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09/06 22:41:08
Name   저퀴
Subject   크루세이더 킹즈 3 리뷰
크루세이더 킹즈 3는 중세 시대의 영주 가문을 번영시키는 목적을 가진 전략 게임입니다. 단순하게 영토를 늘려서 덩치만 키우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제국의 황제가 된다 해도 자신의 권력이 약하다면 언제라도 무너질 수 있는 중세 시대의 권력 구조를 반영한 독특한 작품이죠. 저는 1편부터 시리즈 전부를 해봤는데, 깊게 플레이한 건 아니었으니 아마 전작과 비교하더라도 잘못 알거나, 누락해서 설명하는 부분이 있을 겁니다.

3편도 시리즈가 내세우는 방향성은 고스란히 계승했습니다. 이웃 동네라고 아무 이유도 없이 침략할 수 없고, 내가 원한다고 마음대로 자식에게 작위와 봉토를 물려줄 수 없죠. 대다수의 전략 게임이 양적으로 팽창해버리면 걷잡을 수 없이 게임이 지루해지기 마련인데 크루세이더 킹즈는 가문의 상속권을 이용한 견제 장치가 효과적으로, 또 매력적으로 적용해서 길게 플레이할 동력을 줍니다. 이런 부분은 3편에 와서 더 강력해지기도 했죠. 2편은 문화권에 따라서 다양한 상속제를 도입했기 때문에 안정적인 권력 승계도 처음부터 가능한 경우도 있었거든요. 그런데 3편은 어떤 가문을 고르더라도 분할 상속이 강제되도록 디자인되어 있습니다. 전 이게 나쁘진 않더군요.

다만 다르게 말하면 3편의 아쉬운 점으로는 모든 문화권과 종교를 플레이해볼 수 있도록 허용해준 건 좋은데, 막상 2편만큼의 차이점을 느끼기가 힘듭니다. 여러 가문으로 플레이해봤는데 딱히 새로운 경험이랄 게 없어요. 물론 2편에선 크루세이더 킹즈란 제목답게 오로지 서구 기독교 문화권만 플레이할 수 있었고, 나머지는 죄다 유료로 구매해야 하는 DLC긴 했죠. 그래도 본무대인 유럽에서 크게 벗어나는 중동 너머의 아시아면 몰라도 이슬람 문화권은 좀 더 차별화했으면 하는 바람은 어쩔 수 없이 생깁니다.

반면에 개발사인 패러독스 스튜디오의 최근작들 중에선 출시 직후의 완성도는 가장 훌륭합니다. 미완성된 게임에 불과했던 임페라토르 롬, 2차 세계 대전을 하는 느낌이 전혀 안 들었던 하츠 오브 아이언 4에 비하면 크루세이더 킹즈는 매우 잘 잡힌 게임입니다. 특히 2편의 최신 DLC였던 홀리 퓨리에 있었던 기능은 그대로 3편에 와서 DLC 없이 들어가면서 이 게임의 주요 요소인 종교 시스템이 꽤 괜찮게 구성되어 있기도 해요.

물론 2편의 DLC가 매우 많았고, DLC와 동반된 업데이트가 누적되면서 완성도도 그만큼 올랐으니, 새로 시작하는 3편이 2편을 오래 플레이해본 유저 입장에선 아쉬울만합니다. 저는 2편의 DLC를 모두 체험해보지도 않았는데도 그런 생각이 계속 들었거든요. 당장 떠오르는 것만 해도 아이템, 불가사의 건축, 기사단이나 수도회 같은 단체는 3편에서 찾아볼 수 없습니다. 그렇다고 3편의 완성도가 2편에 비해 많이 부족하다고 단언할 수도 없긴 합니다. UI나 UX, 그리고 비쥬얼이 그런 예에 속하죠.

