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 20/02/20 12:19:10 |
Name | 호라타래 |
Subject | 교육심리학의 20가지 주요 원리 11~20 |
아오 짬내기가 힘드네요. // 11. 교사가 학생에게 품는 기대는 학생들의 학습기회, 동기, 학습 결과에 영향을 끼친다. (Teachers' expectations about their students affect students' opportunities to learn, their motivation, and their learning outcomes) 자기실현적 예언이라는 개념으로도 잘 알려져있쥬. 기본적인 흐름은 다들 아실거고, 몇 가지 추가적인 연구 결과를 짚자면 - 잘못된 기대는 학년이 낮을 때, 학기 시작 시기에, 그리고 초->중->고 진학 시기에 일어나기 쉬워요. 요약하자면 기존 성취에 대한 정보가 적을 때 일어나기 쉽다는 거쥬 - 낮은 기대든 높은 기대든 영향을 끼친다는 점도 염두에 두어야 하고요 - 학생을 포기하지 않는 태도가 가장 좋은 해독제라 합디다 12. 목표를 짧고(도달 가능하게), 구체적이고, 적당히 어렵게 잡는 것이 학생의 동기를 강화한다. (Setting goals that are short term (proximal), specific, and moderately challenging enhances motivation more than establishing goals that are long term (distal), general, and overly challenging) 당연해 보이지유? 한걸음 더 들어가면 자기효능감(self-efficacy)라는 유명한 개념과 연결되요. 내가 할 수 있다고 느껴야 계속 할 수 있다는 거지요. 지난 번 글에서 언급했던 근접발달영역(ZOP)의 원리도 그대로 들어오고요. 마찬가지로 추가적인 내용을 밝히자면 - 조금씩 나아지는 모습을 직접 확인하도록 도와주는 것이 굿굿이다. 너무 목표를 장거리로 잡으면 확인하기가 힘들다. - 발달심리학적으로 볼 때, 최소 중학교 시기까지 청소년들은 먼 미래를 뚜렷하게 생각하기 힘들어 한다. (발달심리학적 관점에 대한 비판도 상당히 강하지만 일단 요기서는 생략) - 구체적인 목표라는 건 수량화하고 측정하기 용이한 목표다 (올해에는 타임라인 줄여야지(X) vs 내일부터 하루에 탐라를 2개만 써야지(O)) 13. 학습은 다양한 사회적 맥락 속에 놓인다. (Learning is situated within multiple social contexts) 학생들은 가족, 또래집단, 학급, 학교, 지역사회, 전체 사회 등 다양한 맥락 속에 겹쳐져 있어요. 그리고 각각이 자기들끼리 영향을 주고 받으면서, 학생들에게 영향을 주고요. 본문에는 얘기를 안 했지만 이제 유튜브와 같은 주요 미디어도 진지하게 고려해야 하지 않나 싶고요. 다양하고 복잡한 맥락을 고려해야 한다~ 라는 교과서 같은 소리이기는 한데, 하나 더 고려해야 하는 건 교실 그 자체가 문화를 지닌 하나의 단위라는 점이에요. 거기에 교사가 관여할 수 있는 지점이 꽤나 크고요. 학교를 사회변혁의 기초로 보는 사람들은 이 포인트를 파고 들어간다 볼 수 있을 겁니당 14. 인간관계와 의사소통은 학생들의 교수학습 과정과 사회적 감정 발달에 모두 중요하다.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are critical to both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and the social-emotional development of students) + 15. 감정적 안녕감은 학생들의 성취, 학습,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 (Emotional well-being influences educational performance, learning, and development) 학교에서 배우는 건 지식만이 아니쥬. 학생들은 학교에서 사회적 스킬을 배워요.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비)언어적으로 표현하는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학급 분위기를 조성하는 건 매우 X 100 중요합니다. 여기서는 보고서의 요약이 아니라 다른 이야기를 좀 하고 싶어요. 어쨌거나 저쨌거나 이상과는 달리, 한국에서 학교를 나온 많은 이들이 경험한 '학교', '학교에서의 인간관계'는 교과서와는 다른 경우가 많더라고요. 남성들 사이에서 두드러지는 물리적 폭력이나 위계 강요, 여성들 사이에서 두드러지는 사회적 폭력과 감정적 소외를 듣다보면 학교/학급이 자체적으로 부정적인 문화를 재생산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의심이 들지요. 그 과정 속에서 한 번 희생양이 된 학생들은 감정적 안녕감이 저해되고, 그로 인해 학업 성적이 저해되면서, 학업 성적을 주요 가치로 삼는 문화 속에서 다시금 부정적 순환고리에 빠지게 되기도 쉽고요. 16. 학생들은 교실이 작동하는 방식에 대한 기대와 교실 내에서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익힌다. 