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21/09/16 12:52:27 |
Name | Leeka |
Subject | 적당한 수준의 실거주 1주택을 추천하는 이유 |
1. 실거주 1주택을 샀는데 집값이 내려갈 경우 2. 무주택으로 버티고 있는데 집값이 올라갈 경우 2가지 케이스에서. 리스크가 월등히 큰건 후자입니다. 전자의 경우. '보금자리론 30년 고정금리' 같은. 감당가능한 수준에서 집을 구입했다고 하면 '매년 이자를 얼마 내야 되는것 + 안정적인 거주지' 등이 '상수' 가 됩니다. 즉 집값이 내려가면 '기분이는 겁나 안좋고 (마치 공짜폰을 호갱당해서 100만원에 구입한거 마냥..)' 쓰리긴 하지만 내 삶 자체가 변하진 않습니다. 매달 나가는 이자도 정해져있고, 내가 사는곳도 정해져있고. 이건 이미 실거주 1주택을 택한 순간에 결정된 내용이니까요. 후자의 경우, 집값이 과거나 지금처럼 뛰어버리게 되면 '당장의 플랜 자체가 다 꼬입니다' 전세/월세 같은것도 급격히 오르기 때문에. 같은 환경을 유지하려면 '돈을 훨씬 더 많이 마련해야 되고' 아니면 더 안좋은 환경으로 변하면서 출퇴근시간이던, 집의 크기던. 뭐던 무언가를 포기해야 하거든요. 실거주 1주택은 자금 계획을 잘 세워서 결정하면 '집값이 오르던 내리던 그대로던' . 기본적인 삶은 변하지 않습니다. 무주택은 '집값이 내리면 이득을 볼 수 있지만 / 집값이 오르면 그대로 폭격을 맞게 됩니다 ' 실거주 1주택은 그래서 사채끌어다쓰고 뭐 감당안될만큼 땡기는게 아니라면 기본적으로 '가장 안정적인 중립 포지션'을 택하는게 되고. 그런 의미에서 실거주 1주택이 가능한 수준까지 왔다면. 하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그게 불가능한 초년생이거나. 다른 케이스라면.. 공부를 하면서 청약이던, 조정기던, 거품이 터지던. 하는 시기에 들어와야 되지 않을까 싶고요.. 가끔은 슈카같은 분들도 무주택인데요.. 하지만 그런분들은 집살돈으로 투자해서 집값 상승분 이상의 투자수익을 벌기 때문에.. 무주택을 해도 상관이 없는 분들인거고.. 대부분의 사람은 투자 수익을 그만큼 유지하기 쉽지 않습니다[...] 여러 글들을 보다보니. 돈이 있는데도 구축이라서.. 등등의 이유로 계속 거르는 분들이 많은데 (특히 신혼 첫집 로망) 청약 당첨 가시권인 분들이라면 예외적으로 전세나 월세 살면서 청약으로 내집 짜잔!! 을 추천합니다만.. 그게 아니라면.. 다시 고민해보시길 바라면서.. 청약의 웃픈점은 상승기에는 다들 청약을 넣기 때문에 잘 안되고 실제 청약이 잘될때는 하락기라... 점수가 낮아도 별 지장이 없다는 점이.. 4
이 게시판에 등록된 Leeka님의 최근 게시물
|
저 서울은커녕 경기도도 핫하다는 지역들은 안본지 오래입니다ㅋㅋ
저는 배우자가 일을 계속할 생각이 없어 외벌이될거같아 쫄리네요. 맞벌이일때 대출을 땡기고싶어도 어느정도는 상환이 되어야 땡기는데 ㅠㅠㅠ
저는 배우자가 일을 계속할 생각이 없어 외벌이될거같아 쫄리네요. 맞벌이일때 대출을 땡기고싶어도 어느정도는 상환이 되어야 땡기는데 ㅠㅠㅠ
정부 정책을 잘 알아보시면 30년 만기 고정금리 대출이 있을거에요.
30년 만기면 인플레이션 감안하면 없는거랑 마찬가지에요.
https://youtu.be/E6qln4-Y0Bc
30년 만기면 인플레이션 감안하면 없는거랑 마찬가지에요.
https://youtu.be/E6qln4-Y0Bc
다섯식구 외벌이 가장도 부자 될 수 있을까요?
저도 청약 전문가는 아니라서.. (애초에 청약이 택도 없다보니 조기에 포기해서 잘 모릅니다 -.-;;
그래서 추첨제 줍줍빼곤 관심이 없어서 몰라요..)
그래서 추첨제 줍줍빼곤 관심이 없어서 몰라요..)
기본적으로 미래를 예상하고 세운 인생경로가 유지가 되느냐 유지되지 않는가라는
근본적이고 중대한 차이가 있고 그게 안정성이죠. 그 안정성중 법적인 부분이 법적안정성이고.
이 정부의 부동산 정책 특히 임대차3법/대출제한이 욕을 먹는 것은 그 예상경로를
근본적으로 뒤흔들어 버리고 불측의 손해와 이익을 흩뿌렸기 때문입니다.
근본적이고 중대한 차이가 있고 그게 안정성이죠. 그 안정성중 법적인 부분이 법적안정성이고.
