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10/21 16:39:49수정됨
Name   Leeka
Subject   내집 마련을 위하는 초년생들을 위한 짧은 팁들


1. 왜 아파트만 사나요?


-> 빌라, 오피스텔등 보유 시에도 똑같이 '1주택' 으로 처리되서 청약등에 페널티가 와장창 생기기 때문에.  
-> 어떤 집을 사더라도.. '재건축해서 계속 살지 않는한.. 언젠가는 팔고 이사해야 되는데. 아파트가 팔기 가장 쉬움' 



2  청약을 노리는건 어떤가요?

-> 생애 첫 : 소득 100% 이하인데 결혼한 분이라면 이걸로
-> 신혼특공 : 2자녀 이상 낳을 생각이라면 이걸로..


소득이 100% 이상이고 자녀를 낳을 생각이 없거나
or 비혼이면 그냥 매매하세요.


3. 집을 살때, 대출금은 얼마나 나오나요?

* 규제지역 기준. 주택담보대출 실행시. 

->  4억 2천 8백만 이하 : LTV 70% 
-> 4억 2천 8백만 초과 ~ 6억 이하 : 3억
-> 6억 초과 ~ 9억 이하 : LTV 40%
-> 9억 초과 ~ 15억 이하 : 3억 6천 + (9억을 제외한 금액의 LTV 20%)
-> 15억 초과 : 0원

* 집값의 기준은 kb 평균 시세 or 실거래가 중 낮은 쪽 기준입니다.
* 저층의 경우엔 kb 시세에서도 하위를 참고합니다. 

여기에 +@로 회사대출, 가족 찬스, 신용 대출.  을 붙이면 영끌이 됩니다. 



4. 집값 이외에 필요한 돈은?

필수
-> 취등록세
-> 복비
-> 이사비

옵션
-> 인테리어비
-> 보관이사비
-> 법무사비

위 비용이 추가로 필요합니다..

(집값이 비싸질수록 다 비례해서 올라갑니다..
간단하게 4억~5억 사이 집을 산다면.  최소 천만원은 별도로 있어야 합니다.)






16
  • 와 간단명료한 지식을 얻었어요. 감사합니다.
  • 추천!!


순수한글닉
아.......난 못사겠다
15억 초과 0원이 대체 어떤 깡통에서 나온 발상인지..
15억 초과분에 대해 0원이 아니라 그냥 0원이라니 이게 무슨..-_-

그 결과 15억 집이면 4억8천 담보대출이 가능한데 15억 1천 집이면 0이라는
해괴한 현상이 나왔죠...

(9억~15억 구간에서는 9억까지는 LTV 40, 이후 초과분 20이라는
그나마 비교적 상식적인 규제입니다)
4
그러고보니 그냥 보는 분들은 본문 보고 15억의 20%라고 생각할수도 있겠네요.. 살짝 수정을..
듣보잡
제 말이요... 저는 기본적으로 이런 식의 계단식 제도 짜낸 사람을 정상 지능의 인간으로 보지 않습니다.
1
9억미만은 9억까지 9~15억은 15억까지 올리려는 고지능의 인간일 수 있습니다.
1
등기하는 거 부동산에서 소개해준 법무사들 보통 100만원 넘게 받는데.. 셀프등기 하는 게 낫고..
정 안되면 법무통같은 데에 견적올리면 20-30만원에도 할 수 있어요.
대출끼는 경우에는 보통 셀프등기가 불가능하죠ㅠㅠ 아 어렵습니다 내집마련...
어차피 등기는 잔금까지 다 치르고 하는 거라 은행 직원이 대출금으로 잔금내면 등기는 자기하기 나름 아니었나요?
1. 주택담보대출은 보통 본인명의의 주택을 담보로 하기 때문에 소유권 이전 후 대출이 나가는게 맞는 절차임

2. 실무적으로는, 대출이 나가야 잔금을 치르고, 이전이 되기 때문에 은행 소속 법무사가 잔금 치르는 중개사에서 같이 만나 서류 및 이전에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면 대출금을 지급해 주고, 이후 절차가 진행됨. 특히 매도인이 주담대 보유했을 경우 해당 대출이 정상적으로 상환 및 말소되는지 확인하여야 하기 때문에 매도인 대출도 법무사가 직접 상환함

3. 셀프등기의 경우 이전절차 및 기대출 상환 등의 절차가 정상적으로 끝날... 더 보기
1. 주택담보대출은 보통 본인명의의 주택을 담보로 하기 때문에 소유권 이전 후 대출이 나가는게 맞는 절차임

2. 실무적으로는, 대출이 나가야 잔금을 치르고, 이전이 되기 때문에 은행 소속 법무사가 잔금 치르는 중개사에서 같이 만나 서류 및 이전에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면 대출금을 지급해 주고, 이후 절차가 진행됨. 특히 매도인이 주담대 보유했을 경우 해당 대출이 정상적으로 상환 및 말소되는지 확인하여야 하기 때문에 매도인 대출도 법무사가 직접 상환함

3. 셀프등기의 경우 이전절차 및 기대출 상환 등의 절차가 정상적으로 끝날 것이 담보되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대출시 셀프등기 진행이 어려움.

