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성자가 질문을 받을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AMA는 Ask me anything (무엇이든 물어보세요)라는 뜻입니다.
Date 22/11/21 10:13:49
Name   [익명]
Subject   중학교를 조기졸업했습니다.
그렇다고 지금 고등학생이라서 AMA를 하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현재 만 40세 중년이고요. 제 어린 시절에 독특한 점이 조금 있어 재미삼아 AMA 한번 열어봅니다.

고등학교, 대학교 조기졸업한 분들이야 넘치지만 중학교를 조기졸업한 분은 아마 많지 않을 것 같네요. 해외파 아니고요. 국내에서 초중고 대학 다 나왔습니다.

사실 빠른년생이 아님에도 초등학교를 (편법으로) 1년 빨리 들어갔었기 때문에 이미 한 살 많은 친구들과 학교 생활을 하고 있었는데요. 중학교를 2년만에 졸업하게 되면서 고교 동기들과는 2살 차이가 나게 됐던 케이스입니다. 그래서 대학은 만 16세에 입학한 것이 됩니다.

90년대까지 중학교 조기졸업 제도가 없었는데, 당시 제도를 새로 만드는 과정에서 특정 일반중학교 하나가 시범운영하는 걸로 지정됐었습니다. 마침 제가 그 학교를 다니고 있어서, 모종의 선발과정(?)과 교육과정(?)을 거쳐서 조기졸업했습니다. 커리큘럼상 1학년이 끝나고 3학년 교실로 갔습니다.

현재는 전문직으로 일하고 있습니다. 직종은 노코멘트 하겠습니다.

사실 조금이라도 관련된 내용을 알고 계신 분들에게는 거의 실명으로 글을 쓰는 것과 다름없기 때문에 일단은 홍차넷 닉이라도 보호하고자(?) 익명으로 AMA합니다. 근무중이라 답이 좀 뜸할 수 있음을 양해 부탁드립니다.



0


아저씨...
[글쓴이]
아저씬지 아줌만지 모르시면서!
2
dolmusa
아줌마...
7
[글쓴이]
ㅠㅠ
4
조기 졸업하면 이제 굴비만 드십니까? 촤하하.
1
[글쓴이]
부장님.. 이러시면 같은 나이대로 묶여서 함께 욕먹습니다 흑흑
1
Thy킹덤
대학교 입학하는데 어려움은 없으셨나요?
(천재이신가..)
[글쓴이]
남들 하듯이 고생해서 빡세게 수험생활 해가면서 수능 쳐서 대학갔죠.
성적 측면에서는 중1 마치고 중3 교실로 갔던 그 해에 빠르게 중상위권 -> 상위권 -> 최상위권으로 진입했습니다. 천재는 아니고요. 저보다 공부 잘하는 친구들은 항상 많았습니다.
우스미
2년이나 앞서서 고등학교를 진학하게 되면 고등학교 동기들과의 관계가 어떻게 되나요?
같은반 동생? 친구?
[글쓴이]
생각보다 쉽게 '친구'로 자리잡았습니다. 특히 중학교 때는 한 학년 아래이던 녀석이 같은 교실에 왔다는 위화감이라도 있었는데 고등학교 때는 어차피 같이 입학한 처지라서 좀더 자연스러웠고요. 지금 생각해봐도 전혀 거리낌없이 같은 나이의 친구로 대해준 동기들이 새삼 감사합니다.

아주 일부 그 거리감을 어색해하면서 친해지기 어려워하는 친구들도 있기는 했는데, 제가 체감할 정도는 아니었습니다.
남들보다 놀 수 있는 시간을 1년 손해보신 것 아닙니까
[글쓴이]
날카로우십니다. 그 생각을 한 건 저도 고3때나 돼서였던것 같습니다. 중2시절이 없어서 손해봤구나. 하는 생각을 했는데 뭐 다 지나고 수십년 뒤인 지금 생각하니 대학가서 실컷 잘 놀았던 것 같기는 합니다.
카리나남편
보리굴비 시켰읍니다. 찐보리이니까? 구운보리입니까?
[글쓴이]
구운걸로 부탁드립니다.
카리나남편
선생님 같은 휼륭한 유전자를 후손들에게 넘기기 위하여 몇째까지 생각중이십니까? 인류를 위해 다섯째는 가실거죠?
[글쓴이]
아 셋째빌런님이 굴비 질문하셔서 몰래 넘어갈수 있겠구나 했는데..
죄송하지만 딩크입니다. 죽을죄를 졌습니다 흑흑 ㅠㅠ
과고/영재고 테크 타는 친구들이 많이 그랬는데.. 혹시 과고/영재고 다니셨나요?
[글쓴이]
아닙니다. 일반고였습니다. 비평준화 고등학교라서 전반적인 학업수준은 높은 곳이었고 제가 졸업한 이후에 자사고가 되었습니다.
천하대장군
군생활은 어떠셨읍니까
[글쓴이]
군 면제로 군생활은 해당사항 없습니다.
1
밀란쿤
저도 중학교를 조기졸업 했습니다 ㅎㅎ 반가워요 선배님!

