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9/01/06 22:54:30수정됨
Name   CONTAXS2
Subject   노가대의 생존영어 이야기
[저는 영어를 못합니다.]라고 하면 정말 많은 사람들이

아니 외국사에서 10년을 일했는데 영어를 못한다고? 왜 이리 겸손하실까.
회의때 영어 쓰는거 보면 잘 하시잖아요. 에이... 그 정도면 충분하죠



라는 반응을 받습니다. 근데 진실은 뭐... 영어를 꽤 못합니다.
여기서 [꽤]는 상대적으로 영국애들보다 못한다. 가 아니라 진짜 절대적으로 못합니다.
회의에서 쓰는 영어는 미리 두어문장 영작을 해서 준비한 말만 딱 하고 빠지는거죠.



중2때 영어학원에서 영어공부한걸 마지막으로
고등학교 때는 영어공부란걸 생각날 정도로 해보지 않았고
가고 싶었던 대학은 본고사에 영어과목이 있어서 포기했고, (제가 시험 친 대학은 영어대신 과학)

대학때는 양키고홈이 전부였으며

취준생 때 아현중학교에서 친 토익은 475점이었습니다.(쪽팔려서 원서에 첨부도 못함 ㅠ)
그 후 대리 진급해야되니까 학원은 안나가고 시험만 계속 쳐서 550~620점정도를 꾸준히 마크하다 한번 대박나서 810으로 끝냈습니다. (썩쎄스-_-v)

첫 해외여행은 서른세살때 신혼여행이었고, 당시 공항에서 departure라는 단어를 처음 봤습니다.





암튼 그렇게 영어와 담을 쌓고 살다가 외국사로 이직을 하게 됩니다. 외국계 한국지사도 아니고 쌩짜 외국사.
이직한다고 알렸을 때 들었던 가장 기억에 남는 저주(?) 역시 영어와 관련된 것이었고

인터뷰를 볼때 6개국어를 하는 Sam이라는 미국인 할아버지가 한 '영어 좀 하냐?'라는 질문에
'영어하러 온거 아니고 일하러 왔다 (I'm not here to speak English, I'm here to work. 준비한 답변도 아니었는데, 어찌저찌 주워섬김 ㅋㅋ)'라고 대답한 다음에, 그 후 2년간 진짜 동료들이랑 차 한잔을 마셔본 적도 없었습니다. (진짜임. 과장 ㄴㄴ해)
금욜에 이태원가서 맥주한잔 하자고 할때도 가족 핑계댔고,
종로에서 일할 때 애들이 점심 같이 먹으러 나가자고 할때도 저는 꿋꿋하게 혼자 서브웨이 다녔습니다.
Christmas Party나 Year End Dinner에서는 꼭 카메라를 메고 나가서 사진을 찍는 역할 (영어 안해도 됨, 개꿀)을 했고요.


예전에 박중훈이 농담섞어서 유학시절 이야기할 때 '과묵한 동양 학생'의 포지션이 제가 추구해왔던 바입니다.
-------------



암튼,
그렇게 살고 있으면서 사람들에게 해외 프로젝트와 영어에 대한 이야기를 가끔 듣습니다.
'영어를 못 해서 프로젝트가 망한다'


제 결론은 항상
[영어와 프로젝트 성과와는 크게 상관은 없지만
커뮤니케이션과 프로젝트 성과와는 매우 상관이 있다.]
입니다.




아까, 회의때 제가 상대편에 (한국회사입니다) 뭔가를 요구했습니다. 이건 들어줘도 그만 안 들어줘도 그만인데,
보고서의 포맷에 관한 것이라, 해주려면 좀 귀찮고 분량이 많아집니다. 대신 저희에게는 매우 큰 도움이 되죠.

이때 일주일 넘게 갖은 핑계를 대며 안해주던 부장님 세 분(공무부장, 시운전담당부장, PE 담당부장)이 '오케이, 굿아이디어'라고 하시면서 승낙을 하죠.


이게 문젭니다.
이게 프로젝트를 망쳐먹는 커뮤니케이션 방식입니다.


회의 끝나고 상대편 상무님이 가시면서
'Contax차장, 그거 뭐 굳이 그렇게까지 해요... 허허허 그냥 컨선만 정리하면 되지.. 허허허'하고 가셨는데
사실 그 회의에서도 그 부장님 세분은 상무님 말씀대로 저랑 [영어로] 싸우셨어야합니다.
결국 그쪽 입장에서는 싸워보지도 않고 gold plate (발주처의 무리한 요구로 계약서 외의 것을 해주는 것)를 해주게 된거죠.

(물론 절대 gold plate 아니었고, 절대적으로 계약서에 근거한 요청이었음. 갑질타파!)




랭귀지 배리어 앞에서 그걸 뛰어넘기 위해서는 두가지 중 하나만 있으면 됩니다.