이러한 것들은 입증된 행동 원리와 효율적인 학급 지도를 통해 가르칠 수 있다. (Expectations for classroom conduct and social interaction are learned and can be taught using proven principles of behavior and effective classroom instruction) 14~15에서 부정적인 이야기를 했지만, 연구 결과는 교사가 어떤 방법을 쓰느냐에 따라 교실은 건강한 공동체로 회복 가능하다고 해요. 학기 초에 학습/교실 내 상호작용에 대한 명확한 원칙을 세우고, 이를 점진적으로 강화해나가라는 것이 기본 원리지요. 연구 결과는 초기 2주를 핵심적인 시간으로 꼽습니다. 그리고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미리미리 예방하는 것도 중요하고요. 한 번 사건이 발생하면 그 영향력이라는 건 상당하거든요. 17. 학급을 효과적으로 운용하기 위해서는 (a) 높은 기대를 지니고 전달하고, (b) 지속적으로 긍정적인 관계를 양육하고, (c) 높은 수준으로 학생을 지지하라 (Effective classroom management is based on (a) setting and communicating high expectations, (b) consistently nurturing positive relationships, and (c) providing a high level of student support) 앞선 내용들의 요약 같은 겁니다 ㅎ_ㅎ 18. 형성평가와 종합평가는 둘 다 중요하고 유용한데, 다만 다른 방식으로 접근하고 해석해야 한다. (Formative and summative assessments are both important and useful but require different approaches and interpretations.) 형성평가 - 수업을 고안하고 지도하기 위해 활용하라. 토론, 협동, 자기/동료평가 등등 다양하게 접근 가능하다 종합평가 -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혹은 학생들의 학습 진전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써라. 표준화 된 대규모 측정도구(aka 시험)을 활용하라 여요. 형성평가에는 학생들에게 수업 목표를 전달하는 기능도 있다는 점을 간과하는 것은 노노 19. 학생들의 능력, 지식, 기술은 심리학 기반의 측정 도구를 활용해야 그 질과 공정성이 확보된다. (Students' skills, knowledge, and abilities are best measured with assessment processes grounded in psychological science with well-defined standards for quality and fairness) 측정 도구의 타당성은 자세히 파고들면 되게 어려운 주제여요. 시험 문제를 만들어 보신 분들은 엄청 공감하실 겁니다 ㅋㅋㅋㅋ 단순한 예를 들자면 문제를 만들 때 텍스트 정보만 제공할지, 이미지 정보도 함께 제공할지부터가 난제라 할 수 있어요. 학생들 간의 인지구조는 편차가 상당하기에 여러 가능성을 고려하여 설계할 필요가 크지요. 이 APA 자료에서 측정을 계속해서 강조하는 건 미국의 정치/사회 변화라는 맥락을 함께 고려해야 해요. 부시 정부가 No Child Left Behind 법을 강조하면서 교육 내에서 책임성/설명가능성(accountability)이 커지고, 교육을 '과학화' 해야한다는 담론이 커졌거든요 (여기서 과학은 과학철학이나 과학사회학에서 지적하는 '과학하기'가 아니라 사람들이 과학에 대해 지니는 막연한 이해에 가깝지만요). 수량화의 지배는 미국 뿐만 아니라 한국 사회를 휩쓰는 흐름이니 다들 느낌적인 느낌으루다가 아시겠쥬 20. 평가 자료를 이해하는 과정은 명확하고, 적절하고, 공정한 이해에 기반한다. (Making sense of assessment data depends on clear, appropriate, and fair interpretation) 학생들의 성적 혹은 측정 결과는 잘못된 방식으로 이해될 위험이 커요. 점수 그 자체보다 교사가 점수를 어떻게 이해하고 활용하는가가 더 중요하지요. 한걸음 더 나가보자면 교사가 성적을 어떻게 학생들에게 '설명하는가'도 신중해야 해요. 달랑 성적만 주는 거, 이전 점수와 비교해서 설명을 해주는 거, 어떤 점이 강점이고 어떤 점이 약점이었는지 피드백을 세세하게 해주는 것은 효과가 전혀 다르니까요. 또한 각각의 평가 도구는 100% 완벽할 수 없다는 점도 염두에 두어야 해요. // 조금 심심한 자료를 올렸으니, 다음에는 도발적인 자료로 돌아와보겠습니다 ㅎㅎ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0-03-01 22:13)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20
이 게시판에 등록된 호라타래님의 최근 게시물
|
이 글은 부모의 역할보다는 교사의 역할을 적어놓은 내용(세세한 실천 원리는 생략)이기는 하다만, 어느 정도 자녀 교육에도 고려 가능한 지점이 있다봐요. 특히 커뮤니티 빌딩 같은 측면은요.
