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2/05/12 00:35:45
Name   Leeka
Subject   부동산 시장에 대한 다양한 개인 잡담
- 제가 아마 2020년에는 제발 보금자리론으로 살 수 있는 집 사세요.. 라고 많은 분들에게 이야기를 했었는데..

1 - 보금자리론은 무려 규제지역을 무시하고 LTV 70% 또는 3억중 하나를 뱉어주는 신의 옵션
(지금은 개선되서 3.6억까지 해주심)

2 - 30년 '고정금리' 에 체증식까지 가능..

근데 제가 받았을때 기준으로 '우대금리 없이'  30년 2.23% 고정금리였습니다.

?!?!

우대 받은 분들은 30년 1.4% 까지도 나왔는데....


놀랍게도 2년이 지난 지금 '아무때나 꺼내쓸 수 있는 토스뱅크가 이자 2% 줍니다'
주담대 이자가 은행 예금수준에..  '적금이자보다 더 저렴' 해서 갚을 필요가 없는 사기급 대출로 진화했습니다.
(원금을 갚는게 아니라 은행에 넣어두면 오히려 돈이 늘어나는 마법..)


이런 관점에서 보면 2020년은 사실 오를수밖에 없는 핵심 요인중 하나를 가지고 있었는데.. 왜 그때 임대차3법을......




------------



- 현재 부동산시장 최대 화두는 결국 재건축입니다.

이제 분당/일산등.. 1기 신도시들이 줄줄히 30년을 넘기게 되는 등.. 이제 30년을 넘기는 아파트가 쭉쭉 나오는 타이밍이 왔거든요.


구축 아파트는 살기 불편 어쩌고를 넘기고 현실적으로 말하면
'주차장 문제' 가 상당히 크고.

조금 더 나아가면 '결국 전기차 보급' 에 큰 장벽중 하나기도 합니다 -.-;   구축은 당장 주차할곳도 없는데 전기차 충전 보장은 개뿔..이니.



주거 품질을 위해서는 결국 재건축을 정권 시작때부터 했어야 했는데 이걸 틀어막은게 지금 1기 신도시들 겹치면서 답이 안보이는 각이..



-----------



요즘 부동산 시장은 오를 요인과 내릴 요인이 섞여있습니다.

그래서 위다 아래다를 예측하는건 쉽지 않다고 보지만
확실한건 원자재값 상승 + 인건비 상승.. 콤보로 인해 '땅값이 싼 곳' 은 위기가 한번 오지 않을까 싶네요.


서울에 짓나 지방에 짓나. 사실 '땅값' 차이지.. 위에 올라가는 집값 차이가 큰게 아닌데

극단적으로 땅값 20억 + 아파트값 2억 = 22억 짜리 집과
땅값 1억 + 아파트값 2억 = 3억 짜리 집은..
아파트 원가가 1억이 올라버리면

전자는 23억이 되서 뭐 조금 올랐네? 인데
후자는 4억이 되서....  폭등했네?.. 가 되는..

현실버전에선 4억을 맞춰주기보단 그냥 안지을 확률이 높지 않나 싶습니다.

근데 그게 선행될려면 땅값이 비싼곳은 재건축/재개발 아니면 공사 수주를 할 방법이 없음..



-------



저는 원래 투자, 재태크는 잘 안하는 쪽이였는데

20년에는 부동산을 해야 해서 공부하고 했고
21년에는 주식을 해야 해서 공부하고 했습니다 -.-;

그런 분위기에서는 안하는게 잘못된거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문제는 욕심을 더 부려서 주식을 지금까지 들고있다가 100 벌고 안빠지고 40 버는 수준까지 내려온뒤 빠짐........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고..


이제는 다시 부동산/주식은 공부만 하고 긴 시간동안 또 안할까?.. 싶네요.


보통 해야 되는 시기가 언제, 어떻게 올진 모르지만 공부하면서 있다보면 온다고 생각하고
저는 그럴때까지 꾸준히 돈을 모으면서, 그 시기일때 한번 하고 다시 실탄을 모으자. 쪽을 택해서..



