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21/12/16 10:11:54 |
Name | Picard |
Subject | 관례, 관행... 이해가 안간다. |
안녕하세요. 정치 이야기 좋아하는 아재입니다. 사회 생활에 찌들어서... FM을 추구하지만, 여기저기 치이는 중간관리자죠. 최근 석열이형 배우자인 김건희씨 경력 위조 논란에 대해 '관례였다' 라고 하더라고요. 사실 관례이긴 했다고 생각합니다. 회사에서 기술사나 명장 하겠다고 자기들이 조금 간여했거나 하지도 않은 프로젝트 했다고 경력증명서 만들어가기도 합니다. 예전 팀장은 이직하면서 회사내 온갖 프로젝트를 자기가 다 했다고 이력서 쓰고 증빙자료 뽑아서 내고 공무원 특채로 이직했습니다. 조국 교수 장녀 표창장이 문제 되었을때, '교수 딸이면 적당히 받을 수도 있는걸 왜 위조를 했을까?' 라고 생각했지요. 교수딸이고, 총장이 총애하면 남들 50시간 봉사활동할때 적당히 2-30시간 하고서 받을 수 있었지요. 조국 교수 장남 인턴증명서가 문제 되었을때도.. '아니 이정도도 잡아서 기소한다고?' 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대충.. 하루 이틀 얼굴 비치고 가면 일주일 인턴 했네.. 라고 써주기도 했거든요. 그들만의 리그에서는요. 이런식으로.. 그들의 리그에서는 좀 부풀리고 서로 편의 봐주고 하는게 관례였어요. 부총리 아들이라는걸 알게 되자 없던 병실이 짠 하고 나타나는건 애교구요, 엄마 아빠 지인 찬스로 이력서에 한줄 적을 수 있는 경력을 서로서로 도와주는게 관례 였죠. 아무리 그래도 퇴직금 50억은 좀 많이 선 넘은거였지만. 아니 그런데, 조국을 그렇게 털던 석열이형이 이걸 대응할 준비를 안했다고? 전혀 몰랐으면 몰라.. 총장 청문회때 얘기가 나왔는데? 대체 뭘 믿은거지... 겨우 한다는 말이 '기획', '공작' 이라니... 회창옹이 아들 병역 문제로 대선 두번 나가리 되고 나서 정치인들이 어떻게든 아들놈들 군대 보낼려고 노력했죠. 기준이 생긴겁니다. 위장전입이 문제가 되고 몇명 낙마되고 나서 국회에서 국민들에게 반은 강요한 기준이 '자녀 교육을 위한 위장전입은 봐준다. 부동산은 안된다.' 라는 요상한 기준이 생겼죠. 청문회때 다운계약서로 몇명 나가리 되니까 무슨 법이 생긴 몇년 이전 다운계약서는 관행이었으니까 좀 봐줍시다.. 라고 기준을 세우더만요. 혹자는 '아, 이거 조국 털리기 이전 일이니까 좀 봐줍시다. 2019년 이후부터 빡세게 봅시다' 라고 하고 싶을지도 몰라요. 그런데 그 말을 석열이 형이 하면 안되니까 못하는 걸지도. (하여튼 이말 누가 하면 이 글은 성지가 됩니다. ㅋㅋㅋㅋ ) P.S) 정년 몇년 안남은 부장님이 ISO 심사원 공부를 하시고서 '심사원보에서 보 떼려면 경력을 내야 하는데, 경력증명서 좀 떼줘' 라고 합니다. 이분이 사내 심사원으로 한번도 활동을 하신적이 없는데.. ? 그냥 웃으면서 뭉갰는데, 은근 압박 하시네요. 허위 경력서에 제 사인 넣기 싫은데.. 1
이 게시판에 등록된 Picard님의 최근 게시물
|
조국 때도 '저게 관행이라고? 내가 같은 시대 같은 분야인데?'라고 생각했고 이번 윤석열 때도 '저게 관행이라고? 선배들이 같은 시대 같은 분야인데?'라는 생각입니다. 김건희 건은 조민 건보다 한 10%정도 관행이라고 볼 수 있는 건덕지가 있긴한데 - 더 과거의 일이기 때문에 - 그것과 별개로 윤석열의 이번 대응은 [알았으면 공범이고 몰랐으면 무능이다]라는 말 밖에 안나옵니다.
십수년 사이에 관례란 게 그렇게 많이 바뀐 느낌은 없습니다. 정유라도 사실 관례적으로 유력인의 자식이 누릴 수 있는 것을 누린거죠. 김건희도 관례적인 일이었으니 그걸 이용했구요. 일반인이었으면 그렇게 관례대로 했어도 여태까지 걸리지 않았을 겁니다.
공직이 달린 일이니까 그 관례라고 포장된 것들이 사실은 시스템상 큰 문제란 게 밝혀진 거겠죠. 재벌들이야 자본주의 사회에서 터치할 사람이 없지만, 공직자는 터치 받아야죠. 국회의원들이야 지역감정으로 지역구만 잘 지키면 탈당했다 복당하고 해서 계속 남지만, 대통령같은 선출직 공직자는 ... 더 보기
공직이 달린 일이니까 그 관례라고 포장된 것들이 사실은 시스템상 큰 문제란 게 밝혀진 거겠죠. 재벌들이야 자본주의 사회에서 터치할 사람이 없지만, 공직자는 터치 받아야죠. 국회의원들이야 지역감정으로 지역구만 잘 지키면 탈당했다 복당하고 해서 계속 남지만, 대통령같은 선출직 공직자는 ... 더 보기
십수년 사이에 관례란 게 그렇게 많이 바뀐 느낌은 없습니다. 정유라도 사실 관례적으로 유력인의 자식이 누릴 수 있는 것을 누린거죠. 김건희도 관례적인 일이었으니 그걸 이용했구요. 일반인이었으면 그렇게 관례대로 했어도 여태까지 걸리지 않았을 겁니다.