저는 그 당시에 명예롭고 자랑스러운 마음이 컸는데, 늘 한 살 어리다는 이유로 제 자신이 위축되었고 약간의 소외감이 있었습니다.
고등학교 친구들은 같은 나이의 친구로 잘 대해줘서 정말 고마웠는데, 대학교에서는 잘 받아들여지지 않더군요…
그래서 저 같은 경우는 사실 조기졸업을 한 것이 조금은 후회가 됩니다. (다 지난 일이지만 ㅎㅎ) 1년 앞서갔다고 생각했지만 저도 결국 돌아돌아 다른 일을 하고 있어서요. 하지만 이미 지난 일을 후회해서 뭐 하냐 하는 생각이 드네요
... 더 보기
저도 중학교를 조기졸업 했습니다 ㅎㅎ 반가워요 선배님!

저는 그 당시에 명예롭고 자랑스러운 마음이 컸는데, 늘 한 살 어리다는 이유로 제 자신이 위축되었고 약간의 소외감이 있었습니다.
고등학교 친구들은 같은 나이의 친구로 잘 대해줘서 정말 고마웠는데, 대학교에서는 잘 받아들여지지 않더군요…
그래서 저 같은 경우는 사실 조기졸업을 한 것이 조금은 후회가 됩니다. (다 지난 일이지만 ㅎㅎ) 1년 앞서갔다고 생각했지만 저도 결국 돌아돌아 다른 일을 하고 있어서요. 하지만 이미 지난 일을 후회해서 뭐 하냐 하는 생각이 드네요

제 또래들은 특목고를 진학하면서 이런 케이스가 꽤 많았는데 아마 선배님 때에는 그런 제도를 이용한 게 아니었을 것 같아요. 더더욱 드물고 눈에 뛰는 일이 그렇게 쉽지는 않았을 것 같습니다. 멋지십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5
[글쓴이]
돌아돌아 가던 그 과정이 전부 내 삶을 이루는 소중한 경험이 됐을겁니다. 저도 밀란쿤님처럼 때로는 빠르게 때로는 돌아돌아 먼 길로 지금에 이르렀는데, 그 모든 경험이 지금의 균형있는 나를 만드는 자양분이었던 것 같아요. 화이팅입니다 ㅎㅎ
3
밀란쿤
따뜻한 댓글 덕분에 기분이 무척 좋네요. 정말 맞는 말인 것 같아요. 저도 제 지난 날에 감사합니다. 화이팅 ㅎㅎ
대학교 신입생일 때 미성년자였을텐데 술자리는 어떻게 하셨나요?
[글쓴이]
20여년 전에는 대학생들이 대학가에서 술 마시는 것에 대한 사회적 문제의식이 거의 전무했습니다. 단속도 실질적으로 없었고 대학가 술집들은 신분증 확인 전혀 없었고요. 2000년대 초중반이 되면서 그걸 문제삼는 사회 분위기가 생기기 시작했는데, 제가 처음으로 술집에서 신분증 검사를 당했던 것은 대학교 3학년 때였습니다. 그런데 나이가 안 돼서 쫓겨났다는게 레전드..
2
기문홍차
KSA?
[글쓴이]
실명저격 시도라니.. 아니라서 다행입니다.
이름 이니셜은 아니고
한국과학영재학교 이니셜일겁니다 ㅋㅋ
[글쓴이]
아.. 찾아보니 부산과학고가 그렇게 되었었군요. 이걸 몰랐다니 나이대 인증하는것 같아 부끄럽지만 어차피 본문에 나이 떡 박아놨는데 어쩔!
은때까치
ㅋㅋ저도 중조졸자인데 반갑네요! 되게 흔하지 않은 일 같은데 생각보다는 은근히 좀 계시더라구요....
[글쓴이]
굳이 중학교를 조기졸업해서 얻는 이득이 명확치 않긴 하죠. 저는 다니던 학교가 우연히 정책시범학교라서 어영부영 휘말려들어 그냥 '할 수 있으니까 한다'는 느낌으로 조기졸업한 케이스였는데, 은때까치님은 어떤 과정으로 중학교를 조기졸업하게 되셨는지 오히려 제가 궁금하네요. ㅎㅎ
은때까치
앗 저는 KSA 졸업생입니다. 고등학교 전체 인원의 약 20% 정도가 중학교 조기졸업자였어요.
조졸자가 소수가 아니었기에 저같은 경우는 문화적인 불편함(?)이 전혀 없었어요. 저는 한두살 형들이랑 다 친구 먹고 정규트랙(?)을 밟아 왔습니다.
[글쓴이]
앗 그렇군요. 프로토타입인 저를 먼저 굴려보고 나온 결과물이 그런 모습이었나 보군요 ㅎㅎ 감사합니다.
눈사람
전문직에 종사하고 계시다고 하셨는데, 어느 나이 때부터 해당 직업으로 일하고 싶다는 생각을 하셨나요?
또한 현재 직업을 얻기 위한 과정에서 겪은 어려움은 없으셨는지 궁금합니다.
[글쓴이]
대학교 3~4학년때쯤 진로를 고민하다가 결정하게 됐습니다. 당시 전공하던 학과와 관련이 아주 적은 분야라서 새로 출발해야 하는 상황이었지만 의외로 큰 고민은 없이 자연스럽게 결정할 수 있었네요. 그 과정에서 다들 겪는 그런 류의 어려움은 당연하게도 겪었지만 제가 혼자 특수하게 겪은 어려움이 있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결국 시험공부하고, 시험치고, 뭐 그런 과정들이었죠.
dolmusa
자연스러운 흐름으로 월반이 가능한 상황이 된 주변 지인이 월반 여부에 대해 상담을 한다면 어떤식으로 조언해주실지 궁금합니다.
[글쓴이]
월반을 통해서 얻고 싶은 것이 있고 그 이득이 눈에 보인다면 충분히 해볼만합니다. 학업을 떠나서도 교우관계 등의 상황에 대한 적응 자체는 생각보다 어렵진 않았어요. 다만 월반을 통해 얻고 싶은 게 딱히 없다면 굳이 학창시절 1년을 삭제시킬 이유 또한 빈약한 것 같습니다.
1
소주왕승키
혹시나 월반하시고 동기들 호칭문제나 인간관계는 어떠셨나요?

