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1/09/16 12:52:27
Name   Leeka
Subject   적당한 수준의 실거주 1주택을 추천하는 이유

1. 실거주 1주택을 샀는데 집값이 내려갈 경우

2. 무주택으로 버티고 있는데 집값이 올라갈 경우


2가지 케이스에서. 리스크가 월등히 큰건 후자입니다.


전자의 경우. '보금자리론 30년 고정금리' 같은.  감당가능한 수준에서 집을 구입했다고 하면
'매년 이자를 얼마 내야 되는것 + 안정적인 거주지' 등이 '상수' 가 됩니다.

즉 집값이 내려가면 '기분이는 겁나 안좋고 (마치 공짜폰을 호갱당해서 100만원에 구입한거 마냥..)' 쓰리긴 하지만
내 삶 자체가 변하진 않습니다.

매달 나가는 이자도 정해져있고, 내가 사는곳도 정해져있고. 이건 이미 실거주 1주택을 택한 순간에 결정된 내용이니까요.


후자의 경우, 집값이 과거나 지금처럼 뛰어버리게 되면 '당장의 플랜 자체가 다 꼬입니다'
전세/월세 같은것도 급격히 오르기 때문에.  같은 환경을 유지하려면 '돈을 훨씬 더 많이 마련해야 되고'
아니면 더 안좋은 환경으로 변하면서 출퇴근시간이던, 집의 크기던. 뭐던 무언가를 포기해야 하거든요.



실거주 1주택은 자금 계획을 잘 세워서 결정하면 '집값이 오르던 내리던 그대로던' .  기본적인 삶은 변하지 않습니다.
무주택은 '집값이 내리면 이득을 볼 수 있지만 / 집값이 오르면 그대로 폭격을 맞게 됩니다 '


실거주 1주택은 그래서 사채끌어다쓰고 뭐 감당안될만큼 땡기는게 아니라면 기본적으로 '가장 안정적인 중립 포지션'을 택하는게 되고.

그런 의미에서 실거주 1주택이 가능한 수준까지 왔다면.  하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그게 불가능한 초년생이거나. 다른 케이스라면.. 공부를 하면서 청약이던, 조정기던, 거품이 터지던. 하는 시기에 들어와야 되지 않을까 싶고요..


가끔은 슈카같은 분들도 무주택인데요.. 하지만
그런분들은 집살돈으로 투자해서 집값 상승분 이상의 투자수익을 벌기 때문에..  무주택을 해도 상관이 없는 분들인거고..
대부분의 사람은 투자 수익을 그만큼 유지하기 쉽지 않습니다[...]


여러 글들을 보다보니.  돈이 있는데도 구축이라서.. 등등의 이유로 계속 거르는 분들이 많은데 (특히 신혼 첫집 로망)
청약 당첨 가시권인 분들이라면 예외적으로 전세나 월세 살면서 청약으로 내집 짜잔!! 을 추천합니다만..
그게 아니라면..  다시 고민해보시길 바라면서..


청약의 웃픈점은
상승기에는 다들 청약을 넣기 때문에 잘 안되고
실제 청약이 잘될때는 하락기라...  점수가 낮아도 별 지장이 없다는 점이..



4


    켈로그김
    엇... 슈카형이 투자로 수익을 거두고 있었군요...
    하우두유두
    작년 수익이 이미 100프로 넘는다고 라스에서 본거같아요 ㄷㄷ
    구글 고랭이
    슈카는.. 집값 떨어진다고 집을 팔았다가 집값 올랐을때 못 산 케이스로 알고 있슴다..
    그건 사실이긴 한데..