하나는 [랭귀지] 입니다. (???)
영어를 잘하면 문제가 해결되죠 (???)



두번째는 [태도]인 것 같습니다.
프로젝트를 하는 영미권애들은 생각보다 영어에 매우 너그럽습니다. (물론 뭐 속으로야 벼라별 욕을 다 할 수도 있겠지만..) 그리고 무엇보다 들을 준비가 되어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 들어줄께 이야기해봐 (회의 길어지면 우린 OT신청하면 돼)' 라는 자세를 가지고 있지요.
갸들은 (아마도) 이미 영어는 우리가 독점할만한게 아니라 전세계에서 다양하게 발전시킨 언어다. 라는 생각을 갖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근데 십수년 영어에 지쳐버리고, 그 태도를 계속 견지하기 위한 연료(열정)가 소진되어버린 차부장급 엔지니어들은 그 배리어를 넘을 의지가 없을 경우들이 많죠.
들고있던 검이 무거워 싸움을 포기하는.



제가 자주 하는 말이 있는데
우리에겐 영어로 된 도면이 있고, 쓰는 용어들은 모두 영어이며,
사이사이에 be동사와 get동사, make동사만 써도 되지만 빼놓고 이야기해도 이 놈들은 다 알아듣는다. 입니다.




영어없이도 우리는 이 프로젝트를 잘 끝낼 수 있죠. 근데 그 벽 앞에서 발길을 돌리면 프로젝트는 안 끝납니다.




암튼 머

영어를 잘하면야 제일 좋겠지만, 어차피 이생망이니
뻔뻔함과 바디랭귀지를 대신 장착하고 일해야죠.



8분후 퇴근! 아싸!

* 토비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9-01-22 22:56)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25
  • 실전을 겪는 현직자는 추천.
  • 인재시군요!


풉키풉키
저도 일만 간신히 하는 일본어와 영어를 가지고 어떻게 먹고는 사네요...
CONTAXS2
근데 또 너무 잘하면 재미없을꺼 같지 않나요? (아무말)
긴장감없고 막.
풉키풉키
저 너무 잘 하고 싶어서 이번에 네이티브 선생님 일댈 클래스 하나 끊었어요... 흑흑 ㅠ
2
April_fool
“I'm not here to speak English, I'm here to work.”라니 크으 멋지다…
19
우유홍차
와 멋이써요ㅠㅠ
뭔가 산전수전 다 겪은...실전에 계신 분들 너무 멋있습니다

근데 저 잘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는데 망친다는 거는 그 쪽 입장에서 망친다는 건가요?!?!
콘탁스님한테 좋은 거 아닌가욤 '-'
1
우유홍차
특히 이거 I'm not here to speak English, I'm here to work. 너무 멋이써여ㅠㅠ
프로젝트는 서로 하는거니까 망치면 양쪽 다 손해를 보죠.

발주처는 빨리 완공해서 상업생산 (기름을 퍼올리는)을 해야되고
건설사는 빨리 완공해서 돈 다 받고 집에 가야되고요.
늦어지면 발주처는 한달에 수백억을 못 벌어들이고, 건설사는 하루 늦어질 때마다 수억원의 지체보상금을 물게 되어 있거든요 ^^
1
우유홍차
아항 그렇군요ㅋㅋㅋㅋ
신비로운 건설의 세계'-'
DoubleYellowDot
예전에 파주 LG 공장 지을 때 창X 설계사무소 다니던 선배 얘길 들어보니 한 건물을 죄다 쪼개서 섹터 별로 설계하고 검토해서 시공들어가는데 3일 싸이클이었다는 얘길 들었습니다....
CONTAXS2
진짜 ㄷㄷㄷ한 공사들 많죠.

석유화학 공장도 그 공장 준공날짜에 맞춰서 (원료를 실은) 배가 들어오거나, 그 공장이 돌 타이밍에 뒤에 공장이 따라서 준공하는 경우들은 돌아버린다고 하더라고요. 내가 한달 늦으면 원료를 실은 배는 한달간 부두에 정박해 있어야하고, 우리가 생산한 원료를 받아서 다음 제품 생산해야하는 공장들은 줄줄이 대기해야하고.

그래서 신설하는 경우 외에도 연차보수 기간 (일년에 한번정도 공장을 끄고 수리하는 기간)은 그 지역 공장장들이 모여서 다 함께 결정.
A가 먼저 끄고 공장 청소하고 -> B가 하고 -> C가 하고 -> D가 하고... 한놈만 삐꾸나도 망 ㅎㅎ
Azurespace
아니 무슨 건물을 애자일로 짓나요... 덜덜
geIgeI2l4
설계팀이라도 꾸려지면 다행이죠.
배가 들어오기로 한 날짜는 정해졌고 공사는 마쳐야 하는데 기간내 마칠 수 없는 공정이 남아서
실제로 시공할 하도급 업체는 줄줄이 도망가고
결국은 능력자 한 분 와서 기존설계 백지화하고 현장에서 만드는 토막도면으로 시공한 다음 배 받는걸 봤습니다.
다행히 사고도 없고 잘 돌아가네요
good article thank you
much write
3
please write magic word "please".
맥주만땅
한국식 회의에서 가장 골 때리는 것이 커뮤니케이션이지요.

