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1/04/08 12:54:12
Name   Leeka
File #1   49103f65ea828e70338a1fca7b5ca1ca.jpeg (76.7 KB), Download : 31
Subject   이전 서울시장 선거와 이번 서울시장 선거 비교


- 11년에 21개구 승리
- 14년에 22개구 승리
- 18년에 25개구 모두 승리.. 했던 민주당이

- 21년에 25개구 모두 패배..  로 10년만에 박살이 났습니다.


강남구 - 73.54%
서초구 - 71.02%
송파구 - 63.91%
용산구 - 63.44%
성동구 - 59.76%
강동구 - 59.71%
영등포구 - 58.36%
양천구 - 57.46%
중구 - 56.81%
광진구 - 56.69%
동작구 - 56.55%
동대문구 - 56.16%
종로구 - 55.24%
마포구 - 55.12%
노원구 - 54.60%
도봉구 - 54.33%
강서구 - 53.95%
서대문구 - 53.95%
성북구 - 53.50%
구로구 - 53.21%
중랑구 - 53.10%
금천구 - 51.71%
강북구 - 51.21%
은평구 - 51.21%
관악구 - 50.97%


25개구에서 오세훈이 실제 획득한 표는. 모든 구에서 50%를 넘기면서 전부 과반을 넘기는 기록을 달성했는데요.


서울시민이 천만이라는걸 감안하면. 이 분위기를 내년에 반전 못시킬경우엔 대선도 그대로...



1


    180석 대승 할 때부터 직감 했습니다.

    LOL 에서 왜 이겼는지도 모르는 하위팀 애들이 상대편 내분과 실수로 뜬금없이 대승하면 지들이 강팀인줄 알고 밴픽 꼬여요..... 우틀않 하다가 개떡되고..
    딱 그꼴입니다.
    6
    좋은 분석이네요 ㅋㅋㅋ
    180석 대승이 뜬금없이 대승한건 아니죠... 12년 대선에서 진 뒤에 선거는 민주당이 다 이겼습니다.
    저는 그 승리의 요인이 (물론 민주당이 잘한 부분도 없잖아 있겠습니다만) 국힘의 삽질이 더 비중이 높다고 봐서요.

    민주당이 잘 한 선거도 있고 잘 했던 일도 있지만 전성기때의 보수진영을 이길 수 있었을 만큼 잘 했다는 생각은 안들더라고요. 얻어걸린 것도 많고.

    그런데 그걸 지들이 잘해서 이긴거라고 착각하고 뇌절하면 이 꼴 나는거죠... 저는 조국 사태부터 이것들 진짜 망조가 들었구나 싶더군요.
    5
    불타는밀밭
    저는 승리의 요인을 코로나라는 천재지변으로 봅니다.... 그 당시엔 코로나 방역 제일 잘하고 있다는 분위기였고 재난 극복을 위해 여당에 힘을 실어 주어야 한다는 분위기가 있었어요.

    그렇지만 내년까지 코로나가 남아있으면 그건 악재가 되겠지요.
    1
    샨르우르파
    이거레알

    180석 1년만에 저꼴나는거 실화냐는데, 저는 오히려 180석 얻었기에 저꼴났다고 봐요.
    2
    저도 그렇습니다. 180석이라서 이 꼴이 난거죠.
    나코나코나
    동감합니다. 여소야대였으면 이번 선거 완승했을겁니다.
    흑마법사
    근데 민주당 180석 우승하고 난 뒤의 모습이 영 안좋았듯이
    국힘당이 내년에 저렇게 빨갛게 우승하면 또 뒤의 모습이 영 아닌거 아니에요?
    왜냐면 이놈이나 저놈이나 어차피 도둑놈인데.....아닌가?
    5
    그저그런
    같은 생각입니다. 크게 이겼기 때문에 삽도 크게 풀듯요.
    그점을 김종인 할배가 나가시면서 날카롭게 찝고 가셨는데.. 어떻게 될지는 모르겠네요.
    오늘 아침 김근식 국힘당 전략실장이 추호 할배 다시 돌아오시기는 어려울 것 같다고 하는거 봐서, 추호 할배가 남긴 말이면 일부러라도 안지킬 것 같습니다.
    나코나코나수정됨
    그래서 지금이라도 정부여당이 정신차리면 충분히 가능성도 있고 승부수 걸 거리도 있다고 보는데,
    문재인이고 정부여당이고 지지자들이고 어제 오늘 하는 거 보면 정권교체 전까지는 정신 못차릴 거 같습니다.

