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5/09/22 08:04:21
Name   MANAGYST
Subject   집은 시장리스크, 전세는 신용리스크
드디어 주말에 집주인에게 저세값을 올려달라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이제 드디어 전세값, 집값... 남의 일이 아니게 되었네요
사실 이 주제에 대해서 나오는 이야기는 너무 뻐~언 합니다.

"전세값이 너무 올라서 차라리 집 사야겠다"
"아니다. 그래도 일시적으로 이러겠지. 조금만 참자"

"2년만다 이 고민 하는 거 지겹다. 그냥 집 사자"
"그래도 집값 내려가서 고생하는 일본 사람들 봐라. 그냥 참자"

"정부에서 이자도 내려줬으니, 그냥 집사자"
"아니다. 금리 올라가면 어쩌려고 그러냐. 참자. 참어..."

그러다 문득, 과거 FRM 시험공부를 할 때 배웠던 Market Risk 와 Credit Risk가 생각났습니다.

Market Risk 와 Credit Risk
금융시장에서 우리가 가장 흔하게 접할 수 있는 리스크중 가장 큰 것이 "시장리스크"와 "신용리스크"입니다.
시장리스크가 금융상품의 가격변화가 내 돈(자산)에 미치는 영향이라고 한다면,
신용리스크는 거래상대방이 디폴트를 내서 돈을 못 갚을 경우를 말합니다.

< 시장리스크: 맛이 더 있고 없고의 차이, 신용리스크: 사과가 썩었는지 여부 >
비유를 하자면, 이렇습니다. 사과중에 좀 더 맛있는 사과와 덜 맛있는 사과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시장리스크라고 하면,
썩은 사과를 골라서 배탈이 나는 경우가 신용리스크에 비유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에게 시장리스크는 늘 노출되어 있지만, 치명적이진 않습니다.
집을 사라는 압박을 견디지 못하고, 집을 산 사람은 이러한 집값 변동에 따른 "시장리스크"에 노출됩니다.

반면, 신용리스크는 사람들이 잊고 살기 쉽지만, 막상 그 리스크가 발생되면, 엄청나게 치명적입니다.
집을 끝까지 사지 않고(혹은 사지 못하고) 전세를 선택하는 사람은 이러한 "신용리스크"에 노출됩니다.
집주인이 어떤 이유에서든 내돈(전세금)을 안 줄 가능성이 있거든요.

집을 사신 분의 경우 받아들여야할 Market Risk에 대한 조언은 "집값이 오를거 같아? 내릴거 같아?"라는
이 시대의 화두에 대한 대답을 해주실 수 있는 수 많은 전문가를 통해 많이 들으셨을 것 같구요.

오늘 저는 그냥 전세를 사시는 분들이 직면한 리스크가 어떤 성격인지.
그리고 어떻게 Credit Risk를 회피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 Credit Risk를 회피하는 법 >
1. 내가 어떤 리스크를 선택(Taking)했는 지 알자.
제가 제일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은 본인이 어떤 리스크를 선택했는지를 아는 것입니다."나는 집값이 폭락할 것 같아. 그러니, 집은 절대 사지 않고, 전세로 살아야지~!""전세금이 집값의 90% 넘으면, 어때 어차피 돌려받을 돈인데..."이런 안일한 생각으로 전세를 가입하는 것은 위험합니다. 본인이 전세를 선택해서 감수해야 할 위험이 어떤 것인지 정확히 알아야죠.

2. 리스크를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알자.

Managing Credit Risk(출처:http://www.slideshare.net/kiyoshiwatari/credit-risk-management-8976886)
위 표는 Credit Risk를 어떻게 나누어 볼 수 있는지를 설명해주는 간단한 개념도 입니다.
X축은 얼마나 자주 일어나는 이벤트인지(Frequency)를 나타내고, Y축은 얼마나 큰 피해를 줄 수 있는지(Impact)를 말하죠.

만약 자주 일어나지도 않고, 영향도 크지 않다면 그런 리스크는 그냥 무시(Keep)해도 됩니다.
문제는 영향은 크지 않아도 자주 일어나거나, 자주 일어나진 않아도 영향이 엄청 큰 경우입니다.
이럴 때 필요한 것이 Insurance(보험)입니다! 맘이라도 편하자는 거죠.
마지막으로 자주 일어나기도 하고, 영향이 큰 경우에는 Avoid(피하는 것)이 상책입니다.


