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 19/03/05 20:16:32수정됨 |
Name | 주문파괴자 |
Subject | 수학적 엄밀함에 대한 잡설 |
#1 수학은 엄밀한 논리전개를 중요시하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다른 학문 분야도 객관성을 중요시하고, 수학만큼 엄밀한 학문분야도 많이 있겠지만 아무래도 수학이 엄밀함의 마스코트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은 사실이지요.저는 대학교에서 수학을 전공했는데, 한때 이 엄밀함을 과도하게 추구하여 바보같은 짓을 한다고 여길 때가 있었습니다. 대수적 위상수학 과목을 수강할 때의 일입니다. 학기 초에 원(x^2+y^2=1)의 기본군(fundamental group)이란 것을 계산하는 과정을 배웠습니다. 간단히 설명하면 원의 기본군은 정수집합 Z가 되고, +1은 시계 방향으로 원을 한 바퀴 감는 것에 해당, -1은 반시계 방향으로 감는 것에 해당한다는 것인데요. 예를 들면 시계 방향으로 세 바퀴 감고 반 시계로 다섯 바퀴 감으면 이는 정수 3-5 = -2 에 대응되는 것이지요 기본군의 정의는 조금 더 복잡합니다만 여기서 중요한 내용은 아닌 거 같고, 어쨌든 이걸 증명하기 위해 학기 첫 2주 가까이 덮개 공간(covering space)이니 뭐니 해서 아주 난리법석을 피웠습니다. 내용도 어려워서 겨우겨우 따라가다가 어느 날 "원의 기본군은 Z와 동형이다"라는 것 까지 증명을 배우고 집에 와서 생각하는데, "이거 그냥 원을 어떻게 감느냐만 세면 되는거잖아?"라는 생각이 들면서 허무감이 몰려왔습니다. 이 사건을 계기로 수학적 엄밀함이 추구하는 바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생각을 많이 했던 것 같습니다. 그때는 이 과목이 너무 어려워서 수학적 엄밀함이란 그냥 나를 고문하기 위한 것이 아닌가 싶었는데... 시간이 지나니 생각이 많이 바뀌었네요. 여러분에게도 그 생각을 공유해볼까 하여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2 조금 더 캐주얼한 예제로 시작해보는 게 좋겠습니다. ![]() 평면(=R^2)상에 끈이 놓여져있습니다. 이 끈이 원점 0(그림에서 i라고 생각하셔도 무방)는 지나지 않는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이제 이 평면에서 원점을 제거한 집합을 U=R^2-{0}라고 하겠습니다. 우리의 끈은 U 안에 놓여있습니다. 여기서 우리는 한 가지 게임을 합니다. 이것을 "끈 넘기기 게임"에 이라고 부르겠습니다. 목적은 끈을 원점의 반대편으로 넘기는 것입니다. 규칙은 1. 끈의 양 끝(그림에서 a와 -a)은 절대 움직일 수 없음 2. 끈의 신축성은 무한함 3. 끈을 절단하거나 붙일 수 없음 4. 끈을 움직이는 중간과정에서 끈은 언제나 U 안에 속해있어야함. 즉, 끈은 원점을 통과할 수 없으며 평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떼어내는 것도 불가능함. (댓글 중 Hide_D 님의 "점프하지 않고 줄넘기"가 좋은 비유 같습니다.) 직관적으로 우리는 이 규칙하에 끈을 원점 반대편으로 넘길 수 없음을 압니다. 당연히 수학적으로도 증명 가능한 사실입니다. 하지만, 끈을 원점 반대편으로 넘기려면 "당연히 원점을 지나야 하므로" 끈 넘기기 게임은 클리어 불가능하다고 주장하는 것은 엄밀한 논증이 아닙니다. 단순히 평어로 써진 서술이라서 엄밀성이 떨어진다고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실제로 끈이 반대편으로 넘어갈 수 없는 이유로 "원점을 지나야 함"이라고 말하는 것에 논리적 비약이 있기 때문입니다. #3 더 들어가기에 앞서, 제가 아는 바 수학과에서 가장 빠르게 배우는 이론으로 전개할 수 있는 증명을 간략히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더 기초적인 방법을 아시는 분은 알려주세요!) 