    지금 지도부 하마평 오르는 인물 보면 우원식이야 그렇다쳐도 송영길 이름 나오고 그러는데 더 깨져봐야죠.
    주아부
    영 아닌 모습을 보여주기에는 대통령도 여당이고 180석도 여당이어서 두드러진 삽질이 보이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the hive
    제가봤을때 2024년후 2008년 직후를 반복하고 있으면 또 작살나지 싶습니다
    whenyouinRome...
    걍 이나라 정치 현실이 이런거예요.
    단지 적폐혁신 어쩌고 떠들던 놈들이 부동산 튀겨놓고 뻔뻔한데다 마지막 기회였던 LH까지 똑같이 뻔뻔했고 사람들이 보자보자 하다 보자기로 보이니까 더이상 못참는거죠
    6
    불타는밀밭
    너무나도 실망한 사람들이 이제 이재명을....
    1일3똥
    이번 정권은
    이 나라 정치란게 나는 왼쪽 지지해! 오른쪽 지지해! 가 아니라 한번 왼쪽이 했으면 한번 오른쪽이 해야돼.
    라고 하시던 아버지의 말씀이 맞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을 하게 해줬다는 점에서
    개인적으로 큰 의미가 있지 않나 싶습니다.
    박터지게 싸웠던 10년 전의 나놈아. 아빠 말좀 듣지 그랬니.
    칼리스타
    그동안 오세훈이 어떻다 박영선이 어떻다 많은 말이 있었지만 이렇게 결과를 보니 그 둘이 어떤 인물이냐는 나중문제였던 것 같네요. 나경원이든 우상호든 다른 인물이 나왔더라도 결과는 달라지지 않았을 것 같네요. 반대로 오세훈이 2018년에 나왔으면 붙을 수가 없었을테고요. 표면적으로 1대1 승부지만 사실은 팀빨 운빨 게임이었네요. 누가 서울시장이 될 것이냐를 결정하는 선거인데 정작 그게 누구냐보다 어떤 구도 어떤 분위기냐가 더 중요하다는 게 아이러니하네요.
    냄비 근성이죠
    세상의빛
    유권자의 선택을 무겁게 여기는 것이 먼저가 아닐까 싶군요.
    3
    뽑을 사람 없다는 의견도 충분히 많죠. 그리고 꼭 이번 선거의 문제는 아니지만 그냥 연예인 뽑듯이 뽑아버릇 하는 사례도 많고요.

    무엇보다 한국에서 정책보고 뽑는 분보다 니편 내편 관점에서 뽑는 분이 절반 이상이라고 봅니다. 여기서 댓글들 읽어봐도 그렇지 않나요?
    http://m.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989673.html#cb

    오세훈, 정책 74.7% 폐기 또는 수정.

    전 이렇게 정책을 가볍게 보는 후보, 또 그 정책에 무관심한 투표자는 직접적인 민주주의의 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세상의빛
    네 선생님의 말씀에 공감합니다. 후보든 유권자든 공약에 더 관심을 갖고 공약이 더 이슈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꿀래디에이터
    전임 시장님은 성추행이 공약이었나요?
    풉키풉키
    궁금한데 이게 Curic님 말씀과 무슨 연관이 있는거에요?
    꿀래디에이터
    공약/정책이 중요하다고 하시니까
    혹시 그분이 성추행 공약으로 내시고 실천한 것인가 해서요

    그게 아니면 어차피 공약/정책이라는게 큰 의미가 없는거라는걸 국민들이 이미 학습한거죠
    몇 개인들은 본인이 깨어있는 선지자로서 우매한 대중보다 똑똑하다고 생각하지만
    대부분은 시장이, 대중이, 소비자가, 유권자가 판단한게 맞는거죠
    나코나코나수정됨
    지고 나서 오버하는 건 추하지만 정책대결로 가자는 말씀엔 충분히 동감합니다.
    박영선이 이런 걸 공략해서 어떤 정책으로 가는 게 옳으냐고 했어야 되는데
    김어준이랑 손잡고 생태탕 페라가모나 파고 있으니 참패하는 게 당연했죠.