괜히 따돌림 당하거나 괴롭힘을 당하시는 않으셨는지?
[글쓴이]
중1 끝나고 중3 클래스에 진입했을 때는 호칭 문제가 좀 어색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근데 한두학기 지나면서 점점 자연스레 허물어지더군요. 되게 자연스럽게 반존대를 거쳐서 말을 놨었네요. 1학년에서 총 네 명이 월반하면서 반이 흩어지지 않고 같은 반에서 수업을 듣게 됐는데, 혼자가 아니었던 점도 적응에 도움이 됐던 것 같습니다. 좀더 깡있고 사교성 좋은 친구가 친교 루트를 뚫으면 저도 덩달아 따라가고 했습니다. 그래도 학년 끝날때까지 약간의 어색함은 남아 있었고요.

고등학교 때는 다같이 입학한 처지라 그냥 자연스레 다같이 친구였습니다. 호칭도 그냥 이름 불렀고요. 처음부터 나이도 오픈했지만 좀 놀랄 뿐이었지 다들 잘 받아들여줬습니다. 따돌림이나 괴롭힘은 없었습니다.
1
하마소
오 그렇다면 중2병은 겪지 않으셨겠군요?!
...죄송합니다 ㅠㅠ
2
[글쓴이]
저는 괜찮지만 제 왼팔에 잠들어있는 흑염룡이 이런 뻘질문을 용납하기를 힘들어하는 편이니 조심해 주십시오.
『 아아.. 내가 봉인된 것이 30년쯤 전인데도 아직도 이런 질문에는 혈기가 끓는군.. 크큭.. 』
3
Dr.PepperZero
혹시 비슷한 과정을 겪을 수도 있을 사람들에게는 추천하시나요?

살다보니 사실 학교에서 공부로 배운 것보다 어떻게 살아갈지에 대한 고민할 시간을 제 스스로든 타의에 의해서든 만들지 않았다는게 가장 아쉬운 부분 중 하나인데,
조기졸업을 하고 더 빨리 진행하는 과정에선 그런 과정이 더욱 생략되기 쉬울 것 같습니다.
[글쓴이]
위에 dolmusa님한테도 비슷한 이야기를 드렸지만, 눈에 보이는 이득이나 불타는 열정이 있다면 해 보는 것도 좋겠지요.