회의가 끝나면 정리된 것이 하나도 없고, 결국 각자 나름대로 일을 진행해서 일을 망쳐버리는
그래서 맨날 제가 회의때 마지막에 정리를 합니다.
이건 누가 언제까지 해서 어떻게 보고하고(공유하고) 저건 또 누가 언제까지 하고....
회의자리에서 마지막에 달력 펴놓고 정리한뒤 회의록 작성해서 참조에 참가자 상사들 넣어서 뿌려버립니다.
꼬우면 회의시간에 반박하던지 ㅋㅋ
그자리에서 네네 끄덕끄덕 했다가는 아주 박살나죠.
1
호로종
조선업계에 있으면서 느끼는 점은, 생각보다 서양애들이 막무가내이며 한국인들의 협상력이 떨어진다는 것입니다.
협상력이 약한 부분에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일부 있다고 생각합니다.
배바지
안병무란 분이 스타방에르 대학교에 계실때 쓰신 논문이 있습니다. EPC 프로젝트가 한국에서 어떻게 망하냐는 주제인데, 대략 유교군사적 상명하복 문화에 따른 문제와 high-context 화법으로 인한 문제 두 개를 꼽으시더군요.
CONTAXS2
배바지님, 혹시 그 논문을 볼 수 있는 링크 하나만 내려주시면 안될까요 굽슨굽슨
배바지
전 직장에선 그 분이 오셔서 강연도 하셨었는데, 그때 요약 슬라이드 자료는 보안때문에 가지고 나오질 못 했네요.

https://brage.bibsys.no/xmlui/bitstream/handle/11250/297581/Ahn_Byungmu.pdf?sequence=2&isAllowed=y

여기서 원문 확인 가능하십니다.
2
CONTAXS2
감사합니다. 영어다.
2
협상의 일방에서 보면 타방은 (어느정도) 막무가내인 부분이 있다고 봅니다. 당연히 그런 부분이 있어야하고요. 바이킹놈들!

기본적으로
우리가 가진 언어나 사고체계가 비즈니스 협상에 딱 최적화 되어 있지 않은 측면 + 게다가 의사소통은 껄끄러운 외국말로 = 똥망
이 된 것 같습니다.

그리고 협상에 나선 서양 애도 본인이 꼬이게 되어 협상에서 밀린다 치면 기어를 높이고 더 이해하기 어려운 스타일의 단어와 어법을 구사하는 경우들도 있고요. (의도했다기 보다는 우리도 이야기하다가 말리면 한국말도 꼬이는 식으루다가..)
이럴... 더 보기
협상의 일방에서 보면 타방은 (어느정도) 막무가내인 부분이 있다고 봅니다. 당연히 그런 부분이 있어야하고요. 바이킹놈들!

기본적으로
우리가 가진 언어나 사고체계가 비즈니스 협상에 딱 최적화 되어 있지 않은 측면 + 게다가 의사소통은 껄끄러운 외국말로 = 똥망
이 된 것 같습니다.

그리고 협상에 나선 서양 애도 본인이 꼬이게 되어 협상에서 밀린다 치면 기어를 높이고 더 이해하기 어려운 스타일의 단어와 어법을 구사하는 경우들도 있고요. (의도했다기 보다는 우리도 이야기하다가 말리면 한국말도 꼬이는 식으루다가..)
이럴 경우에 코너에 몰고, 상대방의 현란한 마우스 드리블을 걷어낸 다음에 깔끔하게 딱딱딱 정리해서 골로 보내는.

생각만해도 어렵습니다. 차라리 지고말지.
1
호로종
ㅎ맞습니다. 그런데 국내 업체한테 협상하는 (마진까는) 것처럼 해외 업체에도 하느냐..ㅜ
해외 Maker 영업 담당자와 함께 미팅하는 것과 국내 담당자와만 미팅하는 것의 내용은 180도 다릅니다ㅜ하아
이렇게 써주신 글을 읽으면'설마~ 진짜론 영어 좀 하시겠지'라고 생각은 하면서도, '역시 언어는 수단일뿐 중요한건 내용과 태도'라는 희망을 갖게 됩니다. 좋은글 감사합니다.
CONTAXS2
[영어를 잘하면 문제가 해결되죠 (???)]

