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07/29 15:58:45
Name   존보글
Subject   도대체 금(원자재)은 왜 이렇게 오를까
*주의사항 : 원자재 투자는 정말 주의해야 할 것들이 많습니다. 물렸을 때 정말 답이 안나오는 자산군 중 하나가 원자재입니다.
철저하게 헷징의 수단으로만 활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이 글은 저만의 논리일 뿐이지, 시장가격은 절대로 이렇게 명쾌한 논리대로 돌아가지 않습니다. 제가 전문가가 아니니까 역으로 이런 글을 쓸 수 있다고 생각하십시오. 제 논리가 깨지면 저는 크게 털릴 수 있습니다. 그나마 며칠 운좋게 올라서 다행이죠.


곳곳에서 금이 사상 최고가라고 난리입니다. 네, 실제로 사상 최고가이고, 이 글을 쓰는 중에도 어제보다오른 금액에 거래중입니다. 거의 오늘의 고점이 내일의 저점인 수준이죠. 좀더 원자재 붐을 실감하고 싶으시면 은을 보시면 됩니다. 거의 정신이 나간 수준이죠. 단 8거래일만에 20% 이상이 올랐습니다. 개별주도 이렇게 오르는 거 찾기 쉽지 않습니다.

도대체 왜 이럴까요? 주가가 이렇게 오르면 안전자산인 금은 내려야 하지 않을까요? 인플레이션에 원자재가 오른다던데, 제로금리인 지금 금은 왜 오를까요? 아니 주식 채권 금 다 오르면 헷지가 뭔 소용이 있는걸까요? 매우 혼란스럽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처음 보는 현상이고, 저도 마찬가지이며, 저도 잘 모릅니다.
다만 제가 지난 주중에 금/은을 포트폴리오에 20% 편입하기로 한 결정을 내린 이유에 대해서만, 즉 제 나름대로의 논리만 이야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이 상황을 '채권이 자기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고 정리했습니다. 물론 채권에 몰려있는 돈도 사상 최대입니다. 하지만 현재 미국채 금리는...다들 아시다시피 실질적으로는 제로에서 마이너스에 가깝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헷징을 위해 채권에 계속 돈을 투입한다? 글쎄요... 물론 채권 가격이 금리만 갖고 움직이는 것은 아니지만, 좀 절망적인 것도 사실이죠. 그래서 주식과 상관관계가 낮은 자산군인 원자재, 그중에서 금으로도 돈이 많이 몰리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아니 유동성이 그렇게 많다는데 주식으로 그러면 많이 가지 않을까요? 하는 생각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미 주식시장은 오를 대로 올랐죠. 한국만 해도 코로나 이전보다 주가가 위죠? 미국도 나스닥 기준으로는 사상 최고가를 찍고 잠시 내려온 상태까지 올라와있는 상태입니다. 아무리 유동성이 좋더라도 지금의 주가는 정당화하기가 좀 힘들죠.

게다가 달러 인덱스까지 약세입니다. 이건 해석하기 나름인데, 현재 최고 강한 화폐는 유로화입니다. 그런데 유럽 경제가 강한가요? 유럽 주가가 쭉쭉 오르고 있나요? 이건 누가 봐도 아니죠. 그러면 유로화가 강한 게 아니라 달러가 정말 약한 겁니다. 흔히 화폐가치가 떨어지면 그걸 보고 해외자본이 들어온다고 하지만, 그건 의도적으로 약달러를 할 때입니다. 2016~19는 미국 경제가 다른 나라에 비해 괜찮고 금리도 높은데 의도적으로 약달러까지 취해서 미친듯이 돈을 끌어모았죠. 2020년 현재는 미국 금리가 가장 낮은편에(최소 유럽과 다를 것도 없는 수준) 경제까지 가장 안좋습니다. 이건 진짜로 달러가 약한 겁니다. 이래서 달러 외 표시자산(즉 미국 외 자산군)이나 원자재로 돈이 몰리는게 아닌가 하는 겁니다.

현재 미국의 기축통화 패권은 내부에서조차 의심받고 있는게 아닌가 싶을 정도입니다. 골드만삭스는 대놓고 달러 패권에 대해서 경고를 한 상태고, 블랙락의 CEO인 래리 핑크조차 6월 말부터 대놓고 '신흥국 주식을 사세요'하고 다닙니다. 그런데 미국은 울며 겨자먹기로 달러를 계속 풀어야 합니다. 2차 추경 규모가 1조 달러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시장에서 요구하고 있는 컨센서스 평균인 1조 5천억 달러보다 한참 모자랍니다. 민주당은 대놓고 3조 달러안을 요구하며 다투고 있죠. 제 기준으로 달러 인덱스가 지금보다 더 오를 일은 없습니다.