개인적으로 제 인생에 중2가 삭제됐던 건 아쉽습니다. 중학교 시절의 추억이 많지 않거든요. 결국 나중에 인생경로가 뒤늦게 바뀌면서 남들보다 더 느린 인생을 살게 되었는데요. 학창시절이 줄어들었던 게 거기에 영향이 있었을지도 모르고요. 아무래도 자아 탐색에 필요한 시간이 줄어든 것도 사실이니까요. 그리고 나이 상하관계가 꼬이면서 20대 중후반까지도 '일부'사람들과는 자연스러운 관계를 맺기가 쉽지 않은 면도 ... 더 보기
위에 dolmusa님한테도 비슷한 이야기를 드렸지만, 눈에 보이는 이득이나 불타는 열정이 있다면 해 보는 것도 좋겠지요.

개인적으로 제 인생에 중2가 삭제됐던 건 아쉽습니다. 중학교 시절의 추억이 많지 않거든요. 결국 나중에 인생경로가 뒤늦게 바뀌면서 남들보다 더 느린 인생을 살게 되었는데요. 학창시절이 줄어들었던 게 거기에 영향이 있었을지도 모르고요. 아무래도 자아 탐색에 필요한 시간이 줄어든 것도 사실이니까요. 그리고 나이 상하관계가 꼬이면서 20대 중후반까지도 '일부'사람들과는 자연스러운 관계를 맺기가 쉽지 않은 면도 좀 있습니다.

그래도 뭐든 해볼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을 수 있었던 점, 비교적 틀에 박히지 않은 자유로운 관점을 가지는 데 도움이 되었던 것, 독특하고 특별한 경험들 그 자체 등이 좋은 영향과 기억이었던 것 같습니다.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067 치과업에 종사하고 있습니다. 102 [익명] 23/01/03 3303 0
2066 교수가 되고 싶읍니다 32 Velma Kelly 22/12/30 3021 0
2065 그러고보니 직업이 많았었네요 9 엉덩일흔드록바 22/12/30 2368 0
2064 사범대를 졸업하고 조선소에서 용접을 하다가 광고회사 CD, AE를 거쳐 반도체회사에서 DT를 실행하고 있습니다. 22 망울망울 22/12/28 2645 0
2063 백수 됐습니다 13 엉덩일흔드록바 22/12/28 2575 2
2062 엔지니어링 회사 IT 직무입니다. 11 [익명] 22/12/20 2373 0
2061 일본 삽니다 61 [익명] 22/12/12 3095 0
2060 휴직했읍니다. 33 gohome 22/12/12 2962 3
2059 규산질 비료 살포 중입니다 27 천하대장군 22/12/08 2522 0
2058 푸드뱅크 AMA 21 한겨울 22/12/01 2955 2
2057 롤러코스터의 삶 AMA (인생경험공유) 22 [익명] 22/11/24 2858 0
2056 중학교를 조기졸업했습니다. 43 [익명] 22/11/21 5154 0
2053 Macbook pro 14 (2442) 애플스토어로 온라인 신규구입했습니다 7 mathematicgirl 22/11/10 2351 0
2052 비행기 퍼스트클래스 10번 타봤습니다. 23 그저그런 22/11/09 3714 0
2051 점봐드립니다 Season 6: in the middle of a great storm 95 T.Robin 22/11/09 3566 4
2050 콩 깝니다 24 천하대장군 22/11/04 5262 1
2049 셋째의 아이콘이지만 애는 둘입니다. 39 카리나남편 22/11/03 3207 1
2048 건설사 다닙니다 31 [익명] 22/10/30 3232 0
2046 결혼정보회사를 통해 28번째 소개팅을 앞두고 있습니다. 29 [익명] 22/10/27 3653 0
2045 OTT 업계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30 [익명] 22/10/21 2816 0
2044 가상인간을 만들고 있습니다. 26 메타휴먼 22/10/21 2678 0
2043 전문자격사 취득을 희망하는 공무원입니다 16 [익명] 22/10/16 2503 0
2041 아이폰 14 ProMax 사서 잘 쓰고 있습니다 26 Leeka 22/10/11 2449 0
2040 실리콘밸리 스타트업 한국지사 오퍼받았습니다 6 [익명] 22/10/08 2944 0
2039 베이에어리어 스타트업 개발자 오퍼받았습니다. 11 [익명] 22/10/08 2721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