    주식 투자로 버는 수익이 부동산 수익률을 이기고 있는것도 사실이긴 합니다. 올해 방송에서 이야기 했던 내용이기도 하고..
    조지 포먼
    슈카옹 무주택러 였습니까 주식왕이라 여러채인줄 알았다는
    다람쥐
    진짜로 계약금 낼 돈도 없으면 어떡하나요? ㅋㅋㅋㅋ
    하 사람들이 저 돈있는데 청약기다려서 존버하는 줄 아는데 저 진짜 돈 없거든요 ㅋㅋㅋ ㅠㅠㅠㅠ
    사과농장
    이런 말 하면 사람들이 싫어하긴 하지만…
    작은거라도 사놓는게 좋습니다.
    어차피 한번에 [내가 원하는 곳]을 사기는 어렵습니다.
    [들어가서 살고 싶은 곳은 아니지만 많이 오를만한 곳] 같은 물건 -
    요즘 같은 장에서는 재개발 같은 곳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다람쥐
    지방 아니면 못살거같네요^_ㅠ
    2
    오피스텔하세요. 오피스텔은 대출도 많이 나오고 청약 통장도 살려쓸 수 있을 걸요.
    다람쥐
    오피스텔 생숙 두가지 뿐인듯....ㅠㅠㅠ
    할머니
    오피스텔은 하방경직측면이나 상방측면에서 아파트와는 또다른상품이라.. 주식하는거나개낀도낀으로 보입니다..
    주식보단 낫다고 봅니다.. 원룸형말고 아파텔은 이미 아파트처럼 인식된 지 꽤 됐어요.
    얼마전에 홍남기도 오피스텔 추가 공급하고 바닥난방까지 하겠다고 얘기했구요.
    물론 서울기준으로 생각하시면 쓸만한 아파텔이 별로 없지만요..
    사과농장
    어흑…ㅠㅠ 꼭 서울 아니더라도 경기도나 인천 같은 곳도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서울/경기/인천 외의 [수도권이 아닌 지방]은 개발성이 오래 지속되기 어려우니 초심자에게는 추천하지 않습니다.
    향후 꾸준한 근로소득이 예상되시므로, 되도록이면 작은거라도 한채 마련하시길요…
    다람쥐
    저 서울은커녕 경기도도 핫하다는 지역들은 안본지 오래입니다ㅋㅋ
    저는 배우자가 일을 계속할 생각이 없어 외벌이될거같아 쫄리네요. 맞벌이일때 대출을 땡기고싶어도 어느정도는 상환이 되어야 땡기는데 ㅠㅠㅠ
    1
    요일3장18절
    정부 정책을 잘 알아보시면 30년 만기 고정금리 대출이 있을거에요.
    30년 만기면 인플레이션 감안하면 없는거랑 마찬가지에요.

    https://youtu.be/E6qln4-Y0Bc
    다섯식구 외벌이 가장도 부자 될 수 있을까요?
    사과농장
    아… 네 ㅠㅠ
    재개발은 재건축과 달리 금액이 낮은 것도 많긴 합니다… 참고가 되시길요 ㅠㅠㅠㅠ
    하우두유두
    선택지가 2개인거같아요.
    1. 정말 추첨제를 통해 청약을 한다..
    2. 지방의 혹은 갭이 적은 물건을 잡아서 인플레이션 대비를 한다.

    1번같은경우 직장후배 급여가 작고 귀엽고 모아놓은 돈도 충분하지 않은경우 추천하구요.
    2.급여가 어느정도 있으시면 잡아 놓는게 어떨까 싶습니다...
    흑마법사
    나도나도........................................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청약 가시권이 어느정도 일까요?
    가지고 있는 통장이 청약저축이라 민간은 넣지도 못하고 신특 및 생초 특공은 안되고 일반공급만 넣고있는데요...
    인정금액 1630정도 인데 수도권 청약이 가능할까요?
    넣는 족족 떨어지니 불안합니다
    청약 포기하고 구축이라도 사야 할까 해서요
    저도 청약 전문가는 아니라서.. (애초에 청약이 택도 없다보니 조기에 포기해서 잘 모릅니다 -.-;;
    그래서 추첨제 줍줍빼곤 관심이 없어서 몰라요..)
    1
    하우두유두
    선생님 같은경우 아쉽긴하시겠습니다. 사전청약 점수를 보면 아시겠지만 특별공급라인으로는 갈만하신데 일반공급으로는 전략을 잘짜셔서 비선호 타입으로 가셔야 가능하실거같아요...
    네 감사합니다.
    큰평수는 이제 포기했고 59 노리고 있는데
    요즘도 경쟁률이 어마 어마하네요 ㅠㅠ
    그래도 아쉬워서 포기가 안되네요
    Jack Bogle
    적당한 수준이라는게 요즘은 선 넘어서... 요즘은 상당히 무리해야 그래도 타협이 될 겁니다.

