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3/01/07 09:29:24
Name   매뉴물있뉴
Subject   대충 금주의 뻘소리 할당량 채우는 글
오늘 그냥 머리를 스치고 지나간 생각입니다.
근데 이거 제법 그럴듯한데?
해서 주절거리겠읍니다.
아 이번주도 뻘소리 할당량 채웠다 (뿌듯)

지금 우리가 보고있는 윤의 지지율이
왠지 '지연된 허니문'이 아닌가? 하는 뻘생각을 하고있읍니다.



근데 요 한두달간은 윤의 지지율이 높아요.
이게 보수 결집인가? 라고 하는 얘기도 많지만
저는 ...원래 이렇게 한두달 가까이 지속되는걸
결집이라고 부르던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보통, 흔한, 일반적인 결집이라는건 주로
1 정권이 위기에 처했을때
2 1-2주정도 단기간 짧게
지지율이 떨어지지 않게끔 지탱하거나
오히려 살포시 올려놓는
그런게... 결집 아니었던가? 시프요



그리고 가만 생각해보면
윤은 초반에 보수정책이 거의 없었습니다.
윤의 초기행보로 기억에 남는건
우선 518 기념식에 참석한것? 정도와
정책적 행보로 기억에 남는건 입학연령 하향시도 같은건데
사실 저 입학연령하향은 보수어젠다도 아니거든요.

문재인/이재명 수사나 MBC/언론탄압 문제도
이건 사실 정파적 행동 내지는 진영적인 어필이죠
(혹은 '공정하고 엄정한 법집행')
이걸 보수'정책'이라고...?는 할수 없으니..



이번 지지율 상승의 계기가 되었던것이 아마도
대북 강경태도유지 / 화물연대파업 강경대응기조
정도일텐데
이 둘은 사실 전형적인 보수진영의 정책이거든요.
그리고 당시 화물연대파업에 대응하는 것도 그 뭐랄까...
매끄러웠다? 라고 하기는 좀 어렵기도 해요.
특히 당장 꼬라박아버린 수출 적자의 원인을
화물연대탓으로 돌린것은 팩트부터가 맞을수 없는 내용이었...

그런데도 지지율이 급상승했던건
어찌보면 우리가 그 '허니문'이라고 부르는 그 지지율은
1 [이제 막 출범]한 정부에 대한 신뢰와 응원이면서도
그 대통령이 2 [시행하는 정책]에 대한 지지이기도 한것인데
대통령이 시행하는 정책들이
이른바 '보수정책'이라고 할수있는것들이 뒤늦게 튀어 나오다 보니
우리가 흔히 말하던 그 허니문 지지율이라는 것도
시간차를 두고 뒤늦게 튀어나오지 않았나 싶읍니다.



라고 생각하니
지금의 이 지지율 랠리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이유도
대충 설명이 되고 저 자신은 납득이 되드라고요

대충 요렇게 써놓고 나서 생각해보니
정권 초기에
'얘는 왜 정책을 안하고
뭔 쓸데없이 청와대 이전같은걸 하고 앉았냐...
그러니까 지지율이 바닥으로 뚫고 들어가지'
하는 생각을 했던것도 기억나고 합니다.

늦은 허니문이기도 한 동시에
나름 정상화인것 같기도???



1


    하마소
    사실 탄핵이 없었다면 지금 즈음이 취임 시점인 게 맞을테니 ㅋㅋㅋㅋ...
    1
    과학상자
    오 진짜 그럴듯 합니다. 허니문을 주고 싶은 사람들은 많았는데 눈치없는 놈이 용산 이전이나 도어스테핑 막말 등 괴이한 짓을 계속 하는 바람에...
    1
    1. 언제부터인가 실언이나 김건희 괸련 보도가 많이 줄었다 싶습니다. 여전히 극성 정치커뮤에서 툭하면 까이지만 이펙트가 양당 강성 지지층에나 어필될 수준으로 너프됨.
    2. 윤통이 노동 교육 연금 3대개혁 + 중대선거구제 개혁 등 어젠다 드라이브를 본격화한 건 인정할 수밖에 없습니다. 디테일 레토릭은 많이 거칠어도, 뭐라도 하는 게 보여서.
    3. 파업 강경대응하니까 보수언론들이 신나더군요 ㅋㅋ 이런게 보고싶어서 국민들이 윤석열 찍은거래나 모래나