    나름 180석이고 원외 후보 많았을텐데 어쩌다 박영선 같은 사람이 후보로 나왔는지 이해가 안갑니다.
    양측 모두 니편 내편으로 싸웠으니 거기서 거기죠.
    주식하는 제로스
    "시민사회 및 사회적 경제 유관 정책의 폐기 및 수정 주장을 철회하라!"

    서울시 재정에 빨대꼽고 있던 단체들 비명소리가 들리는군요.
    아주 흡족합니다. 이걸 원해서 오세훈 찍은건데 이렇게 해줘야죠.

    폐기한다는 정책 목록 제목들을 봐도

    '서울 424개 동 주민자치제도 혁신'
    '1백만가구 태양광 미니발전소 설치'
    '공공태양광 및 커뮤니티 발전소 확대'
    '대중교통 이용자 위원회 설치'
    '도시농업공동체100 신규추진'
    '선도적 민관 거버넌스 서울민주주의위원회 설치'

    제가 좀 추린건데 아무튼 태양광, 도시농업,... 더 보기
    "시민사회 및 사회적 경제 유관 정책의 폐기 및 수정 주장을 철회하라!"

    서울시 재정에 빨대꼽고 있던 단체들 비명소리가 들리는군요.
    아주 흡족합니다. 이걸 원해서 오세훈 찍은건데 이렇게 해줘야죠.

    폐기한다는 정책 목록 제목들을 봐도

    '서울 424개 동 주민자치제도 혁신'
    '1백만가구 태양광 미니발전소 설치'
    '공공태양광 및 커뮤니티 발전소 확대'
    '대중교통 이용자 위원회 설치'
    '도시농업공동체100 신규추진'
    '선도적 민관 거버넌스 서울민주주의위원회 설치'

    제가 좀 추린건데 아무튼 태양광, 도시농업, 각종 위원회 관련 정책들입니다.

    그리고 비슷비슷한 태양광 어쩌고 정책이 한두개가 아니라 너다섯개
    도시농업도 다섯개, 필요성이 의심스럽고 사업의 구체성이 애매모호한 위원회 정책이 십수개
    중복도 많고요.

    시장 시의회 장악하고 꼼꼼히들 사셨구나 싶습니다.
    2
    BibGourmand
    해로운 정책을 시민단체 배불리려 가볍게 남발해온 전 후보, 저는 그 자를 민주주의의 적이라 봅니다.
    정책이란 과정이 없는 정치라면, 그냥 독재입니다.
    BibGourmand
    없는 것을 만드는 것도 정책이고, 잘못된 것을 되돌리는 것도 정책이지요. 틀린 것을 바르게 하는 것이 정치고요.
    1
    세상의빛
    사실 아쉽죠. 정책이 이슈가 되어서 많은 사람들의 생각이 교환되면서 더 나은 방향으로 갈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현재 정권에 대한 심판의 성격을 갖는 선거가 많아지면, 정책은 그냥 선관위에 내야하는 공약집 그 이상이 아닐테니까요. 금번 보궐 선거는 지금 정권에 대한 불만이 표심으로 나타난 것이라고 봅니다. 그러나 선거 다음날인 오늘
    친여권 인사들이나 여권에서 나오는 반응들은 총선 이후의 행보에 대한 반성이나 질책으로 받아들이기 보다는
    그들 표현으로 기울어진 언론 환경이나 탓하는 것을 보며, 한심하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습니... 더 보기
    사실 아쉽죠. 정책이 이슈가 되어서 많은 사람들의 생각이 교환되면서 더 나은 방향으로 갈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현재 정권에 대한 심판의 성격을 갖는 선거가 많아지면, 정책은 그냥 선관위에 내야하는 공약집 그 이상이 아닐테니까요. 금번 보궐 선거는 지금 정권에 대한 불만이 표심으로 나타난 것이라고 봅니다. 그러나 선거 다음날인 오늘
    친여권 인사들이나 여권에서 나오는 반응들은 총선 이후의 행보에 대한 반성이나 질책으로 받아들이기 보다는
    그들 표현으로 기울어진 언론 환경이나 탓하는 것을 보며, 한심하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습니다.
    제 댓글은 냄비 근성일지라도 그리고 정책에 대한 평가나 지지로서의 투표라 불리긴 아쉬운 점이 있다 하더라도
    표심으로 나타난 여론을 가볍게 생각하면 안 된다는 뜻이었습니다.
    1
    주니파
    니편 내편 관점에서 뽑는 사람이 많다면 항상 비슷한 결과가 나오지 저렇게 극단적으로 변화하는 결과가 나오진 않죠.
    오히려 이번 결과는 우리나라 유권자들이 아직은 상황, 인물, 정책에 따라서 뽑을 사람을 결정했기에 나온 결과라고 봅니다.
    저는 전혀 극단적인게 없다고 보는 것입니다.