그 외에는 출시 직후의 완성도에서 더 지적할만한 부분은 시스템의 허점을 이용한 꼼수가 꽤 보이고, 너무 쉽게 이용할 수 있어요. AI도 무조건 상대방의 수도를 향해 진격하다가 각개격파당하기 일쑤거나, 종교 시스템에 여러 종파가 있던 점을 3편도 바로 계승한 건 좋은데 AI가 대응을 못해서 플레이할 때 김이 새는 감이 있다거나 하는 점은 보강해야 하는 밸런스 문제겠죠. 이런 건 이 장르에서 매번 지적 받는 부분이라 크루세이더 킹즈 3만의 문제는 아니라고 봅니다.

패러독스 스튜디오가 DLC를 남발하기로 악명이 높고, 앞서 말했듯이 DLC 개발을 통한 지속적인 사후 관리가 누적된 전작과 비교하면 크루세이더 킹즈3는 꼭 필요한 부분만 일단 가져다 둔 수준이긴 합니다. 특히 동쪽으로 더 확장된 맵은 굳이 그럴 필요가 있었나 싶을 정도로 차별점이 없어서 아쉽기도 하고요. 그러나 한국 플레이어에 한해서는 공식적으로 한국어를 지원하기도 하고(번역의 품질은 나쁘지 않습니다.) 게임의 토대는 잘 완성되었다 싶어서 이번 시리즈를 처음 접해보거나, 아니면 DLC 없이 2편 정도만 해본 플레이어라면 전 재미있게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늘 그랬듯이 장기간의 DLC를 통한 사후 관리가 이루어지면 더 좋은 게임이 될테고, 지금 당장의 완성도도 다른 전략 게임의 1.0 시절과 비교하면 오히려 크루세이더 킹즈 3가 더 훌륭합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최근을 1년 정도로 줄이면 가장 좋았고요.



