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21/11/12 17:16:13 |
Name | Picard |
Subject | 당보고 뽑지 말고 인물 보고 뽑자 |
뻘글입니다. 며칠전에 외근 때문에 라디오 틀어놓고 운전하고 있는데, 어느 패널이 저 어릴적에는 '옛날에는 당보고 뽑지 말고 인물보고 뽑자' 라는 말도 하고 캠페인도 하고 했었던 것 같은데, 요즘에는 그런 말도 안해요. 너무 좌우로 확고하게 나뉘어져 있고, 서로 저 당을 지지하다니~ 하면서 비웃기에 바빠요.. 라는 식으로 얘기를 했어요. 어..? 저 똑똑한 분이 당보고 뽑지말고 인물보고 뽑자라는 말을 왜 했는지 모르시나?? 정말 정치에 관심이 없으신 분이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당보고 뽑지 말고 인물 보고 뽑으라는 슬로건은... 그냥 군사독재로 정권잡은 공화당, 민정당이 '아, 우리가 군사쿠데타로 정권 잡긴 했는데 능력있는 인물들 발굴하니까, 우리가 미워도 사람 보고 뽑아주세요~' 라는 뜻이었거든요. 그때야 지금처럼 인터넷이 발달한 세상도 아니고.. 정권여당이 적당히 똑똑하고 군사정권에 충성하는 엘리트들 잘 닦아서 내놓으면 그럴듯한 능력자로 보이게 할 수 있던 시절이었으니까요. 민정당이.. YS 와 MB를 거치고, 세대도 많이 지나면서 군사정권의 후예라는 이미지를 좀 희석하긴 했었는데.. 박근혜를 대통령 만들면서 다시 도로공화당이 되어 버렸었죠. 일반적인 시민, 투표권자가 너무 당파적인 논리에 휘둘린다.. 라는 뜻은 알겠는데.. 역사적 배경 싹 걷어내고 '당보고 뽑지말고 사람보고 뽑자' 라는 말을 다시 하는건 아직 이른 것 같습니다. 솔직히... 석열이형이나 명지사나 당 안보고 사람만 보면 자진해서 뽑고 싶은 인물들도 아니고...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Picard님의 최근 게시물
|
얼마전에 찾아보다가 민정당이 한국에서 유일하게 일당 독재를 해본 정당이었다는 사실이 좀 신선했습니다. 유신 시절에도 있었던 야당을 전두환이 역사상 최초로 사전적 의미의 2중대로 편성했다는 게 신기했어요.
정석적으로 얘기하면 당도 보고 인물도 봐야죠.. 혐오정치에 대부분이 물들어 있는데, 일정부분 진실도 있지만, 현재의 분위기는 과거 김일성 도깨비상에 세뇌된 남한 국민들이 보이는 듯 합니다. 그렇지만 원래 장치란게 중우정치적인 면이 있으니 자연스러운 현상이기도 하지만요..
오랫만에 중우정치 의미를 찾아 복붙해 봅니다.
이하 위키복붙입니다..
참정권이 보편화됨에 따라 중우정치 담론도 한층 더 거세져갔다. 대학 교수도 1표, 직장도 없고 학력도 일천한 동네 백수... 더 보기
오랫만에 중우정치 의미를 찾아 복붙해 봅니다.
이하 위키복붙입니다..
참정권이 보편화됨에 따라 중우정치 담론도 한층 더 거세져갔다. 대학 교수도 1표, 직장도 없고 학력도 일천한 동네 백수... 더 보기
정석적으로 얘기하면 당도 보고 인물도 봐야죠.. 혐오정치에 대부분이 물들어 있는데, 일정부분 진실도 있지만, 현재의 분위기는 과거 김일성 도깨비상에 세뇌된 남한 국민들이 보이는 듯 합니다. 그렇지만 원래 장치란게 중우정치적인 면이 있으니 자연스러운 현상이기도 하지만요..
오랫만에 중우정치 의미를 찾아 복붙해 봅니다.
이하 위키복붙입니다..
참정권이 보편화됨에 따라 중우정치 담론도 한층 더 거세져갔다. 대학 교수도 1표, 직장도 없고 학력도 일천한 동네 백수도 똑같이 1표. 게다가 엘리트보다 동네 백수가 더 쪽수가 많다. 정치인의 입장에서는 당연히 쪽수가 월등히 많은 무식자, 무산자의 표를 무시하지 못할 수 밖에 없고 필연적으로 저질스러운 정책이 나온다는 것이다. 물론 투표를 하지 않는 경우도 있겠지만, 머릿수는 당연히 소수 엘리트보다 무산자가 훨씬 많다. 즉 설사 정치적 무관심이 심각해서 투표율이 20% 수준이라고 해도 그래도 여전히 무식자, 무산자가 쪽수에서는 앞서기에 당연히 무식자, 무산자 위주의 정책이 나온다.
오랫만에 중우정치 의미를 찾아 복붙해 봅니다.
이하 위키복붙입니다..
참정권이 보편화됨에 따라 중우정치 담론도 한층 더 거세져갔다. 대학 교수도 1표, 직장도 없고 학력도 일천한 동네 백수도 똑같이 1표. 게다가 엘리트보다 동네 백수가 더 쪽수가 많다. 정치인의 입장에서는 당연히 쪽수가 월등히 많은 무식자, 무산자의 표를 무시하지 못할 수 밖에 없고 필연적으로 저질스러운 정책이 나온다는 것이다. 물론 투표를 하지 않는 경우도 있겠지만, 머릿수는 당연히 소수 엘리트보다 무산자가 훨씬 많다. 즉 설사 정치적 무관심이 심각해서 투표율이 20% 수준이라고 해도 그래도 여전히 무식자, 무산자가 쪽수에서는 앞서기에 당연히 무식자, 무산자 위주의 정책이 나온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