위와 같은 문제들이 있습니다.
1
1은 계약서만 가지고도 주담대가 실행이 되니 원칙은 아닐지몰라도 패스되는 조건이고.. 2,3은 잔금이후 등기를 꼭 법무사에게 맡겨야 한다든지 본인이 하면 안된다는지 그런 제약은 없는 걸로 알고 있는데 제가 잘못 아는 내용이 있나요?
2번, 3번 굉장히 풀어서 썼다고 생각했는데....;;;;;; 위와 같은 이유로 셀프등기시 은행이 리스크헷징이 안되기 때문에 금지시키는 겁니다. 대출이 나갔는데 고객이 셀프등기하다가 당일날 등기가 안되거나, 혹은 매도인이 선순위 대출을 상환을 못하거나 하면 은행이 근저당1순위권자가 아니게 되는 문제가 생길수 있죠.
님이 쓴 글에서 어떤 문제가 생길 수 있는지는 이해가 가는데, 실제로 그런 제약을 준다는 얘기는 못들었습니다. 그리고 법무사가 등기해도 당일날 등기되진 않아요...
... 더 보기
님이 쓴 글에서 어떤 문제가 생길 수 있는지는 이해가 가는데, 실제로 그런 제약을 준다는 얘기는 못들었습니다. 그리고 법무사가 등기해도 당일날 등기되진 않아요...
https://www.teamblind.com/kr/post/%EC%A3%BC%ED%83%9D%EB%8B%B4%EB%B3%B4%EB%8C%80%EC%B6%9C-%EB%B0%9B%EC%95%84%EC%84%9C-%EC%95%84%ED%8C%8C%ED%8A%B8-%EB%A7%A4%EC%88%98-%EC%8B%9C-%EC%85%80%ED%94%84%EB%93%B1%EA%B8%B0-SbdUtKto
실제로 검색해봐도 가능하단 경험담들이 있구요.
https://oneclock.tistory.com/62
더 찾아보니 여기선 또 님과 비슷한 이유로 안된다고 하네요.
은행 바이 은행인가..?
1. 법무사가 등기시 무조건 당일날 등기접수증이 들어오는걸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첫번째 문장은 틀립니다.

2. 은행바이은행이 아니라 진상오브진상 고객이 왜 셀프등기 못 하냐며 난리를 피웁니다. 은행에서 법무사한테 돈쳐먹는것 아니냐고. 셀프등기 안되는 규정 가져오라고. 그런 규정은 없죠. 은행은 셀프등기를 금지하는게 아니라 주담대과정에서 필연작인 리스크를 줄여야 하기 때문에 그런거니까. 아무리 설명해줘도 지점장 나오라고 합니다. 자기 셀프등기 몇건 해봤고 문제없었다고. 은행은 법무사가 돈을 얼마나 벌든 떨어지는것 하나 없는데 ... 더 보기
1. 법무사가 등기시 무조건 당일날 등기접수증이 들어오는걸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첫번째 문장은 틀립니다.

2. 은행바이은행이 아니라 진상오브진상 고객이 왜 셀프등기 못 하냐며 난리를 피웁니다. 은행에서 법무사한테 돈쳐먹는것 아니냐고. 셀프등기 안되는 규정 가져오라고. 그런 규정은 없죠. 은행은 셀프등기를 금지하는게 아니라 주담대과정에서 필연작인 리스크를 줄여야 하기 때문에 그런거니까. 아무리 설명해줘도 지점장 나오라고 합니다. 자기 셀프등기 몇건 해봤고 문제없었다고. 은행은 법무사가 돈을 얼마나 벌든 떨어지는것 하나 없는데 말이죠.
결국 손님에 못이겨 (정말 일부) 셀프등기 해서 몇시까지 오라고 하면, 취급직원은 살떨리게 기다립니다 하루 종일.
법무사도 당일에 실수해서 등기 접수 순위로 문제 터질수 있죠. 그러면? 그분들은 업무상 과실이고 전문가이고, 문제가 타져도 법무사는 보험 + 회사차원에서 배상하면 되는데, 고객이 셀프등기하다 실수하면 누가 배상할까요? 고객이 변상못해서 은행변상떨어지면 취급자,책임자,지점장 나눠서 변상합니다.
괜히 은행에서 셀프등기 꺼려하는 게 아니고, 이런 경험담 블라인드에 한번 올라오면 수백플은 기본으로 불탑니다... 뭐 저도 논쟁하자는건 아니니.. 그냥 너무 생각만 해도 답답하고 진저리나서요. 누가 인터넷에서 셀프등기 된다는데요? 하고 찾아올까봐.
1
제가 님하고 어케 논쟁이 되겠습니까? 진짜로 그런 건지 아닌 건지 제가 뭘 잘못 알고 있는지 궁금해서 여쭤본거죠. 답변 고맙습니다.
1
꿀래디에이터
moqq 님// 은행 법무사한데 디씨 요청해서 했었습니다.
법무통 만큼은 못해도 적절히 가능
6억 이하는 보금자리론이신 것 같고, 4억 2천 8백은 무엇인가요...????? 그리고 보금자리론/디딤돌도 부부합산소득 7천 넘어가면 취급 안되니 결국 ltv 40% 적용받겠네요. 자산 없는 맞벌이 부부들이 집 사기는 점점 힘들어지네요.
보금자리론이 LTV 70% or 3억.. 중 낮은 금액인데