3. Insure or Avoid
사실 전세금에 대한 신용리스크를 위 그림처럼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건 의미가 별로 없습니다.
당사자가 생각하는 문제의 심각성(계약 기간 내에 집값이 폭락하던지 해서 내 돈을 못받을 가능성)과
집주인의 관상(돈을 안갚을 사람인지 아닌지) 등을 종합해서 판단하는 수 밖에요.

1) Basic : 확정일자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확정일자 받는 겁니다. 집주인 동의도 필요 없습니다.
과거에는 직접 주민센터에 가서 해야 했는데, 이제 이번달 부터(2015년 9월 14일~) 인터넷 등기소(http:www.iros.go.kr)에서
확정일자를 인터넷으로 신청이 가능해졌답니다. 대신 주택임대차계약증서를 스캔하고,
온라인으로 제출하는 등의 수고는 감당해야겠죠. 그리고 수수료도 600원에서 500원으로 100원 내렸네요!!

2) Insurance(보험 가입) : 전세권 설정 등기 or 보증보험 가입
둘다 집주인의 동의가 필요하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이 부분은 따지고 보면,
"집주인이 전세금을 받는다는 것은 일종의 대출을 받는 개념이니, 그걸 인정하라"는 건데,
그냥 묘~한 거부감이 있는 분들이 있으면, 안해주는 사람도 있죠. 너무 당연한건데 말이죠.

- 차이점 : 필요서류 / 신청방법 / 비용 / 특징 등 여러가지가 다릅니다.
→ 전세권 설정 : 당사자들끼리 합의해서 전세권을 설정하기로 계약하는 것. 근데 반드시 등기를 해야만 효력이 발생. "확정일자 받고, 전입신고"해도 비슷한 효력을 갖는데, 뭐하러 복잡하게 전세권 설정 같은거 하냐... 할 수 있느데, 쉽게 말하면, 더 강력한 의미의 보험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즉, 전세권을 설정하면, 집주인 동의 없이 전세권을 다른 사람한테 팔거나, 또 전세를 줄 수도 있습니다(전전세). 뿐만 아니라, 만약에 Credit Risk(집주인이 돈 안줄 때)가 발생할 경우, 확정일자만 받아놓으면, "임차보증금반환청구소송"을 제기해서 승소판결을 받고, 강제집행을 신청해야 하는데, 전세권을 설정한 경우에는 판결절차 없이도 직접 경매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계산해보니, 대략 2억원짜리 전세라면, 법무사 비용을 제외하고, 약 50만원의 비용이 들겠네요.

→ 보증보험 가입 : 전세권 설정이 Credit Risk에 대한 법적인 대응이라고 한다면, 보증보험을 가입하는 것은 경제적 대응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자동차 사고를 대비해서 보험을 가입하는 것처럼 전세금을 못 받을 가능성에 대비해서 보험을 가입하는 것이지요. 당연히 보험료를 내야하구요. 보험요율이 0.192%로 1억 전세라면, 1년에 192,000원의 보험료를 내야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이게 깔끔하고 좋은 것 같습니다. 필요한 서류는 등기부등본/주민등록등본/동의서/시세확인서 등이 있구요. 중개업소를 통하고 확정일자를 받은 임대차계약서가 필요합니다. (www.sgic.co.kr)

3) Avoid(피해라)
다 싫다. 나는 그런 리스크를 생각하면서 살고 싶지 않다. 하시는 분. 즉, 앞서 언급한 Credit risk가 너무 크게 느껴지시는 분은 피하시면 됩니다.

How??? 월세로 전환하는 것입니다.

"뭐냐! 돈아깝께 월세라니!!!"라고 하시는 분도 있겠지만, 월세로 전환하게 되면, Credit risk와 Market risk로 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월세는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는 방식은 아닙니다.
Cash flow를 중요하시기 때문이기도 할 것이고, 앞서 언급한 Credit Risk가 간과되고 있기 때문이기도 할 것입니다. 하지만, 앞으로 이런 리스크들이 조금 더 이슈화가 된다면, 월세도 세입자들에게 사랑받는? 방법이 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 난커피가더좋아님에 의해서 자유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5-10-02 07:33)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6