슈카님이 한 말중 이 말을 가장 좋아합니다

버는것보다 잃지 않는게 가장 중요하다.


-------------



부동산 시장을 몇년간 공부하면서 가장 크게 느낀건

주식은 '우량주라는 확신' 이 있으면 존버할 수 있는것처럼

부동산은 '내가 장기간 실거주' 하는데 문제 없는 집이라면.  존버가 가능합니다.

잘 모르시는 분들은 '무조건 실거주 가능한 아파트' 로 고르시면 버틸 수 있습니다.


+@ 한국에서 아파트만 집이 된 이유중 하나는 청약제도의 문제도 있습니다 -.-;
집을 한번 소유하는 순간 청약이 후르륵 가버리는 구조라서..  실거주할 집을 싼 집부터 타는게 아니라 한번에 올라가려는 경향이 강해진..



6


    부동산 시장은 참으로 논란이 많은 곳이고 많을 수 밖에 없는 곳 같습니다. 부동산은 누구에게나 필요하지만 오묘하게 공공재이면서 시장재적 성격을 가지고 있어서죠. 잘 발달된 인프라와 인접한 토지자원이 한정자원이고, 해당 인프라토지는 공공개발계획에 의해 추진되니, 해당 주택을 돈 많이 주는 사람 순으로 분배할 순 없으니 청약으로 제비뽑기를 만들어 버렸는데, 이건 뽑기에 걸린 극 소수에 혜택을 몰아준 셈이라서 마음이 들지 않습니다. 공공재가 아니라 치고 청약을 통해 제공할게 아니라 시장가로 그저 돈 많은 사람들이 살수 있게 가격을 높여 ... 더 보기
    부동산 시장은 참으로 논란이 많은 곳이고 많을 수 밖에 없는 곳 같습니다. 부동산은 누구에게나 필요하지만 오묘하게 공공재이면서 시장재적 성격을 가지고 있어서죠. 잘 발달된 인프라와 인접한 토지자원이 한정자원이고, 해당 인프라토지는 공공개발계획에 의해 추진되니, 해당 주택을 돈 많이 주는 사람 순으로 분배할 순 없으니 청약으로 제비뽑기를 만들어 버렸는데, 이건 뽑기에 걸린 극 소수에 혜택을 몰아준 셈이라서 마음이 들지 않습니다. 공공재가 아니라 치고 청약을 통해 제공할게 아니라 시장가로 그저 돈 많은 사람들이 살수 있게 가격을 높여 팔던지(이러면 부자동네와 극빈층 동네로 이원화 되어 버리니 못하겠죠.).. 만약 공공재라면 청약 제비뽑기로 해서 일부 소수에게만 혜택을 줄게 아니라, 완전히 공공임대로 전환하거나(이 경우 과연 공공임대 관리주체가 시장주의보다 효율적일지에 대한 의문은 존재..), 시장가로 판 후에 판매금의 일정분을 공공임대주택예산으로 돌리는 방안(이 경우 여전히 동네 양극화 문제..). 현재는 어중간하게 두 개를 섞어버렸는데, 그러다 보니 전 국민이 생애 한번 로또 뽑기와 눈치싸움을 하도록 강제하고 있는것 같습니다.
    그리고, 여기에 2주택 이상 구매와 매매차익에 대한 세금까지 정권성향에 따라 왔다갔다 하니 재미있죠... 이런 부분들을 제외하면 전체적으로 주식시장과 비슷하게 동작한다고 봅니다.. 그래서 부동산시장 공부와 주식시장 공부를 그렇게 크게 따로 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2
    좋은 부동산을 보기위한 '입지/호재/악재' 등등부터
    실거주에 좋은 집을 보기 위한 '평면/주차장/남향/인테리어' 등등에 대한 지식같은건 둘이 결이 아에 다르죠..

    주식도 그 주의 흐름이나 이런거는 또 아에 다르고.