이는 복소함수론에서 contour integration(외곽적분?)이라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이른 바 "homotopy invariance of contour integration"라고 불리우는 정리를 사용하는 것인데요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homotopy(*비직관적 용어이므로 앞으로 "연속변형관계"라고 부르겠습니다. 이는 학술적 용어는 아닙니다)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양 끝 점이 같은 두개의 끈이 있습니다. 이 중 하나의 끈이 위에서 언급한 1,2,3,4의 규칙을 통해 나머지 하나의 끈으로로 변형될 수 있으면 두 끈을 "연속변형관계"에 있다고 부릅니다. "homotopy invariance of contour integration" 정리는 다음을 말합니다. "어떤 성질이 좋은 복소함수 f:U->C가 있을 때 (대충 얼버무렸습니다만, 정확히는 f가 U위에서 holomorphic하다는 조건입니다) 서로 연속변형관계에 있는 두 끈을 따라서 f를 적분한 결과값은 서로 같다." 이후 U를 복소평면의 부분집합으로 간주하고, 함수 f를 복소수 z에 대해 f(z)=1/z로 정의합니다.(U가 원점이 빠진 집합이라 z=0에서 정의가 불가능함을 우려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그리고 원점을 둘러싼 원을 하나 생각한 후 원을 위쪽 반원과 아래쪽 반원으로 나누어 두 개의 끈을 정의합니다. 그리고나서 각각의 끈을 따라서 f를 적분한 결과값을 계산해보면 실제로 다른 값이 나오게 됩니다. 만약 위쪽 반원과 아래쪽 반원이 U 안에서 "연속변형관계"에 있다고 가정하면 f를 적분한 결과값은 homotopy invariance정리에 따라 같아야 합니다. 하지만, 다른 값이 나왔기 때문에 위쪽 반원과 아래쪽 반원은 U 안에서 "연속변형관계"에 있지 않다는 결론(=즉, 끈 넘기기 게임은 클리어 불가능하다는 결론)이 납니다. 이것이 제가 아는 바 수학에서 가장 기초적 지식만을 활용해 증명하는 방법입니다. 느낌이 어떠신가요? 처음 증명을 보았을 때 제 솔직한 인상은 "쉬운 것을 이악물고 돌아돌아가서 엄밀한 척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왜냐하면 저도 "원점을 못 지나니 끈을 반대편으로 넘길 수 없다"고 생각했었으니까요. 이 관찰을 수학적 언어로 잘 정제하면 증명이 될 거라고 생각했고(실제로 이 방향으로 증명을 여러차례 시도하기도 했습니다), 이런 괴상한 방법을 쓰는 이유를 이해할 수 없었습니다. #4 어떤 명제에 대한 증명을 고안할 때, 종종 보이지 않는 "장벽"이 가로막고 있다는 느낌을 받을 때가 있습니다. 이런 장벽이 느껴지기 시작하면, 이들을 무시해서는 안됩니다. 만약 내가 어떤 증명을 고안해냈는데, 내 증명이 이 "장벽"을 직면하여 극복해냈다는 생각이 들지 않으면, 십중팔구 그 증명에는 오류가 있습니다. 끈 넘기기 문제를 통해 "장벽"의 예시를 보여드리고자 합니다. 설명을 위해 추상적 세계에서 실 세계로 무대를 잠시 옮겨보겠습니다. 우리는 넓은 운동장에 있고, 운동장 한 가운데 높은 장대를 꽂습니다. 그리고 신축성이 매~우 뛰어난 고무줄의 양 끝을 운동장 적당한 지점에 고정합니다. 이제 이 고무줄을 지표면에서 떨어뜨리지 않은 채로 장대 반대편으로 넘기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저는 이 고무줄을 꼭 붙들은 채로 동해바다로 향합니다. 여기서 배를 타고 태평양, 대서양, 인도양을 건너 서해바다로 들어와 운동장으로 다시 돌아옵니다. 물론 고무줄은 꼭 붙들고 있는 채로요. 