    그래서 반전세가 유행하기도 하는 것 같습니다. 대출 없는 집 별로 없고 전세가는 매매가에 육박하니 이런 대출 낀 집에 전세금 주기엔 뒷골 아프거든요. 세입자 입장에서도 전세금 다 줄수는 있지만 리스크가 너무 크니 후순위로도 받을 수 있을 만큼만 걸고 나머지는 월세로 돌려 마음의 안정을 삼는. 뭐 장기적으론 다 월세로 전환될꺼고 그 때는 아마 지금 까지를 집 구하기는 쉬웠던 과거로 기억될 겁니다. 마치 90년대를 직장 구하긴 쉬웠던 과거로 기억하는 것 처럼.. 미국 비지팅을 1년 가야되서 집값을 알아보니 우리의 미래가 이럴거 같아서 말이죠...아무리 캘리포니아지만 30평 초반 아파트 월세 400은 너무한거 아닌가 싶습니다.
    Beer Inside
    캘리포니아 비지팅이라면 보통 금수저나 갈 수 있지요. 샌프나 샌디에고는 500이라고 하더군요.

    돈 없으면 미국 중남부로 비지팅가는 수 밖에....
    중남부 알아보다가 까여서 결국 이쪽으로 돌렸습니다.. 그냥 빚낼려고요.
    MANAGYST
    월세가 저런 리스크를 피할 수 있는 방법이긴 하지만, 월세를 선택하는 순간, 신분상승?은 포기하고, 더 열심히 일해야 하는 사람이 되길 선택하는 것을 의미하겠죠?
    새의선물
    맨하탄에 오시면 17평에 한달 오천불도 경험하실 수 있습니다.
    MANAGYST
    정말 대단하네요... 오천불에 녹아있는 금리수준이 궁금합니다. 만약에 금리가 올라가면 어떻게 되는 건가요?
    새의선물
    저야 그 쪽은 잘 몰라서요. 맨하탄도 지역별로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비싼곳은 워낙에 비싸서...

    비싼 곳같은 곳은 저 정도 크기 아파트가 수백만불까지 올라갈꺼예요.
    Vinnydaddy
    그렇게 집세가 비싸니 몸이 재산인 프로스포츠 선수들마저도 얹혀살고 다른사람 아파트 소파에서 자고 막 그러는 거군요. 5천불 덜덜...
    새의선물
    모든 아파트가 다 비싼건 아니고 동네별로 차이가 많이 나요. 암튼 다른 곳에 비하면 엄청나긴 엄청나더라고요.
    애패는 엄마
    예전에 자녀 교육 때문인가? 이주 고려하신 다는 댓글 본적 있는거 같은데 결국 가시는군요
    아닙니다 그냥 1년 방문하는거에요^^ 아직 교육때문에 이주 고려할만큼 애들이 크지 않아서
    천무덕
    IMF가 터지기 불과 두달 전에 빚내서 집을 사셧다가 약 20년가량 고통받는(..)부모님을 볼때 얻은 교훈이 있습니다.

    1)시장조사 없이 집주인때문에 빡쳐서 욱해서 집을 사는건 진짜 아니구나.
    2)재테크 수단으로서가 아닌 거주지 수단으로서의 집이라면 세입자보다는 그래도 집을 구매하는게 낫겠거니..
    3)결론:부지런히 일해서(..) 자금을 모아서 집을 사자!(..)
    4)그 이후 2의 imf가 터지면? 운명이겠거니..(..)

    기본적으로 전세는 돈을 돌려받는다는 개념, 월세는 돈을 버리는 개념이라고 이해하고 있는데 그래서 ... 더 보기
    IMF가 터지기 불과 두달 전에 빚내서 집을 사셧다가 약 20년가량 고통받는(..)부모님을 볼때 얻은 교훈이 있습니다.

    1)시장조사 없이 집주인때문에 빡쳐서 욱해서 집을 사는건 진짜 아니구나.
    2)재테크 수단으로서가 아닌 거주지 수단으로서의 집이라면 세입자보다는 그래도 집을 구매하는게 낫겠거니..
    3)결론:부지런히 일해서(..) 자금을 모아서 집을 사자!(..)
    4)그 이후 2의 imf가 터지면? 운명이겠거니..(..)

    기본적으로 전세는 돈을 돌려받는다는 개념, 월세는 돈을 버리는 개념이라고 이해하고 있는데 그래서 어차피 버릴꺼면 은행에다 버리자(..)는 생각이 제 머리를 지배하고 있네요.
    여건이 안된다면 반전세를 최우선으로 생각해야겠지만 아직까지는 부모님 집에 얹혀사는 입장이니 준비를 차곡차곡 해야겠지요.
    앞으로 빈 깡통집 구하기는 더 쉬워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인구는 줄고 집은 늘어가는 형편이니..
    Beer Inside
    문제는 집값이 오르지 않는 이유는 인구가 줄어들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소득이 줄어들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다음 세대가 이전 세대의 부동산을 물려 받을 준비가 되지 않았다는 이야기이니까요.