4억 2천 8백까지는 LTV 70%가 3억보다 낮아서.. 간단하게 구분해둔 내용입니다~

말씀하신대로 소득 7천(신혼부부는 8천 5백) 넘으면 40%가 되긴 하는데..
일단 사회초년생이 7천 넘는 경우는 적다고 생각해서....
rustysaber
결혼도 안할거, 오피스텔이나 살 계획입니다. ㅠㅠ
애 둘하고 신혼특공은 큰 관계 없지 않아요?
저는 애 하나인 상황에서 그냥 지원해서 됐는데
마술사
다른게 동점이면 애가 많은 순입니다
화이트카페모카
아파트는 매물로 놓으면 후딱 팔리죠
주택은 1년 2년 존버....우리나라는 아파트를 사랑합니다
좋은글 감사합니다
흑마법사
애가 없고 신혼부부인데 분당 정자동에서 아파트를 사고싶으면 최소 얼마를 가지고 있어야 할까요?
수학에 약해서 계산이 안되네...
김치찌개
좋은팁 감사합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1376 경제경기도 주요지역 국민평수 대장아파트 실거래가들 24 Leeka 21/01/25 5292 1
11364 경제2019년 기준, 연령대 별 연봉 정리 2 Leeka 21/01/23 4666 1
11349 경제전고체 배터리, 언제 투자해야 할까? 13 lonely INTJ 21/01/17 6406 10
11328 경제혼돈의 부동산 시장, 2021년 투자대처법 (김경민 교수) 25 토끼모자를쓴펭귄 21/01/09 4951 2
11319 경제서울 아파트값, 다주택자가 적어질수록 더 많이 올랐다. 9 Leeka 21/01/04 4351 2
11295 경제서울시 6억이하 아파트, 6개월 사이 30%가 사라졌다. 6 Leeka 20/12/30 4841 5
11277 경제보금자리론 기본 금리가 1월에 추가 인상됩니다. 6 Leeka 20/12/26 4388 1
11274 경제주간 아파트 매매가, 전세가 상승률 역대 1위와 동률 기록 5 Leeka 20/12/24 3154 1
11271 경제[펌글] 정부 부동산 정책의 비판적 검토 17 사악군 20/12/24 3749 1
11262 경제ARK INVEST가 제시하는 빅 아이디어 2020 소개 8 lonely INTJ 20/12/22 4170 1
11238 경제'코로나19'가 가져온 소비 행태의 변화 2 - 하나 12 다군 20/12/16 4633 4
11218 경제부린이 2탄 - 주택 매매시 알아두면 좋은 내용들 4 Leeka 20/12/13 4854 8
11185 경제서울전세 18년 8개월, 전국매매 17년 6개월만에 최대치 기록 6 Leeka 20/11/30 4193 0
11183 경제신용대출로 집을 사는것에 대한 규제가 내일부터 시행됩니다. 5 Leeka 20/11/29 4772 0
11177 경제부린이 특집 2호 - 집 매매시 주담대는 얼마나 나올까? Leeka 20/11/27 5389 10
11166 경제1인가구 내집마련 - 보금자리론 활용하기 2 Leeka 20/11/24 4150 10
11157 경제서울 로또 분양. 위례 공공분양이 공개되었습니다 13 Leeka 20/11/20 4590 0
11142 경제한국의 하우징 프라이스에 대한 생각들 35 절름발이이리 20/11/18 5648 20
11139 경제2017->2019년, 2년간 다주택자 16만명 증가. 9 Leeka 20/11/17 4746 0
11134 경제2018년 소득 7분위가 쓰는 부동산 및 종부세에 대한 생각과 이야기 33 rustysaber 20/11/14 6061 7
11132 경제2018년 기준, 한국 근로자들의 금액/분위별 소득 18 Leeka 20/11/14 5612 1
11107 경제과천 지정타 10억 로또에 57만명이 신청했습니다. 5 Leeka 20/11/04 4799 0
11093 경제사회초년생이 집을 장만할 수 있는 정석루트 3종 16 Leeka 20/10/27 4948 4
11079 경제내집 마련을 위하는 초년생들을 위한 짧은 팁들 23 Leeka 20/10/21 6104 16
11054 경제제가 찍은 주식 종목마다 이익을 보네요 37 꿈꾸던돼지 20/10/15 4234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