자녀교육 관련해서는
https://redtea.kr/?b=3&n=10080
전 과거 제이스님 글에 핵심이 있지 않나 싶더라고요 ㅎㅎ
자녀교육 관련해서는
https://redtea.kr/?b=3&n=10080
전 과거 제이스님 글에 핵심이 있지 않나 싶더라고요 ㅎㅎ
동기이론, 사회적 구성주의 혹은 사회인지 학습이론, 잠재적 교육과정으로의 확장 가능한 affective filter, 기대x가치이론이나 자기효능감 이론... 그 뒤로는 평가 이야기네요.
도발적 주제라면 어떤 영역일지... ㅎㅎ
도발적 주제라면 어떤 영역일지... ㅎㅎ
교육학 말고 섹슈얼리티 경험연구 정리를 연재 하려 했는데, 이 시국을 보면 Distance learning의 CoI 이론을 다루어야 할지도 모르겠어요 ㅠㅠ
https://www.apa.org/ed/schools/teaching-learning/top-twenty-principles.pdf
원문 위에 링크하니 필요에 따라 더 살펴보셔요. 여쭈어보신 내용만 빠르게 의역하자면,
"학급과 학교 수준에서 모두 구조(structure)와 지지(support)는 효과적인 학습 분위기를 발전시키기 위한 기반이에요. 구조의 측면에서, 학생들은 학급에 어... 더 보기
원문 위에 링크하니 필요에 따라 더 살펴보셔요. 여쭈어보신 내용만 빠르게 의역하자면,
"학급과 학교 수준에서 모두 구조(structure)와 지지(support)는 효과적인 학습 분위기를 발전시키기 위한 기반이에요. 구조의 측면에서, 학생들은 학급에 어... 더 보기
https://www.apa.org/ed/schools/teaching-learning/top-twenty-principles.pdf
원문 위에 링크하니 필요에 따라 더 살펴보셔요. 여쭈어보신 내용만 빠르게 의역하자면,
"학급과 학교 수준에서 모두 구조(structure)와 지지(support)는 효과적인 학습 분위기를 발전시키기 위한 기반이에요. 구조의 측면에서, 학생들은 학급에 어떤 행동 원칙이 존재하고, 학생들에 어떤 기대를 지니는지 명확하게 이해할 필요가 커요. 이런 기대는 학생들에게 직접적으로 그리고 자주 전달되어야 하고, 일관성 있게 요구되어야 하지요. 지지 또한 핵심적입니다.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문화적으로 응답성 높게(culturally responsive), 교사들은 지속적으로 학생들에게 자신들이 그들이 높은 수준의 행동적 / 학습적 수준에 도달할 수 있도록 지지하고 있다는 것을 일관성 있게 전달하여 높고 강력하고 관계를 발전시키고 유지할 수 있습니다.
(At both the classroom and the school level, the development of an effective learning climate is based on structure and support. In terms of structure, students need to have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behavioral rules and expectations of the classroom, and these expectations must be communicated directly and frequently and consistently enforced. Yet we also know that support is essential. To be both effective and culturally responsive, teachers can develop and maintain strong,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heir students by consistently communicating that they are firmly committed to supporting all of their students in meeting those high academic and behavioral expectations)"
라고 볼 수 있습니당. Culturally resonsive는 학생들이 속한 문화적 배경이 어떤 특징이 있는지 이해해야 한다는 것인데, 이민국가인 미국에서 더 부각되기는 하지만 한국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어요. 같은 학교에 다닌다 하더라도 어떤 계층에 속하느냐에 따라 학생들이 가정과 지역사회를 통해 경험하는 내용은 달라지거든요. 학생들이 학교에서 바람직하다고 보는 행동양식과 다른 태도를 보인다고 해서 쉽게 재단하기 보다는 그 뿌리를 좀 더 면밀하게 들여다봐야 한다고 이해하시면 될 듯합니다.