    이게 부동산을 보던 사람하고 전혀 그렇지 않은 사람하고는 대출을 보는 시야 자체가 달라서... 이렇게 이야기하면 매칭이 안될거에요.
    절름발이이리
    근데 뭐 일반적으로는 맞는 말인데 진짜 고점 제대로 물리면 손해가 이만저만이 아닌..
    어차피 싱글은 사람으로 안 쳐서 생애첫주택도 안되는걸로 아는데 진짜 그냥 오피스텔이라도 일단 사놓는게 낫다는 생각을 하게되네요
    글쎄요. 이미 상승 전에 집을 산 사람과 지금은 좀 다르지 않을까요. 필요할 때 너무 무리하지 않고 사는게 맞는 거 같습니다. 투자를 잘 하는게 아니라면 그 시기가 상승기 전이었던 건 운의 영역이죠.
    주식하는 제로스
    기본적으로 미래를 예상하고 세운 인생경로가 유지가 되느냐 유지되지 않는가라는
    근본적이고 중대한 차이가 있고 그게 안정성이죠. 그 안정성중 법적인 부분이 법적안정성이고.
    이 정부의 부동산 정책 특히 임대차3법/대출제한이 욕을 먹는 것은 그 예상경로를
    근본적으로 뒤흔들어 버리고 불측의 손해와 이익을 흩뿌렸기 때문입니다.
    6
    syzygii
    윤석열이 정치 선언할때 가장 처음한말중 하나가 그거입니다. 예측 가능한 주택정책. 고찰이 좀 됐다고 느낀점중 하나입니다.
    키티호크
    요즘 하는 말들 보면 자기도 무슨 말 하는지 몰랐을 겁니다
    엄마곰도 귀엽다
    뭐 꼭 지금! 사야한다는 것은 아니지만
    저도 이 말에 동의합니다.
    필요하면 1주택정도는 걸어놔야한다고 생각해요.
    실거주를 해야하는데 앞으로 집값이 떨어질거야! 하면서 안 사고 버티는 것도 좀 그렇죠.
    좀 떨어지는 걸 각오하고서라도 실거주 목적으로 1주택 하나는 꼭 사야합니다.

    제가 2018년에 지금 사는 곳으로 이사왔는데 그때 전세가 5억 미만이었어요.
    그런데 지금 21년 현재 전세 8억입니다.
    3억을 마련할 수 없으면 다른 더 저렴한 곳으로 이사가야한다는 얘기지요.

    그런데 이 3년동안 집값이 쭈욱 상승세였냐하... 더 보기
    뭐 꼭 지금! 사야한다는 것은 아니지만
    저도 이 말에 동의합니다.
    필요하면 1주택정도는 걸어놔야한다고 생각해요.
    실거주를 해야하는데 앞으로 집값이 떨어질거야! 하면서 안 사고 버티는 것도 좀 그렇죠.
    좀 떨어지는 걸 각오하고서라도 실거주 목적으로 1주택 하나는 꼭 사야합니다.

    제가 2018년에 지금 사는 곳으로 이사왔는데 그때 전세가 5억 미만이었어요.
    그런데 지금 21년 현재 전세 8억입니다.
    3억을 마련할 수 없으면 다른 더 저렴한 곳으로 이사가야한다는 얘기지요.

    그런데 이 3년동안 집값이 쭈욱 상승세였냐하면 그건 아니었거든요.
    2018년에는 주택 시장이 이런 분위기가 아니었어요.

    그때 실거주 목적으로 집값 상승하락 이런거 신경 안 쓰고 구입한 친구들은 지금 그때 안 샀음 어쩔뻔...
    다른 전세로 옮긴 친구들은 지금 마음이 어떨지..(차마 그 앞에서 집값 이야기를 못함..)