그렇게 되면 달러 패권은 계속 금이 갈 것이고, 중국을 비롯한 신흥국으로 돈이 더 빠져나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저는 결국 지금의 제로금리 환경+코로나 최대 피해로 인해 달러가 계속 약해질 거라 생각했습니다. 더 나아가서, 미국이 이걸 용납하지 못하고 금리인상이든 뭐든 다음 행동을 할 것까지 예상중입니다. 금리는 함부로 올리긴 힘들테니 중국과의 분쟁을 어떻게든 만들려고 노력중인데, 구호로만 그치고 있지요. 저는 한번쯤은 미국이 스태그플레이션을 무릅쓰고 인플레이션을 단행시킬거라고 생각을 분명히 하고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원자재는 지금 가격은 귀여운 수준으로 상승할 겁니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이건 지극히 저의 주관적인 견해이고, 필자의 경제학 수준은 학부생 평균보다도 못합니다. 애초에 경제학은 원론 수업 한번 들은게 전부입니다. 그냥 제가 원자재에 투자한 이유를 정당화하는 정도라 보시면 될 듯합니다. 이런 시나리오를 들고 현재 금/은을 보유중이며, 이 시나리오가 깨진다고 판단되면 즉시 은은 매도할 생각입니다(금은 계속 헷징으로 보유).



3
  • 금나와라 뚝따


맥주만땅
제가 생각하는 금과 은

- 금: 인플레이션에 대응하는 교환가능한 재화
- 은: 금이 오를 때 잠시 널뛰는 재화.
1
존보글
그래서 은은 아니다 싶으면 바로 뺄 준비중입니다.
은하노트텐플러스
금이 오르는 이유는
지금 예상 가능한 그 어떤 시나리오에서도 금이 떨어지는 시나리오가 없기 때문입니다.

다른 자산들은 시나리오별로 오르기도 하고 떨어지기도 하는데
금은 어떤 시나리오에서도 오릅니다.

화폐가 타락했다는 이야기겠지요.

*유일하게, 그나마 생각해 볼 수 있는 금이 하락하는 시나리오는
올 2월~3월의 시장이 다시 재현되어 자금시장 경색으로 모두가 달러를 찾을 때 정도를 생각해 볼 수 있는데
미국 정부 및 연준에서 돈 푸는 모양새를 보건데
이 시나리오가 현실화 될 가능성은 매우 낮아보입니다...... 더 보기
금이 오르는 이유는
지금 예상 가능한 그 어떤 시나리오에서도 금이 떨어지는 시나리오가 없기 때문입니다.

다른 자산들은 시나리오별로 오르기도 하고 떨어지기도 하는데
금은 어떤 시나리오에서도 오릅니다.

화폐가 타락했다는 이야기겠지요.

*유일하게, 그나마 생각해 볼 수 있는 금이 하락하는 시나리오는
올 2월~3월의 시장이 다시 재현되어 자금시장 경색으로 모두가 달러를 찾을 때 정도를 생각해 볼 수 있는데
미국 정부 및 연준에서 돈 푸는 모양새를 보건데
이 시나리오가 현실화 될 가능성은 매우 낮아보입니다...
3
존보글
비슷한 의견입니다. 가장 노리스크에 가깝다고 생각해서 들어갔습니다.
아직 랠리 시작조차 안했다는 의견입니다.
훗 값이 떨어질 자신이 없군요.
근데 난 안가지고 있군염..
그냥 캐쉬는 다 금으로 바꿔놓고 있는게 젤 나을 것 같아요..
주식에 의한 재화 투자 및 금과 은의 가격변화에 대해 관심있으신 분들은 보드게임 '블랙 프라이데이' 를 즐겨보세요!
1
사악군
금 ETN사면 되는 각입니까?
(농담으로 던진 건데 혹시 글쓴 분 스트레스받지는 말아주세욥..ㅎㅎ 투자는 자기책임 자기판단하에!)
존보글
한국에서는 krx 금...을 보시면 되긴한데 무조건 오른다는 보장은 금물입니다.
2013년에 금은 아주 개박살이 난 적이 있는데 그것도 보시고 여러 주의사항을 보십...

저는 ETN은 종류 막론하고 전혀 권장드리지 않습니다. ETF와 ETN은 결정적인 차이가 있어요.
사악군
오 그렇군요..? 어떤 차이인지 여쭤봐도 될까요?

그럼 금 포트폴리오의 형태는 금 ETN은 아니고 금현물계좌나 ETF형태로 구성하신건가요??
존보글
저야 미장이니 iau와 slv로 했지만 한국에서는 금은 krx 금으로 주로 할겁니다.

ETN은 해당 지수를 추종하는 상품을 전혀 보유하지 않고, 그 지수만 추종하는 상품입니다. 철저하게 발행한 해당 회사 신용만 보고 가는 상품이에요.
1
사악군
아 미장을 하시는 거군요. ETN을 권장하지 않으시는 이유도 이해했습니다. 감사합니다!
맥주만땅
금은 현물로 구입하십시오. ㅋㅋㅋ

가장 좋은 금 투자방법은 중고나라에서 돌반지 구입하는 것 입니다.

부가세를 낼 가능성이 가장 낮고 증여도 자유롭습니다.
1
은하노트텐플러스
한국에서 가장 좋은 금 투자 방법은 KRX 금시장에서 금 현물을 직접 매입하는 겁니다.

