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e | 15/06/17 10:30:52 |
Name | damianhwang |
File #1 | Paper.pdf (1.01 MB), Download : 11 |
Subject | XXX선수는 앞 두타석에 안타를 못쳤으니 이번에는 다르다? |
옆동네에서 엄청난 댓글이 달린 글 중의 일부분입니다.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에 실린 논문이 하나 있더군요. "프로야구 경기에서 안타의 독립성에 대한 연구" http://dx.doi.org/10.7465/jkdi.2013.24.6.1421
결론만 말하자면 반전은 없스빈다. 결론적으로 특정 타석의 안타 여부와 이전 타석의 안타 여부는 독립이거나 관련성이 아주 작다고 볼 그런데 정말 우리가 알고 싶은것은 타자의 안타 가능성을 예측하는 모형이긴 합니다. 그 모형을 예측하려면 예상가능한 변수를 다 때려부어서 만들어야 하긴 하겠죠. 포지션, 이닝, 타석, 타수, 지난 경기의 타율 등... 이걸 만들어서 성공하면 비더레의 레전드가 되는겁니다 ^^; PS1: 논문은 전문을 첨부했습니다! 0
|
얼핏 보니 전체 선수를 가지고 다 통계를 돌린거 같은데.. 이렇게 하는게 맞는 지 모르겠네요. 각각 선수별로 따로 해야 하는게 아닐런지.
뭔가 디자인이 너무 간략화 시킨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있긴 있습니다. 결국 이런건 관찰하는 기간이 길면 평균에 수렴하겠지만, 당장의 예측모델로는 부적절하겠죠.
그냥 각 시행이 독립시행이므로 그 다음에도 평균 타율이다..라는 전제는 좀 너무 나이브한게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긴 하네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