    A가 맘에 안들면 B를 뽑고, 다시 B가 맘에 안들면 A를 뽑는다.

    이게 한국에서 일어나는 선거의 거의 전부잖아요?

    무엇보다 이번 선거 기간동안 여전히 정책에 대해 언급하는 것에 비해 니편 내편이 주된 언급이라는 점을 저는 꼬집는겁니다.
    주니파
    선택지가 A, B 밖에 없는 상황에서 A가 맘에 안들면 B를 뽑아야 하고 B가 더 마음에 안들면 A를 뽑아야죠.
    뭐가 냄비 근성이고 도대체 어떤 근거로 정책 안보고 니편 내편으로 뽑는다는 말씀이신지 모르겠어요?
    애초에 지금까지의 행동, 정책, 문제되는 이슈 등을 종합적으로 보고 내편을 할지 결정하는거 아닌가요?
    단순히 민주당이어서 국힘당이어서 뽑는 사람도 있겠지만 적어도 수도권에서는 그렇지 않은 사람들이 많은 것 같은데요?
    바로 1년전 선거에서 과반수를 한참 넘는 지역구가 민주당을 뽑아줬는데 1년만에 모든 지역구에서 야당으... 더 보기
    선택지가 A, B 밖에 없는 상황에서 A가 맘에 안들면 B를 뽑아야 하고 B가 더 마음에 안들면 A를 뽑아야죠.
    뭐가 냄비 근성이고 도대체 어떤 근거로 정책 안보고 니편 내편으로 뽑는다는 말씀이신지 모르겠어요?
    애초에 지금까지의 행동, 정책, 문제되는 이슈 등을 종합적으로 보고 내편을 할지 결정하는거 아닌가요?
    단순히 민주당이어서 국힘당이어서 뽑는 사람도 있겠지만 적어도 수도권에서는 그렇지 않은 사람들이 많은 것 같은데요?
    바로 1년전 선거에서 과반수를 한참 넘는 지역구가 민주당을 뽑아줬는데 1년만에 모든 지역구에서 야당으로 바뀐게 극단적인 변화가 아니면 어떤게 극단적인 변화일까요?
    선거를 할때 당과 후보들이 네거티브 전략을 일삼는건 그 후보와 당의 문제이지 어떤 의미로 유권자가 냄비이니 정책도 안보고 뽑는다니 하는 말을 하는지 모르겠어요? 심지어 그 네거티브 일변도 전략을 펼친 당은 압도적으로 졌고 그나마 토론에서 정책얘기를 1이라도 더한 후보가 뽑혔는데요.
    제가 보기엔 '아몰라 유권자들 정책도 안보고 그냥 자기편 뽑잖아 냄비들' 이라고 하는거 밖에 안보여요. 도대체 뭘 꼬집는다는건지...
    주식하는 제로스
    혹시 토론회 보셨습니까? 누가 정책얘기하려고 하고 누가 내곡동 생태탕 얘기하려고 하는지?
    2
    마카오톡
    유권자의 선택이 변한것은 냄비근성이며
    유권자의 선택이 그대로이면 니편내편이라서 찍는
    가불기 인가요?

    어떤 부분에서 문제의식을 느끼시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냥 선거결과가 맘에 안드시는거같긴합니다
    3
    저는 유권자의 선택을 언급하지 않았고, 제가 문제 삼는 것은 별 생각없이 투표하고 출마하는 것을 문제 삼는 겁니다.
    제 생각에 여기서 별생각없는 분은 님이세요.
    별 생각없이 냄비라고 했다가
    별생각없이 편에 따라 투표한다했다가
    그래놓고도 또 '별생각없이' 유권자의 선택을 언급하진 않았다고 하시네요.