    지지율 트렌드 보면 이명박 초기를 그대로 따라가고 있습니다. 초기 행보가 워낙 수준 이하여서 이명박때처럼 회복될 수 있을까 싶었는데 회복은 되네요
    매뉴물있뉴
    저는 도어스테핑 폐지가 정말 진짜 완벽한 결정적 한수였다고 생각해요 ㅋㅋ
    워낙에 대통령이 말하기 좋아하는 사람이라 절대 폐지 못할줄 알았는데 그걸 해내더군요 ㅋㅋ
    2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티타임 게시판 이용 규정 2 Toby 15/06/19 32926 7
    15407 일상/생각토요일의 홀로서기 큐리스 25/04/26 247 1
    15406 일상/생각사진 그리고 와이프 1 큐리스 25/04/25 418 4
    15405 게임마비노기 모바일 유감 10 dolmusa 25/04/25 592 5
    15404 일상/생각인생 시뮬레이션??ㅋㅋㅋ 1 큐리스 25/04/25 441 0
    15403 의료/건강긴장완화를 위한 소마틱스 운동 테크닉 소개 4 바쿠 25/04/24 505 10
    15402 도서/문학사학처럼 문학하기: 『눈물을 마시는 새』 시점 보론 meson 25/04/23 310 6
    15401 일상/생각아이는 부모를 어른으로 만듭니다. 3 큐리스 25/04/23 476 10
    15400 꿀팁/강좌4. 좀 더 그림의 기초를 쌓아볼까? 6 흑마법사 25/04/22 370 18
    15399 일상/생각처음으로 챗GPT를 인정했습니다 2 Merrlen 25/04/22 779 2
    15398 일상/생각초6 딸과의 3년 약속, 닌텐도 OLED로 보답했습니다. 13 큐리스 25/04/21 871 28
    15397 일상/생각시간이 지나 생각이 달라지는것 2 3 닭장군 25/04/20 764 6
    15396 IT/컴퓨터AI 코딩 어시스트를 통한 IDE의 새로운 단계 14 kaestro 25/04/20 640 1
    15395 게임이게 이 시대의 캐쥬얼게임 상술인가.... 4 당근매니아 25/04/19 635 0
    15394 꿀팁/강좌소개해주신 AI 툴로 본 "불안세대" 비디오 정리 2 풀잎 25/04/19 615 3
    15393 IT/컴퓨터요즘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AI툴들 12 kaestro 25/04/19 785 18
    15392 도서/문학명청시대의 수호전 매니아는 현대의 일베충이 아닐까? 구밀복검 25/04/18 490 8
    15391 정치세대에 대한 냉소 21 닭장군 25/04/18 1231 15
    15389 게임두 문법의 경계에서 싸우다 - 퍼스트 버서커 카잔의 전투 kaestro 25/04/17 391 2
    15388 일상/생각AI한테 위로를 받을 줄이야.ㅠㅠㅠ 4 큐리스 25/04/16 697 2
    15387 기타스피커를 만들어보자 - 번외. 챗가를 활용한 스피커 설계 Beemo 25/04/16 293 1
    15386 일상/생각일 헤는 밤 2 SCV 25/04/16 393 9
    15385 게임퍼스트 버서커 카잔에는 기연이 없다 - 던파의 시선에서 본 소울라이크(1) 5 kaestro 25/04/16 308 2
    15384 일상/생각코로나세대의 심리특성>>을 개인연구햇읍니다 16 흑마법사 25/04/15 711 10
    15383 일상/생각평범하지 않은 평범한 사람들 1 큐리스 25/04/15 626 8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