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21/03/21 22:27:08수정됨 |
Name | Hi |
File #1 | 20year.png (15.6 KB), Download : 18 |
Subject | 180만원 20년 복리는 약 1억... |
바로 아래.. 주식게시판 1시간전 매달 15만원과 저축을 얘기하셔서.. 호기심에 계산해보았습니다. 매달 담배비용15만원을 투자로 돌리면 1년 180만원이니.. 20년동안 매달 15만원을 저축하고.. 복리 10%정도라고 쳤을 때, 계산해보니, 20년후에 거의 정확이 1억이 조금 넘네요... 그러니, 20년후 10억을 만들려면, 1800만원씩 매년 투자를 하고 복리 10%면 10억이 모아집니다. 그런데... 10억을 모을때 이미 1억에서 시작하고 매년 1800만원을 추가 투자하고 복리 10%면, 15년만에 가능해집니다. 2억에서 시작하면, 11.9년이 걸리고... 3억에서 시작하면 9.45년이 걸리며, 4억에서 시작하면 7.45년이 걸립니다. 만약, 아이가 태어났을 때부터 매달 15만원씩 적금투자를 시작하고 운좋게 10%복리면, 성인 만 20살이 되었을때 1억이 되는데... 아이가 20살이 되고 나서도 계속 15만원 적금투자를 하면, 30살에는 3억이 되고... 40살에는 8억이 됩니다. 사실 요즘 아이가 학원 1개만 다녀도 약 매달 15만원은 나가는데, 그냥 학원 1개 줄이고, 20살때 1억을 주고 시작하거나, 30살 사회시작할때 3억 주고 시작하는게 나을수도 있을듯 합니다. 10% 복리는 어떻게 가능한거냐 하시면..과거 s&p500 인덱스의 장기 평균 연수익률이 10%입니다. ps.여기까지 주식게시판에 쓰고나서 쓰기 버튼 누르니, 글이 너무 길다고 티타임에 올리겠냐고 물어봐서, 그냥 버리긴 아까워서 여기 업로드 해봅니다. 지난번에 주식게시판 올릴때도 조금 글이 길어지니, 너무 길다고 안돼서, 뒷부분 글 그냥 날려서 버렸는데, 관리자님 주식게시판 허용 글자수좀 많이 늘려주세요... 2
|
기간은 처음 출시(1926년)이후 평균이라고 하고, s&p500 40 year average로 검색해서 나오는 첫번째인 다음 페이지를 참고했습니다. https://www.investopedia.com/ask/answers/042415/what-average-annual-return-sp-500.asp
인플레이션 제하면 약 7%라고는 하네요..
향후 수익률이 낮아질거란 ... 더 보기
인플레이션 제하면 약 7%라고는 하네요..
향후 수익률이 낮아질거란 ... 더 보기
기간은 처음 출시(1926년)이후 평균이라고 하고, s&p500 40 year average로 검색해서 나오는 첫번째인 다음 페이지를 참고했습니다. https://www.investopedia.com/ask/answers/042415/what-average-annual-return-sp-500.asp
인플레이션 제하면 약 7%라고는 하네요..
향후 수익률이 낮아질거란 전망은 있는데, 마찬가지로 인플레이션 전망도 낮아지고 있으니, 실질 수익률은 비슷할수도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리고, 배당세금도 빠진걸텐데, 개인연금계좌로 돌리면 세금안내고, 그렇지 않더라도 배당율은 높지 않으니 별 차이 없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인플레이션 고려는 빠진게 맞지만, 1년 1800만원이면 사실 개인연금 세제해택 1년 한도랑 정확히 같은데, 인플레이션 있더라도 국민연금/퇴직연금/개인연금 콤보를 하고 있다면 보통의 근로자들은 인플레이션을 고려하지 않아도 충분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인플레이션 제하면 약 7%라고는 하네요..
향후 수익률이 낮아질거란 전망은 있는데, 마찬가지로 인플레이션 전망도 낮아지고 있으니, 실질 수익률은 비슷할수도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리고, 배당세금도 빠진걸텐데, 개인연금계좌로 돌리면 세금안내고, 그렇지 않더라도 배당율은 높지 않으니 별 차이 없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인플레이션 고려는 빠진게 맞지만, 1년 1800만원이면 사실 개인연금 세제해택 1년 한도랑 정확히 같은데, 인플레이션 있더라도 국민연금/퇴직연금/개인연금 콤보를 하고 있다면 보통의 근로자들은 인플레이션을 고려하지 않아도 충분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