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5/10/18 01:23:36 |
Name | 까페레인 |
Subject | 이력서 사진보고 뽑으시나요? |
저는 늘 이력서 사진이 가장 우리나라를 변화시키는데 걸림돌이 된다고 믿어왔는데요. http://www.storyofseoul.com/news/articleView.html?idxno=2264 이 글이 어떻게 검색되었는지 모르겠는데 우연히 읽게 되었습니다. 국내 정부의 고위 간부들이 미국에 연수받으러 해마다 천문학적인 돈을 들여가면서 가는데요. 좋은 제도와 시스템은 바로바로 들여와서 정책에 반영해야 하는 것이 이들의 의무가 아닌가요? 그런식으로 안되는 것 같아요. 좀 더 사회적으로 어느 정도 위치에 있는 분들이 잘못된 제도와 시스템을 바로잡아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새누리당 주영실 의원은 전혀 모르는 분이지만, 이런 법안을 내셨다는 것만으로 크게 지지를 해드리고 싶습니다. 태안대책위원회라고 하셔서 거기 삼성에 돈받고 덮어둔 데 힘실어준곳이 아닌가 하는...컨슈피리시같은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서도요.. 각설하고 이력서 사진에 대해서 법안 발의까지 하신 건 잘하신 것 같아요. 여자들이 성형외과가고 남자들도 그렇고 외모에 이렇게 피로감 높게 투자하는 나라가 된 이유가 이력서에 사진 붙이는 것에서 시작되었다고 보거든요. 못생긴 여자는 일도 못하는 건 아니지 않나요? 어느 대기업에서 한 때 사진 붙이지 말라 했다는 기사를 읽은 것 같은데 못 찾겠네요. 아직도 우리나라에 성차별이 존재하는 가장 대표적인 사례가 아닌가해요. 성차별 뿐만 아니라 남성에 대한 외모차별도 함께 포함되어 있쟎아요. 나이차별은 아직 말할 단계도 아닌것 같구요. 변화는 개인에게서 소수에서 시작되어서 퍼진다고 생각해요. 밑에서 위로 변화시켜야지 윗선들이 부패했는데 언제까지 기다려야할까요. 부조리한 사회제도 어떻게 생각하세요? 침묵해야 하는 이유가 뭘까요? 다수가 그렇게 하니깐? 1
이 게시판에 등록된 까페레인님의 최근 게시물 |
제조업 생산직을 사진보고 뽑지는 않을걸요. 영업 서비스 직군도 사진 못붙이게하면 면접비중이 늘 것 같습니다.
용모가 단정치 못하여 손해를 많이 보고 살았습니다만 요즘 아파서 병원을 자주 가는데 인턴 레지던트들도 훈남 훈녀 투성이더군요. 젊은이들이 전반적으로 잘 생기고 이뻐졌습니다.
사회는 이제 외모로 뽑지 않습니다. 외모로 떨어뜨리지.
그렇다고 나같이 생긴 사람들이 없지야 않을텐데 나같이 생긴 사람들은 어디서 뭐 하면서 살고있을까. 언더그라운드에서 나사깍나.
논현동고개 내려오는데 예쁜 아가씨들 지나가서 언니들 이 시간에도 돌아다니나했는데 근처 병원 직원들이더군요.
용모가 단정치 못하여 손해를 많이 보고 살았습니다만 요즘 아파서 병원을 자주 가는데 인턴 레지던트들도 훈남 훈녀 투성이더군요. 젊은이들이 전반적으로 잘 생기고 이뻐졌습니다.
사회는 이제 외모로 뽑지 않습니다. 외모로 떨어뜨리지.
그렇다고 나같이 생긴 사람들이 없지야 않을텐데 나같이 생긴 사람들은 어디서 뭐 하면서 살고있을까. 언더그라운드에서 나사깍나.