9


    듣보잡
    1부터 하셨다니 ㄷ; 2도 걸작이었지만 3은 DLC 보충되면 2 넘어설 것 같습니다.
    와우.. 한국이 등장하고 한글플레이가 된다니..
    아뇨, 한국까진 안 나옵니다. 중국 국경지대 정도가 끝이에요.
    shadowtaki
    정말 소소하게 문화권 별로 차이가 있긴 합니다.
    노르드는 캉스킵이라는 기술이 오픈되어 있어서 해양 약탈에 패널티 없이 가능 하다던지
    비스고닉은 서고트의 유산인가 하는 기술이 오픈되어 있어서 족장 시기에도 상속제도 기술만 오픈하면 고등분할 상속이 가능 하다던지.. 그렇더라구요. 나머지는 공용기술인데 문제는 공용기술에서 문화권별로 발달되어 있는 것이 차이가 있어서 문화 고유의 매리트 보다 잘 발달되어 있는 문화가 더 매리트가 있는 경우가 많더라구요.
    불가사의의 경우도 관습공작령 수도에 공작령 건물을 지을 수 있는 걸로 대충 느낌은... 더 보기
    정말 소소하게 문화권 별로 차이가 있긴 합니다.
    노르드는 캉스킵이라는 기술이 오픈되어 있어서 해양 약탈에 패널티 없이 가능 하다던지
    비스고닉은 서고트의 유산인가 하는 기술이 오픈되어 있어서 족장 시기에도 상속제도 기술만 오픈하면 고등분할 상속이 가능 하다던지.. 그렇더라구요. 나머지는 공용기술인데 문제는 공용기술에서 문화권별로 발달되어 있는 것이 차이가 있어서 문화 고유의 매리트 보다 잘 발달되어 있는 문화가 더 매리트가 있는 경우가 많더라구요.
    불가사의의 경우도 관습공작령 수도에 공작령 건물을 지을 수 있는 걸로 대충 느낌은 살렸고 지역별로 유명한 건물들은 있는 것 같더라구요.
    저도 아이템이나 단체가 빠진 것은 좀 아쉽고 결혼이 무조건 동맹으로 연결되는 것이 좀 그랬어요. 결혼 동맹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면 게임이 좀 많이 쉬워지고 사용을 안하면 결혼동맹이 너무 막강해서 혼자서는 감당이 안되고..
    반대로 분할 상속이 강제되다 보니 상속 이후 쪼그라든 규모 때문에 형제끼리의 전쟁이나 주변국들의 침공이 엄청 적극적으로 들어오는 것은 게임을 어렵게 하긴 해도 실제 같아서 좋았습니다. 2에 비해서 왕국 정도 만들고 나면 좀 지루해지는 느낌이 사라지고 세대가 넘어가면 처음부터 체계를 잡아가야 하는 느낌이 좋았습니다.
    스트레스 개념도 좋았던게 2에서는 트래잇과 상관없이 플레이하는 것에 제약이 전혀 없었는데 3에서는 플레이어에게 어느 정도 강요는 하지만 중요한 순간에는 스트레스를 감수하고 진행하는 것들이 좋았던 시스템이었습니다.
    문화권 문제는 DLC 없이 모두 개방한 선택이고, 전작에선 DLC로 개발해서 풀어낸거라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긴 하고, 공작령 건물로 묶인 건 개인적으로 별로였어요. 결과적으로 건축 선택지를 줄여버렸다고 생각해요.
    shadowtaki
    아 그리고 불가사의는 유명한 것들은 고유 건설지로 있더라구요. 다 찾아본 건 아니지만 켄터베리 대성당(켄트 주교령), 파리에 특수건물 예정지 정도 봤는데 찾아보면 많이 있을 것 같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1327 사회섹슈얼리티 시리즈 (9) - 성추행, 젠더 표현, 그리고 권력 (2) 3 호라타래 21/01/09 4097 9
    11305 게임뉴비가 생기면 틀딱 고인물은 힘이 난다 8 알료사 21/01/01 5154 9
    11242 사회섹슈얼리티 시리즈 (9) - 성추행, 젠더 표현, 그리고 권력 (1) 3 호라타래 20/12/17 4179 9
    11241 역사용병의 역사 1 - 고대편 10 트린 20/12/17 6241 9
    11232 역사맛있게 잘 먹겠습니다. 전투식량의 역사 23 트린 20/12/15 5167 9
    11243 정치폭락중인 스가 내각의 지지율 4 횡빈 20/12/17 5048 9
    11119 사회현 시대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_ 관심에 대해서 9 Edge 20/11/09 4491 9
    11111 오프모임8일 일요일 낮 서울 트래킹벙 43 하얀 20/11/05 5630 9
    11050 음악앉은 자리에서 사라지기 14 바나나코우 20/10/14 4992 9
    11046 경제사람들이 생각보다 잘 모르는 집값 상승율 공식 2 Leeka 20/10/13 4609 9
    13191 일상/생각전화위복이란걸 처음 느껴봤습니다. 8 큐리스 22/09/29 4141 9
    11024 도서/문학선량한 차별주의자 독서후기 7 풀잎 20/10/04 4939 9
    11022 오프모임[마감] 10월 23일 금요일 19시 신도림 참족발 90 류아 20/10/04 5688 9
    10956 정치윤미향 의혹 기소/불기소 사항 살펴보기 7 사악군 20/09/14 5260 9
    10933 게임크루세이더 킹즈 3 리뷰 6 저퀴 20/09/06 6579 9
    10929 여행많은 임금이 너희가 보는 바를 보고자 하였으되 보지 못하였으며 1 아침커피 20/09/05 4508 9
    10878 철학/종교이별의 시간이 정해져 있는 나는 오랜 친구에게.. 25 사나남편 20/08/24 5782 9
    10844 일상/생각'문화적 전유' 개념을 반대하는 이유 3 치리아 20/08/08 6474 9
    10821 일상/생각2차를 앞두고 서둘러 남기는 생각;;;; 4 켈로그김 20/07/27 4693 9
    10819 철학/종교속초, 강릉 여행 가볍게(?) 정리 30 수영 20/07/27 6136 9
    10798 일상/생각천하장사 고양이 아침커피 20/07/21 4064 9
    10778 음악자주 듣는 일본 노래 몇 개 5 유하 20/07/14 5674 9
    10768 일상/생각인국공을 보며. 시간을 변수로 삼지 못하는 인간. 5 sisyphus 20/07/11 5544 9
    10747 일상/생각자위에 관한 옛날 이야기 5 하트필드 20/07/04 6153 9
    10674 게임발로란트 리뷰 12 저퀴 20/06/11 4563 9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