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3/02/03 16:54:55
Name   카르스
File #1   20230202_144119_1675403267_resized.jpg (79.3 KB), Download : 5
Subject   석학의 학술발표가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왜곡되어 소비되는 방식


어쩌다가 혐오정서로 악명높은 펨코에 올라간 문제의 글을 보게 되었습니다.
https://www.fmkorea.com/best/5459790417

무려 "인구절벽 회의론자 급증, "인구절벽은 이론일 뿐..두려워만 말라""라는 자극적인 제목으로
이종화 교수와 홍춘욱 박사의 주장이 언급됩니다.
"실제로 인구절벽이론은 미국에서 헨리덴트에 의해 만들어지고 이론만 있고 단 한번도 적용된 적 없음."
이라는 말미 문구와 함께 글이 종료됩니다.

그리고 댓글란은 한국 인구구조 망한거 확실하지 않냐, 이종화 교수 말대로 절대 안된다, 윗세대가 문제라는 식의 냉소와 혐오정서로 가득합니다.
댓글란의 위 주장들이 옳으냐 그르냐에 대해선 답하지 않겠습니다.
냉소, 혐오정서와 비속어 표현이 그릇됨은 분명하지만.

참고로 저는 위 글에 나오는 홍춘욱의 논평에는 동의하지 않습니다.
인구와 경제 간의 관계에 대한 이해 없이, 지나하게 낙관적인 건 아닌가 생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종화 교수의 발표내용을 본문과 댓글란에서 이런 식으로 소비하는 건 명백한 왜곡, 오독, 인신공격입니다.


이걸 단언할 수 있는 게,
저는 어제 윗 링크 첫번째 짤방에 언급된 학술대회 현장에서 저 강의를 직접 보았기 때문입니다.
글 맨 윗부분에 인증사진이 있습니다.

이종화 교수님은 인증사진에서 보다시피 한국에서 극심한 인구감소, 저출산 고령화로 경제성장률이 떨어지는 건 부정하지 않습니다. 다른 게 변하지 않는다는 전제 하에서, 2050-60년대에 한국 경제성장률이 0.9%, 1인당 gdp가 2.3%까지 떨어진다는 게 긍정적인 예측이라 보기는 힘들죠.
심지어 물적자본 투자율이 더 하락하여 평균성장률이 0.7%p나 더 떨어지는 비관적인 시나리오도 산입했습니다. 실제로 이 부분에 집중해서 제목을 작성한 기사도 있습니다. (https://www.asiae.co.kr/article/2023020216192057785 참고)

그러면 기사에 나오는 "인구 감소 두려워만 말라"는 교수님의 장담 내용은 과연 무엇일까요?
실마리는 "인구가 한 나라 경제의 운명을 결정할 것이란 생각은 역사적으로 자본과 기술이 발전하지 않았을 때 이야기"라는 교수님의 발언에 있습니다.

정답은 물적자본, 인적자본 향상 및 기술적 진보를 꾸준히 높게 유지한다는 전제 하에,
경제성장률이 0.6%p 더 올라가서 한국 경제성장률이 1.5%, 1인당 gdp 성장률 2.9%가 되는 낙관적인 시나리오입니다.

분명히 낙관적인 시나리오에는 물적 자본, 인적 자본, 기술적 진보를 꾸준히 하라는 조건이 들어갑니다.
기사엔 안 나왔지만, 이종화 교수 경제예측의 바탕이 된 인구예측은 통계청 2021년 인구추계의 저위(비관적 예측) 기준이라서, 저것보다 더 좋을 가능성도 제법 있습니다. 사견입니다만 이민자 추가유입이 없다는 전제 하에서 실제 인구추이는 저위-중위 사이로 가지 않을까 추측도 해보고요. 이민자 유입이 더해지면 또 다르고요.

그런데 이걸 가지고 댓글창에는 저출산 고령화가 심해져서 상관없다, 아무것도 안 해도 괜찮다는 식으로 내용을 자의적으로 왜곡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댓글창은 석학 발표에 대한 인신공격으로 가득하죠.

사실 이종화 교수가 국내외에서 인정받는 거시경제, 경제발전, 인적자본 석학(저도 작년 티타임에 올린 인구구조 관련 글에 교수님의 논문을 인용한 적 있습니다), 인구구조의 급격한 변화가 한국사회에 미칠 충격을 여러번 경고해온 건 일반인이 알 일이 없을테니 그렇다 칩시다.
하지만 학자들의 주장을 인터넷 냉소, 혐오정서의 연장선에서 함부로 조롱하고 비하하는 건 별개의 문제입니다. 이건 굳이 저 분이 저명한 학자임을 몰라도 지켜야 하는 윤리입니다. 