영어를 잘하면 문제는 해결됩니다. 가장 쉬운 길이죠.
내용은 꾸준히 실력을 연마해야되는거고, 태도는 사실 좀 타고나야하는 것도 있습니다.
그냥 영어공부하는게 제일 쉬움 ㅠ

저에게 이런식의 영감을 주신 교수님이 계셨습니다. 제 학부논문 교수님이셨는데요.
4학년 전공수업시간에 [영어로 웃겨라.] 라는 1분 스피치를 과제로 내주셨는데, 당시 제가 1등 했습니다. 뭐였냐면.

'20세기 (당시 2... 더 보기
[영어를 잘하면 문제가 해결되죠 (???)]

영어를 잘하면 문제는 해결됩니다. 가장 쉬운 길이죠.
내용은 꾸준히 실력을 연마해야되는거고, 태도는 사실 좀 타고나야하는 것도 있습니다.
그냥 영어공부하는게 제일 쉬움 ㅠ

저에게 이런식의 영감을 주신 교수님이 계셨습니다. 제 학부논문 교수님이셨는데요.
4학년 전공수업시간에 [영어로 웃겨라.] 라는 1분 스피치를 과제로 내주셨는데, 당시 제가 1등 했습니다. 뭐였냐면.

'20세기 (당시 2000년인가 2001년인가였음)에 벌어졌던 태양계 가장 큰 사건이 뭔지 아심?'
'바로 Venus가 LG로 바뀐것임' (이라고 하면서 럭키금성 로고랑 LG로고 보여줌)

딱 두문장이었습니다. 아마 문법도 많이 틀렸을꺼고 발음도 엉망이었습니다. 근데 머 교수님이랑 학생들은 많이 웃었죠. 그때 수업 마치면서 교수님이 '웃기는 스피치에서 웃겼으면 된거다. 다들 영어를 세련되게 해야한다는 생각에 긴장한 것 같은데, 진짜 웃겼던 애는 쟤니까 저 친구가 1등이다'

사실 저 말씀에서 교수님이 하시고 싶으신 말씀을 하셨던 것 같아요. 영어로 웃겨라라는 과제에서 가장 중요한건 웃기는거지 영어를 잘하는게 아니다. 라는 것.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26 일상/생각. 4 BLACK 19/07/02 5800 17
824 일상/생각20년전 운동권의 추억 36 제로스 19/06/27 7483 23
823 일상/생각매일매일 타인의 공포 - 안면인식장애 28 리오니크 19/06/25 6062 23
822 일상/생각큰 이모에게 남자친구가 생겼습니다. 14 Jace.WoM 19/06/23 7675 39
820 일상/생각전격 비자발급 대작전Z 22 기아트윈스 19/06/19 6190 50
813 일상/생각결혼식의 추억 20 메존일각 19/06/02 5903 22
812 일상/생각이방인 노숙자 7 멍청똑똑이 19/06/02 6366 36
811 일상/생각생각을 명징하게 직조하기 10 기아트윈스 19/06/01 7205 42
808 일상/생각영업사원의 삶이란? 27 배워보자 19/05/26 8186 34
805 일상/생각홍차넷 1년 후기 10 곰돌이우유 19/05/20 6697 41
803 일상/생각끝나지 않은 투병기 25 Chere 19/05/16 6679 76
802 일상/생각30대 기획자. 직장인. 애 아빠의 현재 상황. 15 아재 19/05/12 6531 37
800 일상/생각불안 애착 유형과 회피 애착 유형의 연애/이별기 4 자일리톨 19/05/01 16070 17
796 일상/생각축구지를 펴내기까지... 그 나름의 철학 ㅋ 18 커피최고 19/04/18 8471 26
791 일상/생각유폐 2 化神 19/04/10 5520 29
790 일상/생각봄의 기적, 우리 동네 6 매일이수수께끼상자 19/04/06 5510 26
784 일상/생각과거 카풀 드라이버 경험 11 행복한고독 19/03/24 6365 14
780 일상/생각'그럼에도'와 '불구하고'의 사이 8 임아란 19/03/12 6579 64
777 일상/생각영국은 섬...섬... 섬이란 무엇인가? 38 기아트윈스 19/03/04 6631 26
776 일상/생각가난한 마음은 늘 가성비를 찾았다 18 멍청똑똑이 19/03/04 7172 46
772 일상/생각누가 시킨 것도 아닌데 말이죠 (without even being asked) 10 기아트윈스 19/02/19 6098 64
767 일상/생각혼밥, 그 자유로움에 대해서 13 Xayide 19/02/03 6328 29
765 일상/생각돈이 없는 것보다 더 부끄러운 것 10 The xian 19/01/31 7769 24
756 일상/생각대체 파업을 해도 되는 직업은 무엇일까? 35 레지엔 19/01/11 7663 33
755 일상/생각노가대의 생존영어 이야기 25 CONTAXS2 19/01/06 7003 25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