이제 우리는 끈이 장대 반대편으로 넘어가있는 상황을 상상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끈이 끊어지지도 않았고, 장대를 통과하는 일도 없었습니다. 물론 이런 일이 가능한 이유는 지구가 둥글기 때문입니다. 옛날 사람들이(그리고 오늘날 소수의 사람들이) 믿던 것처럼 지구가 평평하였다면 이런 일은 일어날 수 없습니다. 여기에서 끈 넘기기 게임의 불가능성의 증명에 있어서 "장벽"이 하나 드러나게 됩니다. "끈 넘기기 게임의 본질은 원점 근처의 상태에 대한 것만이 아니다. 이 문제는 평면 전체의 고유한 성질과 관계가 깊다." 따라서 제가 어떤 정교한 논리적 표현들로 "원점을 넘지 못하기 때문에 끈 넘기기는 클리어 불가능하다"는 주장을 수학적으로 정제해내더라도 만약 그 논리의 어딘가에서 평면의 고유한 위상적 성질(평면과 구를 차별지을 수 있는)을 적절히 활용해내지 못했다면, 해당 논리는 "장벽을 회피한 것"이 되고, 당연히 논리의 비약이 생기게 됩니다. 실제로 구면에서 끈 넘기기 게임이 클리어 가능하다는 것이 그 반증입니다. 이제 다시 끈 넘기기 문제의 복소함수론적 증명을 되짚어 보면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 여전히 엄밀함에 집착하여 불필요하게 복잡한 논증을 도입한 것처럼 느껴지시나요? 이제 저는 저것보다 간편한 증명이 있을 수 있는지 진심으로 잘 모르겠습니다. * 토비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9-03-19 08:27)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18
이 게시판에 등록된 주문파괴자님의 최근 게시물 |
고대 수학 사용자들은 사실 엄밀함을 그다지 신경쓰지 않았던 것 같지만, 미적분 발명 이후 극한 개념을 다룰 때 엄밀함 없이 막 쓰다가 한번 논증이 와르르 무너지고, 20세기에 엄밀파 vs 비엄밀파가 쌈나다가 또 비엄밀파의 논증이 와르르 무너진 뒤 엄밀한 수학이 자리잡게 되죠. "수학적 엄밀성 그까이꺼 말로 때우면 되는거 아냐? 수학은 자연세계에 대한 인간의 선험적 직관으로부터 도출되는 것이고, 그 선험적 직관이면 충분하다!" 고 하다가 학파가 망해버린 케이스도 있다능..
https://en.m.wikipedia.org/wiki/Italian_school_of_algebraic_geometry#Collapse_of_the_school
https://en.m.wikipedia.org/wiki/Italian_school_of_algebraic_geometry#Collapse_of_the_school
직관으로 맞아보일지라도 논리로 전개했을 때 틀릴수가 있으니 수학적 엄밀함은 꼭 필요하죠. 그렇지만 직관과 논리가 같은 결론을 내릴 땐 어떻게 논리로는 복잡한데 직관은 빠르게 답을 알까? 궁금증이 생깁니다.
직관은 '당연히' 원점을 지날 수 없다 라고 느끼지만 바로 이 부분이 말씀하신대로 논리적 비약이라 이 부분을 엄밀하게 논리적으로 왜 원점을 지날 수 없는지 설명해야하죠.
직관도 분명 나름의 사고체계가 있을테고 이 사고는 분명 엄밀하게 전개한 연속평형관계에 대한 논리와는 조금 다를 겁니다. 후자는 심사숙고해서 나온 논리... 더 보기
직관은 '당연히' 원점을 지날 수 없다 라고 느끼지만 바로 이 부분이 말씀하신대로 논리적 비약이라 이 부분을 엄밀하게 논리적으로 왜 원점을 지날 수 없는지 설명해야하죠.
직관도 분명 나름의 사고체계가 있을테고 이 사고는 분명 엄밀하게 전개한 연속평형관계에 대한 논리와는 조금 다를 겁니다. 후자는 심사숙고해서 나온 논리... 더 보기
직관으로 맞아보일지라도 논리로 전개했을 때 틀릴수가 있으니 수학적 엄밀함은 꼭 필요하죠. 그렇지만 직관과 논리가 같은 결론을 내릴 땐 어떻게 논리로는 복잡한데 직관은 빠르게 답을 알까? 궁금증이 생깁니다.
직관은 '당연히' 원점을 지날 수 없다 라고 느끼지만 바로 이 부분이 말씀하신대로 논리적 비약이라 이 부분을 엄밀하게 논리적으로 왜 원점을 지날 수 없는지 설명해야하죠.