이 정부의 부동산 정책 특히 임대차3법/대출제한이 욕을 먹는 것은 그 예상경로를
근본적으로 뒤흔들어 버리고 불측의 손해와 이익을 흩뿌렸기 때문입니다.
뭐 꼭 지금! 사야한다는 것은 아니지만
저도 이 말에 동의합니다.
필요하면 1주택정도는 걸어놔야한다고 생각해요.
실거주를 해야하는데 앞으로 집값이 떨어질거야! 하면서 안 사고 버티는 것도 좀 그렇죠.
좀 떨어지는 걸 각오하고서라도 실거주 목적으로 1주택 하나는 꼭 사야합니다.
제가 2018년에 지금 사는 곳으로 이사왔는데 그때 전세가 5억 미만이었어요.
그런데 지금 21년 현재 전세 8억입니다.
3억을 마련할 수 없으면 다른 더 저렴한 곳으로 이사가야한다는 얘기지요.
그런데 이 3년동안 집값이 쭈욱 상승세였냐하... 더 보기
저도 이 말에 동의합니다.
필요하면 1주택정도는 걸어놔야한다고 생각해요.
실거주를 해야하는데 앞으로 집값이 떨어질거야! 하면서 안 사고 버티는 것도 좀 그렇죠.
좀 떨어지는 걸 각오하고서라도 실거주 목적으로 1주택 하나는 꼭 사야합니다.
제가 2018년에 지금 사는 곳으로 이사왔는데 그때 전세가 5억 미만이었어요.
그런데 지금 21년 현재 전세 8억입니다.
3억을 마련할 수 없으면 다른 더 저렴한 곳으로 이사가야한다는 얘기지요.
그런데 이 3년동안 집값이 쭈욱 상승세였냐하... 더 보기
뭐 꼭 지금! 사야한다는 것은 아니지만
저도 이 말에 동의합니다.
필요하면 1주택정도는 걸어놔야한다고 생각해요.
실거주를 해야하는데 앞으로 집값이 떨어질거야! 하면서 안 사고 버티는 것도 좀 그렇죠.
좀 떨어지는 걸 각오하고서라도 실거주 목적으로 1주택 하나는 꼭 사야합니다.
제가 2018년에 지금 사는 곳으로 이사왔는데 그때 전세가 5억 미만이었어요.
그런데 지금 21년 현재 전세 8억입니다.
3억을 마련할 수 없으면 다른 더 저렴한 곳으로 이사가야한다는 얘기지요.
그런데 이 3년동안 집값이 쭈욱 상승세였냐하면 그건 아니었거든요.
2018년에는 주택 시장이 이런 분위기가 아니었어요.
그때 실거주 목적으로 집값 상승하락 이런거 신경 안 쓰고 구입한 친구들은 지금 그때 안 샀음 어쩔뻔...
다른 전세로 옮긴 친구들은 지금 마음이 어떨지..(차마 그 앞에서 집값 이야기를 못함..)
전 이런 부동산 전문가는 아니지만 길게 보면 한 1-20년 사이에 또 집값이 하락하는 때가 올거라고 생각해요.
그런데 그때가 올지 안올지 모르는데 그때 기다려서 집을 사겠다! 이런 건 너무 안일하다고 생각해요.
지금 할 수 있는것을 다 따져보고 앞으로의 상환계획도 세워보고 최대한 괜찮은 주택을 구입해서 가족들이 거주하다가 또 여유가 생기면 다른 더 좋은집을 이사가고... 그게 맞지 않나 싶어요.
저도 이 말에 동의합니다.
필요하면 1주택정도는 걸어놔야한다고 생각해요.
실거주를 해야하는데 앞으로 집값이 떨어질거야! 하면서 안 사고 버티는 것도 좀 그렇죠.
좀 떨어지는 걸 각오하고서라도 실거주 목적으로 1주택 하나는 꼭 사야합니다.
제가 2018년에 지금 사는 곳으로 이사왔는데 그때 전세가 5억 미만이었어요.
그런데 지금 21년 현재 전세 8억입니다.
3억을 마련할 수 없으면 다른 더 저렴한 곳으로 이사가야한다는 얘기지요.
그런데 이 3년동안 집값이 쭈욱 상승세였냐하면 그건 아니었거든요.
2018년에는 주택 시장이 이런 분위기가 아니었어요.
그때 실거주 목적으로 집값 상승하락 이런거 신경 안 쓰고 구입한 친구들은 지금 그때 안 샀음 어쩔뻔...
다른 전세로 옮긴 친구들은 지금 마음이 어떨지..(차마 그 앞에서 집값 이야기를 못함..)
전 이런 부동산 전문가는 아니지만 길게 보면 한 1-20년 사이에 또 집값이 하락하는 때가 올거라고 생각해요.
그런데 그때가 올지 안올지 모르는데 그때 기다려서 집을 사겠다! 이런 건 너무 안일하다고 생각해요.
지금 할 수 있는것을 다 따져보고 앞으로의 상환계획도 세워보고 최대한 괜찮은 주택을 구입해서 가족들이 거주하다가 또 여유가 생기면 다른 더 좋은집을 이사가고... 그게 맞지 않나 싶어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