양도소득세 면세에,
거래도 MTS 로 가능합니다 (한투에서 가능).

HTS 로 거래할 경우에는
10개 넘는 증권사 HTS 에서 가능하고요.
2
사악군
이거 다 팔랑팔랑해 지는데요..? ㅎㅎㅎ
존보글

다만 금은 역사적으로도 변동성이 대단히 심한 자산군임을...
(현재는 저기에서 2011년보다도 더 위로 치고 올라간 상태입니다)
슈카에선 미중 무역 분쟁의 가속화 때문이라던데.. 흠흠
다크쵸코
코로나발 경제가 정상화 된다면 2년은 걸린다니깐 2년정도는 가지 않을까 싶긴 합니다.

물론 중간중간 꺽여주는 날도 있을꺼 같고,
버핏옹도 금 풋은 짭짤하다 할만큼 언제나 탈출 타이밍을 예의 주시해야하긴 하겠죠.
1
화이트카페모카수정됨
지난번 정으니 꽤꼬닥 했을때 급하게 팔았어가지고
국밥 든든히 먹었는데 제 칭구놈도 같이 따라서
팔았었지만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다고 정으니가 아버지 따라 갈거 같은 느낌이 있다면서 현물로 더 샀었다가 오히려 손해 본걸 보면은 이거도 한타 잡고 뒤로 빼는 습관이 필요한듯 해요.
금이란게 뒤숭숭 하다 싶으면 필연적으로 오른다는게 인간이란 참 비이성적 이라고 생각 함. 존버 하면 안되는 종목
1
어릴 때 금값 올릴려고 연쇄살인 저지르고 다니는 미친놈이 나오는 영활 본적이 있는데

연쇄살인 저지를게 아니고 바이오 회사를 하나 사서 정체불명의 바이러스를 만들어 뿌렸어야...
1
TheLifer
금본위제로의 회귀인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

헤헤 저는 코로나때 인프레이션 올꺼 대비하고 사놨는데 이리됐습니다
3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1046 경제사람들이 생각보다 잘 모르는 집값 상승율 공식 2 Leeka 20/10/13 4561 9
10993 경제우리은행,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대출 금리가 올랐습니다 1 Leeka 20/09/25 5282 0
10983 경제주식투자, 튜토리얼부터 레이드까지 28 기아트윈스 20/09/23 6333 17
10950 경제토스 P2P 결과 14 잘살자 20/09/12 5486 2
10912 경제줌 비디오의 2분기 역대급 실적 24 존보글 20/09/01 5829 1
10895 경제자산배분 투자 소개 31 化神 20/08/28 7080 11
10884 경제사람들이 생각하는 최악의 타이밍에 주식을 사보았습니다. 19 존보글 20/08/26 6081 1
10868 경제[독후감] 세금이란 무엇인가 4 기아트윈스 20/08/17 4863 5
10867 경제intel 풀매수 당겼습니다 7 보리건빵 20/08/17 5201 0
10825 경제도대체 금(원자재)은 왜 이렇게 오를까 21 존보글 20/07/29 5180 3
10816 경제코로나19 관련 거시경제 주요 이슈에 대한 논의 및 시사점 1 이그나티우스 20/07/26 4218 3
10792 경제서울집값은 떨어질 일이 없을 것 같읍니다. 6 Groot 20/07/17 4490 0
10790 경제사람들은 왜 다주택자 투기꾼이 집값을 올린다는 정부의 말을 믿는걸까 73 감자 20/07/17 5709 7
10775 경제[펌] 착한 사장님들 씨가 마른 이유?? 10 Groot 20/07/14 4881 0
10751 경제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한 개인적 평가 13 할머니 20/07/05 5083 20
10749 경제주식투자자라면 부탁드립니다 11 와데 20/07/04 5481 0
10739 경제애플과 인텔에 투자하려고 합니다 23 보리건빵 20/07/02 5532 0
10721 경제124년 역사상 최대의 위기를 겪고 있는 두산그룹 7 토끼모자를쓴펭귄 20/06/27 4737 1
10671 경제ETF 이야기 - 사회책임투자 ESG에 대하여 14 존보글 20/06/10 4605 3
10657 경제지난 주 우리나라 사람들은 미장에서 뭘 많이 순매수했을까 7 존보글 20/06/06 5355 2
10641 경제ETF 이야기 - 3. 원자재 ETF에 대하여... 4 존보글 20/06/02 4724 3
10639 경제현재 한국 개미들은 어떤 미국 주식을 들고 있을까 4 존보글 20/06/01 4882 8
10622 경제미국 S&P 500기준 섹터 구분 4 존보글 20/05/26 4658 11
10613 경제ETF 이야기 - 2.5 - SPY, QQQ 너무 비싸요! 싼거 좀 알려주세요! 존보글 20/05/22 9383 7
10610 경제ETF 이야기 - 2. 나스닥 100 추종 QQQ - 뭐가 그렇게 잘났는데? 4 존보글 20/05/22 5237 3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