계층에 따른 학교 문화와 관련하여 참고할 만한 책은
- 아네트 라루, 불평등한 어린시절
- 폴 윌리스, 학교와 계급재생산
등이 있습니당. 한국 맥락에서 초~중등 학교 학생들의 계층 간 차이를 탐구한 질적 자료는 음... 최근에는 제가 책을 잘 안 봐서 모르겠네요. 다만 참고할 만한 한국 논문들은 몇 편 있어요.
한지원. (2005). 기혼여성노동자의 어머니노릇 변형과정. 여성학논집, 22(2), 71–106.
박소진. (2007). 공간적 위계수사와 구별짓기 : 강북 어머니들의 자녀교육 내러티브. 한국문화인류학, 40(1), 43–81.
이두휴. (2008). 자녀교육지원활동에 나타난 학부모 문화 연구. 교육사회학연구, 18(3), 135–165.
손승영. (2009). 한국 가족의 청소년 자녀 사회화 연구 : 부모의 기대와 개입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20(1), 57–84.
김효정. (2010). 저소득층 기혼여성의 노동의 의미에 관한 연구 : 소규모 식당노동 종사자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26(1), 1–33.
김정환, & 이선이. (2014). 한국 30대 고학력 남성들의 아버지상과 아버지 역할 실천방식에 대한 연구. 가족과 문화, 26(3), 71–104.
김미란. (2014). 대학생들은 부모의 사회계층에 따라 어떻게 다른 대학생활을 경험하고 있는가 ?: 서울의 한 여자대학교 학생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24(2), 25–65.
김범석, & 손준종. (2015). 일반고 직업교육위탁생 연구: 주변화된 이등학생의 출현. 교육문제연구, 28(4), 167–193.
이새암, & 김영훈. (2016). 학교와 수치심 : 가정환경조사서를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19(2), 129–155.
2017년 이후로 한국 맥락은 업데이트를 잘 못하기는 했는데 음... 다 읽어보실 필요는 없고 초록 / 서론 / 결론 / 본문의 인용된 학생들의 목소리 정도만 훓어보셔도 도움이 될 듯합니다.
원문 위에 링크하니 필요에 따라 더 살펴보셔요. 여쭈어보신 내용만 빠르게 의역하자면,
"학급과 학교 수준에서 모두 구조(structure)와 지지(support)는 효과적인 학습 분위기를 발전시키기 위한 기반이에요. 구조의 측면에서, 학생들은 학급에 어떤 행동 원칙이 존재하고, 학생들에 어떤 기대를 지니는지 명확하게 이해할 필요가 커요. 이런 기대는 학생들에게 직접적으로 그리고 자주 전달되어야 하고, 일관성 있게 요구되어야 하지요. 지지 또한 핵심적입니다.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문화적으로 응답성 높게(culturally responsive), 교사들은 지속적으로 학생들에게 자신들이 그들이 높은 수준의 행동적 / 학습적 수준에 도달할 수 있도록 지지하고 있다는 것을 일관성 있게 전달하여 높고 강력하고 관계를 발전시키고 유지할 수 있습니다.
(At both the classroom and the school level, the development of an effective learning climate is based on structure and support. In terms of structure, students need to have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behavioral rules and expectations of the classroom, and these expectations must be communicated directly and frequently and consistently enforced. Yet we also know that support is essential. To be both effective and culturally responsive, teachers can develop and maintain strong,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heir students by consistently communicating that they are firmly committed to supporting all of their students in meeting those high academic and behavioral expectations)"
라고 볼 수 있습니당. Culturally resonsive는 학생들이 속한 문화적 배경이 어떤 특징이 있는지 이해해야 한다는 것인데, 이민국가인 미국에서 더 부각되기는 하지만 한국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어요. 같은 학교에 다닌다 하더라도 어떤 계층에 속하느냐에 따라 학생들이 가정과 지역사회를 통해 경험하는 내용은 달라지거든요. 학생들이 학교에서 바람직하다고 보는 행동양식과 다른 태도를 보인다고 해서 쉽게 재단하기 보다는 그 뿌리를 좀 더 면밀하게 들여다봐야 한다고 이해하시면 될 듯합니다.