    거기에 부동산은 '정부규제' 라는 수시로 바뀌는 그 흐름들을 넣어주고 대출이 얼마나 되고 이런걸 공부해놔야 되서..
    청약제도도 손 댔으면 좋겠습니다. 분상제랑 합쳐지다 보니 원래 취지를 너무 벗어났어요.
    4
    Beer Inside
    1기 신도시 재건축하려면 -1기 신도시인 압구정/반포라인 재건축, 0기 신도시인 은마아파트, 수서 재건축등이 있어서.....

    인서울 저층은 대부분 재건축했으니 신도시 아닌 것으로...
    2
    버는것보다 잃지 않는것이 중요하다 공감합니다. 사실 그냥 현금만 보유하고 있어도 물가때문에 손실이 생기니 적절한 자산분배와 투자가 중요하죠. 그러면서도 안정적으로 살집은 마련해야되고요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001 경제에너지 얼마나 올랐나? 4 Folcwine 22/07/16 3584 1
    12987 경제작년까지 나왔던 실거주 1채에 대한 잡설 37 Leeka 22/07/11 5058 0
    12941 경제노무사 업계 도시전설 16 당근매니아 22/06/23 4201 5
    12928 경제OECD 경제전망 - 한국 (2022. 6. 8) 소요 22/06/18 3671 16
    12918 경제천연가스 쇼크 5 Folcwine 22/06/15 3264 5
    12903 경제신세계/쓱닷컴/CGV 용으로 사용할 서브 카드 추천 22 Leeka 22/06/09 4143 4
    12896 경제누구를 위한 ESG 인가 7 Folcwine 22/06/07 4338 4
    12880 경제폭염에 러시아의 가스관은 잠길 것인가 5 Folcwine 22/06/01 3786 1
    12837 경제집을 안사본 분들에게 적는 여러가지 이야기 10 Leeka 22/05/19 4698 12
    12818 경제채굴판의 모순과 증강현실 게임으로서의 코인판 9 쥬라기재림교 22/05/15 3481 6
    12817 경제신흥 디지털 보석시장의 개장 ... 5 쥬라기재림교 22/05/15 4033 8
    12812 경제최근 한전 적자에 대한 해설 28 Folcwine 22/05/13 4748 9
    12810 경제루나 코인의 이번주 시세 변화 6 Leeka 22/05/13 4450 0
    12806 경제부동산 시장에 대한 다양한 개인 잡담 5 Leeka 22/05/12 3962 6
    12802 경제토스 매일 이자받기를 보고 감탄한 점 22 Leeka 22/05/10 5864 0
    12774 경제국정과제 - 부동산 관련. 21 주식못하는옴닉 22/05/03 4103 0
    12750 경제유통 잡썰 #2 - 명품들은 어떻게 총량제를 할 수 있나? 2 Leeka 22/04/22 4677 12
    12749 경제유통 잡설 #1 - 백화점이 쇼핑몰과 다른 이유인 입점구조 5 Leeka 22/04/22 5949 10
    12746 경제넷플릭스: 주주 여러분 안심하십시오. 15 코리몬테아스 22/04/21 4875 28
    12723 경제백화점에 대한 잡설 여러가지 6 Leeka 22/04/15 3412 3
    12690 경제무신사와 크림의 대결이, 크림의 압승으로 끝났습니다. 7 Leeka 22/04/01 4238 2
    12646 경제바이낸스 등 해외에서 암호화폐 투자하시는 분이라면 1주일 후 주의해야할 부분... 12 행복한고독 22/03/18 3813 3
    12634 경제갤럭시워치4 30% 할인 쿠폰 판매 15 면이면옥 22/03/15 4825 0
    12623 경제윤석열 시대의 부동산 정책: 박근혜로 롤백 33 구밀복검 22/03/13 5806 1
    12591 경제[팝니다] 리얼포스 R2 45g 텐키레스 17 *alchemist* 22/03/07 4712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