이런 씁쓸한 해프닝은 현대 한국 인터넷 커뮤니티의 여러 문화적 문제 때문에 가능했다고 봅니다.

딱 두 명의 존재로 인구절벽 회의론자 "급증"을 논하는 자극적인 커뮤 공유글 헤드라인,
모 아니면 도라는 흑백논리,
글을 중간에 자르는 악마의 편집으로 원글의 논지를 왜곡하는 짤방문화,
남의 의견을 함부로 조롱하고 비하하는 인터넷 커뮤니티 특유의 정서

참고로 커뮤에서 연구결과나 통계가 왜곡되는 일은 이번이 처음은 아닙니다.
개인적으로도 통계자료를 자기들 혐오를 정당화하기 위해 왜곡, 날조한 경우를 꽤나 발견했습니다.  
언젠가는 말할 생각입니다.

커뮤니티를 넘어 사회과학 통계나 연구결과를 언론, 정치권, 일반인들이 멋대로 오독, 왜곡, 악용하는 일이야 국내외 막론하고 비일비재한데, 제 주변에도 비슷한 일이 생겨나는군요. 스트레스도 비일비재한 게 참 씁쓸합니다.



29
  • 동의합니다 자극적인 부분만 부추겨 자기 입맛대로 쓰려고 하는 사람들이 너무 온라인에 많지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538 사회석학의 학술발표가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왜곡되어 소비되는 방식 13 카르스 23/02/03 2412 29
13138 방송/연예2022 걸그룹 4/6 27 헬리제의우울 22/09/06 4773 29
13057 일상/생각에바종 먹튀로 피해본 썰.. 11 비형 22/08/05 2918 29
12663 일상/생각농촌생활) 봄봄봄 봄이왔습니다 22 천하대장군 22/03/21 3003 29
12555 기타[홍터뷰] 예고편: 분노조절잘해 기아트윈스 10 토비 22/02/27 3496 29
12340 일상/생각호의에 대한 보답 (feat 고얌미) 12 천하대장군 21/12/10 4073 29
12329 정치노인 자살률은 누가 감소시켰나 9 구밀복검 21/12/06 4825 29
12011 일상/생각손님들#1 7 Regenbogen 21/08/25 3077 29
12392 일상/생각중년 아저씨의 베이킹 도전기 (2021년 결산) (스압주의) 22 쉬군 21/12/31 2821 29
11750 일상/생각엄마는 내 찢어진 츄리닝을 보고 우셨다 3 염깨비 21/06/04 3574 29
11637 사회흑인리버럴과 흑인보수 14 은머리 21/05/04 4733 29
11440 일상/생각30평대 아파트 셀프 인테리어 후기 22 녹차김밥 21/02/22 4319 29
10686 의료/건강조혈모세포 기증 후기 5 아목 20/06/14 5007 29
10074 일상/생각아픈 것은 죄가 아닙니다. 27 해유 19/12/13 4440 29
13282 사회이태원 압사사고를 바라보는 20가지 시선 6 카르스 22/10/30 3791 29
9000 IT/컴퓨터홍차넷 속도개선 플랜 24 토비 19/03/25 4910 29
8782 일상/생각하버드에서 나누었던 인상적인 대화 8 은때까치 19/01/20 3915 29
8480 오프모임<2018 웰컴 티파티> 정모 10일 전 18 파란아게하 18/11/07 5316 29
7410 육아/가정아내가 내게 해준 말. 15 켈로그김 18/04/19 5908 29
6008 일상/생각사회적 조증에 대하여 32 Homo_Skeptic 17/07/25 4807 29
5128 기타달콤창고, 홍차상자 그리고 이타적 인간 39 호라타래 17/03/09 5889 29
4833 일상/생각살아온 이야기 24 기쁨평안 17/02/11 4119 29
4364 일상/생각저희 강아지는 유기견이었습니다 17 우웩 16/12/12 4461 29
14692 사회한국언론은 어쩌다 이렇게 망가지게 되었나?(1) 8 삼유인생 24/05/20 1356 28
12967 방송/연예2022 걸그룹 2/4 9 헬리제의우울 22/07/04 3113 28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