공직이 달린 일이니까 그 관례라고 포장된 것들이 사실은 시스템상 큰 문제란 게 밝혀진 거겠죠. 재벌들이야 자본주의 사회에서 터치할 사람이 없지만, 공직자는 터치 받아야죠. 국회의원들이야 지역감정으로 지역구만 잘 지키면 탈당했다 복당하고 해서 계속 남지만, 대통령같은 선출직 공직자는 전국구니 전국에서 까야 제맛이죠. 까이는 건 피할 수 없습니다. 맨날 문재앙 문재앙 하잖아요.
별개로 지역구 시스템 날려버리고 국회의원들도 다 털어봐야 합니다. 관례로 덮일 수 없는 비상식적인 일들이 비일비재하니까요. 래퍼하는 누구 아들, 현찰박치기하는 누구 아버지, 난 최순실 저엉말 몰랐다고 잡아떼던 누구누구누구... 싹 다 털면 참 좋겠는데...
공직이 달린 일이니까 그 관례라고 포장된 것들이 사실은 시스템상 큰 문제란 게 밝혀진 거겠죠. 재벌들이야 자본주의 사회에서 터치할 사람이 없지만, 공직자는 터치 받아야죠. 국회의원들이야 지역감정으로 지역구만 잘 지키면 탈당했다 복당하고 해서 계속 남지만, 대통령같은 선출직 공직자는 전국구니 전국에서 까야 제맛이죠. 까이는 건 피할 수 없습니다. 맨날 문재앙 문재앙 하잖아요.
별개로 지역구 시스템 날려버리고 국회의원들도 다 털어봐야 합니다. 관례로 덮일 수 없는 비상식적인 일들이 비일비재하니까요. 래퍼하는 누구 아들, 현찰박치기하는 누구 아버지, 난 최순실 저엉말 몰랐다고 잡아떼던 누구누구누구... 싹 다 털면 참 좋겠는데...
?? : 관행대로 좀 봐주지..ㅠ
검사 시절 '학력위조' 수사했던 윤석열.. 그 결과는?
https://news.v.daum.net/v/20211215180602717
윤 후보는 대검 중수부 검찰연구관이던 2007년 서울서부지검으로 파견돼 신정아 사건을 수사했다. 당시 수사팀엔 문무일 중수1과장과 윤석열·윤대진 검찰연구관까지 대검 중수부 검사 3명이 투입됐다. 서울서부지검에선 김오수 형사5부장, 문찬석 부부장검사 등이 수사를 맡고 있었다... 더 보기
검사 시절 '학력위조' 수사했던 윤석열.. 그 결과는?
https://news.v.daum.net/v/20211215180602717
윤 후보는 대검 중수부 검찰연구관이던 2007년 서울서부지검으로 파견돼 신정아 사건을 수사했다. 당시 수사팀엔 문무일 중수1과장과 윤석열·윤대진 검찰연구관까지 대검 중수부 검사 3명이 투입됐다. 서울서부지검에선 김오수 형사5부장, 문찬석 부부장검사 등이 수사를 맡고 있었다... 더 보기
?? : 관행대로 좀 봐주지..ㅠ
검사 시절 '학력위조' 수사했던 윤석열.. 그 결과는?
https://news.v.daum.net/v/20211215180602717
윤 후보는 대검 중수부 검찰연구관이던 2007년 서울서부지검으로 파견돼 신정아 사건을 수사했다. 당시 수사팀엔 문무일 중수1과장과 윤석열·윤대진 검찰연구관까지 대검 중수부 검사 3명이 투입됐다. 서울서부지검에선 김오수 형사5부장, 문찬석 부부장검사 등이 수사를 맡고 있었다.
당시 검사 12명으로 꾸려진 매머드급 수사팀은 신씨의 사문서위조, 업무방해 혐의를 적용해 구속영장을 청구했으나, 법원은 이를 기각했다.
이에 정상명 당시 검찰총장까지 나서 불편한 심기를 드러낼 정도로 검찰은 강하게 반발했고, 이후 수사팀은 횡령, 알선수재, 제3자뇌물수수 등 혐의를 추가로 적용해 다시 구속영장을 재청구, 결국 구속을 이끌어냈다.
검사 시절 '학력위조' 수사했던 윤석열.. 그 결과는?
https://news.v.daum.net/v/20211215180602717
윤 후보는 대검 중수부 검찰연구관이던 2007년 서울서부지검으로 파견돼 신정아 사건을 수사했다. 당시 수사팀엔 문무일 중수1과장과 윤석열·윤대진 검찰연구관까지 대검 중수부 검사 3명이 투입됐다. 서울서부지검에선 김오수 형사5부장, 문찬석 부부장검사 등이 수사를 맡고 있었다.
당시 검사 12명으로 꾸려진 매머드급 수사팀은 신씨의 사문서위조, 업무방해 혐의를 적용해 구속영장을 청구했으나, 법원은 이를 기각했다.
이에 정상명 당시 검찰총장까지 나서 불편한 심기를 드러낼 정도로 검찰은 강하게 반발했고, 이후 수사팀은 횡령, 알선수재, 제3자뇌물수수 등 혐의를 추가로 적용해 다시 구속영장을 재청구, 결국 구속을 이끌어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