계층에 따른 학교 문화와 관련하여 참고할 만한 책은
- 아네트 라루, 불평등한 어린시절
- 폴 윌리스, 학교와 계급재생산
등이 있습니당. 한국 맥락에서 초~중등 학교 학생들의 계층 간 차이를 탐구한 질적 자료는 음... 최근에는 제가 책을 잘 안 봐서 모르겠네요. 다만 참고할 만한 한국 논문들은 몇 편 있어요.
한지원. (2005). 기혼여성노동자의 어머니노릇 변형과정. 여성학논집, 22(2), 71–106.
박소진. (2007). 공간적 위계수사와 구별짓기 : 강북 어머니들의 자녀교육 내러티브. 한국문화인류학, 40(1), 43–81.
이두휴. (2008). 자녀교육지원활동에 나타난 학부모 문화 연구. 교육사회학연구, 18(3), 135–165.
손승영. (2009). 한국 가족의 청소년 자녀 사회화 연구 : 부모의 기대와 개입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20(1), 57–84.
김효정. (2010). 저소득층 기혼여성의 노동의 의미에 관한 연구 : 소규모 식당노동 종사자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26(1), 1–33.
김정환, & 이선이. (2014). 한국 30대 고학력 남성들의 아버지상과 아버지 역할 실천방식에 대한 연구. 가족과 문화, 26(3), 71–104.
김미란. (2014). 대학생들은 부모의 사회계층에 따라 어떻게 다른 대학생활을 경험하고 있는가 ?: 서울의 한 여자대학교 학생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24(2), 25–65.
김범석, & 손준종. (2015). 일반고 직업교육위탁생 연구: 주변화된 이등학생의 출현. 교육문제연구, 28(4), 167–193.
이새암, & 김영훈. (2016). 학교와 수치심 : 가정환경조사서를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19(2), 129–155.
2017년 이후로 한국 맥락은 업데이트를 잘 못하기는 했는데 음... 다 읽어보실 필요는 없고 초록 / 서론 / 결론 / 본문의 인용된 학생들의 목소리 정도만 훓어보셔도 도움이 될 듯합니다.
높은 수준의 지지를 유지하라는 것은, 높은 수준의 기대를 유지하라는 것과 연결되요. 흔히 단체를 많이 이끌어 보신 분들이 '사람 다루는 법'이라고 체화한 내용들이 대부분이기는 한데... 기대만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고 전혀 학생들의 상황이나 배경을 이해하지 않으면 역효과가 나니까요. 가끔 혼내기도 하고, 몰아칠 때도 있겠지만 학생들이 그 모든 것들을 '선생님이 너의 편'이라는 틀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그리고 교사들도 실제 그리 해야 하고) 관계를 쌓아나가야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기실 이러한 행동원리는 말로 되는 것이 아니라,... 더 보기
기실 이러한 행동원리는 말로 되는 것이 아니라,... 더 보기
높은 수준의 지지를 유지하라는 것은, 높은 수준의 기대를 유지하라는 것과 연결되요. 흔히 단체를 많이 이끌어 보신 분들이 '사람 다루는 법'이라고 체화한 내용들이 대부분이기는 한데... 기대만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고 전혀 학생들의 상황이나 배경을 이해하지 않으면 역효과가 나니까요. 가끔 혼내기도 하고, 몰아칠 때도 있겠지만 학생들이 그 모든 것들을 '선생님이 너의 편'이라는 틀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그리고 교사들도 실제 그리 해야 하고) 관계를 쌓아나가야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기실 이러한 행동원리는 말로 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수없이 부딪치고 깨져가면서 쌓아야 하는 교사들의 실천적/암묵적 지식에 가까워서 설명하기 어렵네요. 사례를 많이 접하고, 자신의 사례를 숙고하고, 사회와 인간을 다각도에서 바라보고자 노력하는 것이 한 방법이 되지 않나 싶습니다.
기실 이러한 행동원리는 말로 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수없이 부딪치고 깨져가면서 쌓아야 하는 교사들의 실천적/암묵적 지식에 가까워서 설명하기 어렵네요. 사례를 많이 접하고, 자신의 사례를 숙고하고, 사회와 인간을 다각도에서 바라보고자 노력하는 것이 한 방법이 되지 않나 싶습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