논현동고개 내려오는데 예쁜 아가씨들 지나가서 언니들 이 시간에도 돌아다니나했는데 근처 병원 직원들이더군요.
http://www.thejobnetwork.com/revamp-your-resume-21-mistakes-to-avoid/
이력서 쓸 때 피해야 할 것들인데... 19번에 picture of yourself라고 되어 있네요. 9번에는 과도한 개인정보... 흐흐...
이력서 쓸 때 피해야 할 것들인데... 19번에 picture of yourself라고 되어 있네요. 9번에는 과도한 개인정보... 흐흐...
우리나라에서도 인사시 차별에 대한 인식은 계속 개선되어가고 있는 중인 것 같습니다.
하지만 사진을 받지않더라도 면접에서 외모의 영향을 많이 받겠죠. 그런면에서 보자면 외모의 영향을 완전히 받지 않을 수는 없다는걸 어느정도는 인정해야 현실적인 준비가 되지 않을까 합니다.
예를들어 면접자가 꾸미지도 않고 대충 후줄근하게 하고 가서 떨어져놓고 역시 외모보고 뽑는 세상 더럽다. 해봐야 자기만 손해일테니까요.
구인하는 입장에서는 외모보다는 일잘하는 사람을 더 자연스럽게 선호하게 되는 듯 합니다. 일 못하는 사람 한 번 잘못 뽑으... 더 보기
하지만 사진을 받지않더라도 면접에서 외모의 영향을 많이 받겠죠. 그런면에서 보자면 외모의 영향을 완전히 받지 않을 수는 없다는걸 어느정도는 인정해야 현실적인 준비가 되지 않을까 합니다.
예를들어 면접자가 꾸미지도 않고 대충 후줄근하게 하고 가서 떨어져놓고 역시 외모보고 뽑는 세상 더럽다. 해봐야 자기만 손해일테니까요.
구인하는 입장에서는 외모보다는 일잘하는 사람을 더 자연스럽게 선호하게 되는 듯 합니다. 일 못하는 사람 한 번 잘못 뽑으... 더 보기
우리나라에서도 인사시 차별에 대한 인식은 계속 개선되어가고 있는 중인 것 같습니다.
하지만 사진을 받지않더라도 면접에서 외모의 영향을 많이 받겠죠. 그런면에서 보자면 외모의 영향을 완전히 받지 않을 수는 없다는걸 어느정도는 인정해야 현실적인 준비가 되지 않을까 합니다.
예를들어 면접자가 꾸미지도 않고 대충 후줄근하게 하고 가서 떨어져놓고 역시 외모보고 뽑는 세상 더럽다. 해봐야 자기만 손해일테니까요.
구인하는 입장에서는 외모보다는 일잘하는 사람을 더 자연스럽게 선호하게 되는 듯 합니다. 일 못하는 사람 한 번 잘못 뽑으면 엄청 데이게 되기도 하거든요.
그래서 외모는 어디까지나 무의식적으로 이미지를 만드는데 까지만 역할을 할 뿐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도 서류에서 사진을 받지 않는다면 훨씬 더 좋은 사회가 되리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사진을 받지않더라도 면접에서 외모의 영향을 많이 받겠죠. 그런면에서 보자면 외모의 영향을 완전히 받지 않을 수는 없다는걸 어느정도는 인정해야 현실적인 준비가 되지 않을까 합니다.
예를들어 면접자가 꾸미지도 않고 대충 후줄근하게 하고 가서 떨어져놓고 역시 외모보고 뽑는 세상 더럽다. 해봐야 자기만 손해일테니까요.
구인하는 입장에서는 외모보다는 일잘하는 사람을 더 자연스럽게 선호하게 되는 듯 합니다. 일 못하는 사람 한 번 잘못 뽑으면 엄청 데이게 되기도 하거든요.
그래서 외모는 어디까지나 무의식적으로 이미지를 만드는데 까지만 역할을 할 뿐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도 서류에서 사진을 받지 않는다면 훨씬 더 좋은 사회가 되리라고 생각합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