    본인 말부터 맞추고 와야 상대와 의견을 나누지 않겠습니까

    그 외 직접민주주의의 적이란 표현도 별 생각없이 쓰신거같고 꼬집자고 보면 별생각없이 하신말이 한두개가 아닙니다.
    9
    그저그런
    선거 패배로 실망하신 마음은 알겠습니다만, 본인 제외 다른사람들을 폄훼하는게 도움이 되진 않을것 같습니다.
    3
    Brown&Cony
    민주당에 빡쳐서 당선된 서울시장이 오세훈이라는 현실에 그저 어이없네여 ㅋㅋㅋㅋ
    결국 돌고돌아 오세훈인가 ㅋㅋ 다른 후보는 없었나 ㅋㅋ
    3
    정말놀라운가격
    아마 '오세훈'이라는 개인이 깎아먹은 성적이 저거일겁니다.. ㅋㅋ
    2
    BibGourmand
    막대기를 세워놨으면 표를 더 받았을 거라는 척척석사 선생님의 한 마디가 가슴을 후벼파더군요 ㅋㅋㅋㅋ
    명절은추석
    오세훈 간단하게 정리한 민정좌 그립읍니다...
    할머니
    시대가 변하면서 오세훈이 나쁘지않은 선택지로 바뀌었거든요. 개발없이 아파트값을 잡을 수 없다고 사람들이 믿게 된 순간 말이죠. 새빛둥둥이나 DDT도 별로인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괜찮고 말입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146 정치이종구, 연봉 2천만원 이상 근로자에 연 12만원 소득세 부과 법안 발의 19 empier 17/08/22 4543 0
    8811 의료/건강이제서야 2차 임상실험이네요. 12 집에가고파요 19/01/27 5231 12
    12911 게임이제는 무섭기까지 한 게임패스의 확장 15 저퀴 22/06/13 4424 0
    4781 일상/생각이제, 그만하자. 13 진준 17/02/06 5041 0
    11141 일상/생각이제 확진자가 하루에 200명을 웃도네요 5 필교 20/11/17 4574 0
    10463 일상/생각이제 완전 봄이네요 2 필교 20/04/06 4549 0
    14706 일상/생각이제 옛날 팝송도 재미있게 공부할수 있을것 같네요. 큐리스 24/05/27 1722 2
    12100 사회이제 범인을 찾아보자 (검단신도시 장릉 관련) 51 leiru 21/09/20 5122 6
    10045 음악이제 더 이상 강아지가 아닌 너에게 4 바나나코우 19/12/02 5473 6
    8918 기타이제 군대 전역하고 복학하는 새내기(?)입니다 5 rarbg 19/03/01 4121 0
    6639 기타이제 8일 정도 남았군요. 5 1hour10minuteidw 17/11/23 5307 0
    14800 영화이정재 때문에 스타워즈를 봤습니다. 8 닭장군 24/07/21 1923 1
    6756 철학/종교이정도면 안정된 직장... 18 CONTAXS2 17/12/11 6854 0
    7335 일상/생각이정도면 사는데 문제 있는거 맞죠? 3 덕후나이트 18/04/05 4689 0
    11563 정치이전 서울시장 선거와 이번 서울시장 선거 비교 47 Leeka 21/04/08 5666 1
    5677 음악이적 - 그땐 미처 알지 못했지 4 벤젠 C6H6 17/05/20 4099 2
    7308 스포츠이재형 캐스터 홍차넷 인사 27 Toby 18/04/01 5508 22
    15152 정치이재명이 할 수 있을까요? 73 제그리드 24/12/23 2564 0
    4804 정치이재명이 싫은 이유? 2007년에 그가 한 "짓" 때문에. 38 Bergy10 17/02/08 8492 14
    15140 정치이재명은 최선도, 차선도 아니고 차악인듯한데 43 매뉴물있뉴 24/12/19 2572 7
    13107 정치이재명에 대한 개인적인 감정과 뇌피셜 29 Picard 22/08/25 4175 3
    13106 정치이재명과 이낙연에 대한 그냥 그런 생각(수정) 43 셀레네 22/08/24 4749 0
    12585 정치이재명 캠프조직 김만배 녹취록 여론조작 지시 내부고발 41 집에 가는 제로스 22/03/07 5358 4
    15069 정치이재명 위증교사 1심 판결 재판부 설명자료 5 과학상자 24/11/26 1575 5
    14908 정치이재명 감상문 41 매뉴물있뉴 24/09/08 2771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