    그러니 집값이 내리더라도 돈 없는 사람이 집을 구하는 것은 여전히 어렵다고 보아야할 겁니다.
    천무덕
    현재처럼 분양되지 않는 집-대금회수 안되는 건설회사 파산-부동산 경매처리-시가보다 싸게 구입 인 측면으로 볼때 그래도 떨어지지 않을지요. 부동산관련 지식이 없어 대충 이렇다드라 하는정도만 아는데..소득분배와 관계없이 떨어지지 않을지 궁금하네요.
    Beer Inside
    집값이 떨어지는 것은 부동산 거래세가 주 수입원인 정부가 가장 싫어하는 시나리오 입니다.

    지금처럼 금리를 낮추어서 빚내서 집을 사라고 하는 것도 부동산 거래세가 걷히면 정부는 이득이기 때문이지요.

    만약 집값이 떨어지면 정부는 양적완화... 쉽게 말해서 시중에 돈을 풀어서 인플레이션을 유발하면 됩니다.

    인플레이션을 유발시키면 부동산의 가치는 당연히 올라가게 됩니다.

    IMF 때 당해 보았지요. 결국 부의 편중만 심해지지요.
    천무덕
    결국 모든 거래는 세금으로 귀결되는군요.
    과중한 세금문제만 없었다면 매매가 좀 더 활성화되었을까 궁금하긴 하네요.
    부가 한쪽으로 쏠릴 때 반대측은 굶는 정도가 아니고 나락으로 떨어진다는게 사회의 양면성(..)으로 볼 수 있을지도..
    MANAGYST
    네.. 집에 대한 논의는 해도해도 끝이 없는 것 같습니다.
    천무덕
    현실에서 자리잡을 기회가 주어지기 힘든 20-40세대들에게 내집마련은 허상이겠지요.끙.
    세츠나
    히드라나 울트라하고는 별 관계없는 제목 선정이었군요...
    지와사랑
    정말 좋은 글 이네요.
    주변에 집 없는 서러움 이라는 명분 아래 욱해서 집 사시는 분 꽤 있더군요.
    물론 그 심정은 백퍼 이해 합니다. 저도 세입자 이거든요.
    물론 장기적으로 부동산 시장이 우상향이라 크게 나쁘지 않을수도 있지만
    억. 소리 나는 금액인데 구매과정에서 타인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는 점,
    그리고 컴터 부분 살때 보다도 시장 조사를 않하고 결정하는 점.
    이런 거 보면 많이 의아스럽더라고요.

    암튼, 그렇다고요.
    좋은 글 잘 보고 갑니다. 추천 쾅~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15 경제베어링스 은행 파산사건과 금융에 관한 이야기. 11 줄리 16/06/10 9830 23
    208 경제한국에서 구조조정은 왜 실패하나?-STX법정관리에 부쳐(상) 26 난커피가더좋아 16/05/25 9177 8
    196 경제한국 해운업 위기의 배경에 대한 브리핑 30 난커피가더좋아 16/04/27 8543 6
    166 경제디플레이션의 시대가 오는가? 36 난커피가더좋아 16/03/06 10590 3
    144 경제행복과 행복에 관한 생각들 21 Moira 16/01/21 10572 5
    126 경제Negative world(마이너스 금리 시대) 4 MANAGYST 15/12/07 8702 7
    89 경제노벨경제학상 앵거스 디턴과 21세기자본 도마 피케티는 대립하는가? 16 난커피가더좋아 15/10/15 8533 10
    77 경제집은 시장리스크, 전세는 신용리스크 20 MANAGYST 15/09/22 8682 6
    65 경제큐이괴담 - QE를 또! 해야 한다는 이유가 또! 나오는 이유 23 MANAGYST 15/09/04 8650 4
    49 경제그리스 위기 즈음에 돌아보는 한국의 IMF(최종편) 19 난커피가더좋아 15/07/22 8764 0
    10 경제[서평] 가계부채는 왜 위험한가?, <빚으로 지은 집> 23 그녀생각 15/06/05 11326 1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