직관도 분명 나름의 사고체계가 있을테고 이 사고는 분명 엄밀하게 전개한 연속평형관계에 대한 논리와는 조금 다를 겁니다. 후자는 심사숙고해서 나온 논리지만 전자는 순간적으로 떠오른 거니까요.
최근에 딥러닝도 뇌의 작동방식을 모방했다고 하는데 실제로 알파고가 바둑 두는 걸 보면 나름의 이유가 있겠지만 왜그렇게 뒀는진 알 수가 없죠. 인간의 직관과도 닮은점이 있어 보이죠.
실제 제 직관이 생각한 바를 풀면 머릿속에서 요리조리 시뮬레이션으로 몇 번 넘기기를 시도해보고 그랬을 때 원점 때문에 계속 걸리는 걸 느끼고 아, 원점이 있으면 지나갈 수 없구나 느끼죠. 근데 이걸 논리로 설명하기가 참 힘드니 논리의 방식으로 돌아돌아 설명할 수 밖에 없는거죠. 이렇게 보면 직관을 단순 논리의 비약이다 라고 하기는 힘들 수 있죠.
어떻게 보면 직관이란 방법으로 몇 번 시뮬레이션 해본 것만으로 위쪽 반원의 끈의 어떤 변형도 아래쪽 반원 끈의 어떤 변형과도 연속평형되지 않음을 파악한거죠.
어쩌면 직관이란 자연에서 한정된 정보만으로 최대한 올바른 판단을 신속하게 내리기 위해 생긴 사고체계가 아닐까 합니다. 때로는 틀린 배팅일수도 있지만 심사숙고하느라 기회를 놓치는 것보다는 빠른 판단이 나을수 있으니까요.
쓰다보니깐 주문파괴자님은 직관으로 얼버무릴 때 놓칠 수 있는 부분이 있는걸 얘기하시는데 저는 좀 직관의 입장에서 항변하는 느낌이 드네요ㅎ
직관은 '당연히' 원점을 지날 수 없다 라고 느끼지만 바로 이 부분이 말씀하신대로 논리적 비약이라 이 부분을 엄밀하게 논리적으로 왜 원점을 지날 수 없는지 설명해야하죠.
직관도 분명 나름의 사고체계가 있을테고 이 사고는 분명 엄밀하게 전개한 연속평형관계에 대한 논리와는 조금 다를 겁니다. 후자는 심사숙고해서 나온 논리지만 전자는 순간적으로 떠오른 거니까요.
최근에 딥러닝도 뇌의 작동방식을 모방했다고 하는데 실제로 알파고가 바둑 두는 걸 보면 나름의 이유가 있겠지만 왜그렇게 뒀는진 알 수가 없죠. 인간의 직관과도 닮은점이 있어 보이죠.
실제 제 직관이 생각한 바를 풀면 머릿속에서 요리조리 시뮬레이션으로 몇 번 넘기기를 시도해보고 그랬을 때 원점 때문에 계속 걸리는 걸 느끼고 아, 원점이 있으면 지나갈 수 없구나 느끼죠. 근데 이걸 논리로 설명하기가 참 힘드니 논리의 방식으로 돌아돌아 설명할 수 밖에 없는거죠. 이렇게 보면 직관을 단순 논리의 비약이다 라고 하기는 힘들 수 있죠.
어떻게 보면 직관이란 방법으로 몇 번 시뮬레이션 해본 것만으로 위쪽 반원의 끈의 어떤 변형도 아래쪽 반원 끈의 어떤 변형과도 연속평형되지 않음을 파악한거죠.
어쩌면 직관이란 자연에서 한정된 정보만으로 최대한 올바른 판단을 신속하게 내리기 위해 생긴 사고체계가 아닐까 합니다. 때로는 틀린 배팅일수도 있지만 심사숙고하느라 기회를 놓치는 것보다는 빠른 판단이 나을수 있으니까요.
쓰다보니깐 주문파괴자님은 직관으로 얼버무릴 때 놓칠 수 있는 부분이 있는걸 얘기하시는데 저는 좀 직관의 입장에서 항변하는 느낌이 드네요ㅎ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