:39)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13
  • 말로만 듣던 로이드...
  • 상식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84 여행관심 못 받는 유럽의 변방 아닌 변방 - 에스토니아 6 호타루 18/08/15 7654 16
683 문화/예술트로피의 종말 6 구밀복검 18/08/16 6947 13
682 정치/사회넷상에서 선동이 얼마나 쉬운가 보여주는 사례 16 tannenbaum 18/08/14 8290 9
681 일상/생각나는 술이 싫다 6 nickyo 18/08/18 5768 28
680 문화/예술개인적으로 인상깊었던 스포츠 광고 Top 8 14 Danial Plainview 18/08/10 6466 9
679 여행오키나와 숙소 몇개 알려드립니다 +_+ 18 얼그레이 18/08/10 6692 13
678 체육/스포츠복싱을 잘해봅시다! #3 : 펀치학개론 15 Danial Plainview 18/08/09 9173 20
677 기타러시아와 미국의 전술 교리에 대해 알아봅시다 17 기쁨평안 18/08/08 6229 33
676 일상/생각욕망의 자극 12 nickyo 18/08/04 5728 6
674 과학지구 온난화와 원전. 56 키시야스 18/08/01 7089 17
673 기타레전드가 되는 길: 이경규 vs 최양락 13 OSDRYD 18/07/30 8066 7
672 여행산 속의 꼬마 - 안도라 1 호타루 18/07/29 5692 5
671 여행후지산 산행기 13 하얀 18/07/28 6255 28
670 여행(스압, 데이터 주의) 오키나와 여행기 ~첫째 날~ 9 소라게 18/07/27 6052 17
669 일상/생각진영논리에 갇힌 모 토론회 참석자들에 대한 소고 12 烏鳳 18/07/26 6011 18
668 경제재보험(Re-Insurance)에 대해 간단한 설명 14 기쁨평안 18/07/25 5856 13
667 여행서울 호우캉스 호텔 결정 로직 43 졸려졸려 18/07/25 7138 15
666 체육/스포츠제도/수익모델이 스포츠에 미치는 영향 17 Danial Plainview 18/07/20 6512 25
665 일상/생각사라진 이를 추억하며 20 기아트윈스 18/07/19 5581 44
664 일상/생각커뮤니티 회상 4 풀잎 18/07/17 5446 15
663 여행어두운 현대사와 화려한 자연경관 - 크로아티아 12 호타루 18/07/15 5784 21
662 의료/건강발사르탄 발암물질 함유 - 한국 제네릭은 왜 이따위가 됐나 11 레지엔 18/07/12 6054 23
661 의료/건강고혈압약의 사태 추이와 성분명 처방의 미래 28 Zel 18/07/10 6338 21
660 문학왜 일본 만화 속 학교엔 특활부 이야기만 가득한가 - 토마스 라마르 31 기아트윈스 18/07/09 7577 30
659 일상/생각두 원두막 이야기 9 매일이수수께끼상자 18/07/08 4665 2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