    전 이런 부동산 전문가는 아니지만 길게 보면 한 1-20년 사이에 또 집값이 하락하는 때가 올거라고 생각해요.
    그런데 그때가 올지 안올지 모르는데 그때 기다려서 집을 사겠다! 이런 건 너무 안일하다고 생각해요.

    지금 할 수 있는것을 다 따져보고 앞으로의 상환계획도 세워보고 최대한 괜찮은 주택을 구입해서 가족들이 거주하다가 또 여유가 생기면 다른 더 좋은집을 이사가고... 그게 맞지 않나 싶어요.
    그저그런
    저도 언젠간 떨어질것 같아요. 그런데 앞으로 +5억 오르고 나중에 -2억 떨어질수도 있다 싶어 두렵읍니다.
    저는 서울 서쪽(강서, 은평)에 작은평수라도 사놓으려고 합니다...
    할머니
    동의하는데, 수도권 10평대 1주택도 적당한 수준이 안된다면 차라리 숏베팅이 날수도있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2587 경제음식진공밀폐기 팝니다 20 흑마법사 22/03/07 4485 0
    12578 경제갤럭시 버즈 프로 팔렸습니다 16 면이면옥 22/03/04 4295 1
    12522 경제성공적인 지방의 대기업 입성, 대구신세계 이야기 14 Leeka 22/02/18 4591 4
    12455 경제게임이 청년 남성의 노동시장 참여를 줄였다? 28 카르스 22/01/20 4988 21
    12444 경제집값은 올라가고 있는건가? 내려가고 있는건가? 9 cummings 22/01/15 4559 1
    12436 경제인구절벽발 노동인력 부족 우려는 과장인가 27 카르스 22/01/12 5345 34
    12412 경제OECD 경제전망 - 한국 (전문번역) 5 소요 22/01/06 4052 16
    12405 경제2021년 5대백화점 매출 순위가 공개되었습니다 2 Leeka 22/01/05 4381 0
    12391 경제국민 재난지원금이 내일이면 사라집니다 4 알겠슘돠 21/12/30 4093 1
    12375 경제2021년 대한민국 100대 상권 분석이 공개되었습니다. 11 Leeka 21/12/23 4963 1
    12365 경제신세계는 어떻게 광역시들을 정복했나? 6 Leeka 21/12/20 3741 3
    12355 경제연도별 대한민국 1조 돌파 백화점들 11 Leeka 21/12/16 3931 1
    12343 경제롯데그룹은 왜 위기에 빠졌나.. 25 Leeka 21/12/13 5171 3
    12339 경제대구신세계에 이어, 현대백화점 본점도 1조 클럽 가입. 1 Leeka 21/12/10 3777 1
    12257 경제개인적인 투자 원칙 방법론 공유 13 Profit 21/11/09 5421 13
    12216 경제2017~2020년까지의 5대백화점 지점별 매출 추이 2 Leeka 21/10/29 5610 1
    12156 경제정부가 대출을 막는 이유 27 Folcwine 21/10/11 5161 8
    12144 경제노동에 대한 관점이 변해야하는 시기가 아닐까 13 엠피리컬 21/10/07 3687 5
    12140 경제월세 폭등의 시대가 도래할 것인가 17 Folcwine 21/10/05 4998 2
    12128 경제정부의 부동산 정책 변화에 대한 생각 12 Folcwine 21/09/30 4455 4
    12081 경제적당한 수준의 실거주 1주택을 추천하는 이유 35 Leeka 21/09/16 4589 4
    12066 경제NFT의 암호화폐 생태계 기여도에 대한 분석 lonely INTJ 21/09/11 4475 3
    12043 경제나의 주식투자 실패기 4 syzygii 21/09/03 4150 1
    12018 경제한국은 중부담 중복지 국가가 되어가는가? 13 샨르우르파 21/08/26 4500 5
    12016 경제강남아파트 시들 강북 연립 활기 -2008년 기사입니다. 5 요일3장18절 21/08/26 4351 1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