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3/02/12 22:25:18
Name   카르스
Subject   수학 잘하는 동아시아인의 역사적 기원


동아시아인은 수학을 매우 잘한다는 고정관념이 있습니다.
실제로 PISA를 위시한 교육 지표에서 동아시아가 매우 높게 나오거든요.
이 고정관념으로 고통받는 동아시아 유학생과 이민자들의 일화는 셀 수 없이 많습니다.

이런 동아시아인의 위대한 수학 역량은 단순히 현대 교육열 덕분일까요?
Baten and Sohn (2017)에 따르면 한국, 더 나아가 동아시아의 상대적으로 높은 수학능력은
400-500여년 전 이미 나타나, 높은 수학능력이 역사적인 근원이 있는 현상임을 보입니다.
중국, 조선, 일본 모두 당대의 유럽 지역보다 더 높은 수학능력을 보였습니다.


Baten and Sohn은 이 논문에서 조선인들의 수리력(numeracy - 여기서는 간단한 정수를 더하고 뺄 수 있는 능력) 수준을 조선 단성 지역(현 경상남도 산청군)의 호적 연령자료를 이용해 계산합니다.
수리력이 없는 사람들은 자기 연령을 응답할 때 0, 5세 단위로 뭉뚱그리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호적에서 자기보고 형태로 응답하는 연령값 뒷자리 분포가 얼마나 0, 5에 집중되어 있는지를 바탕으로
수리력 있는 사람의 비율을 역산해낼 수 있습니다.
실제로 수리력 등 교육수준이 평균적으로 낮은 지역일수록 나이 쌓기(age-heaping) 현상이 빈번해져서 0과 5로 끝나는 연령의 비율이 더 높아집니다. (Mokyr, 2006; A'Hearn et al., 2009)


그 결과, 1550-70년대생 조선인 90%가 수리력이 있어 절대다수의 조선인들이 간단한 덧셈뺄셈이 가능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1590년대생 일본인 81%보다 더 높은 수치입니다.

당시 타 지역과 수리력을 비교하면 이 수치의 높음이 더 돋보입니다.  




보다시피 1550-1599년생 남유럽인, 북서유럽인은 전체 인구의 70%만 수리력을 갖췄고, 동유럽인은 1600-1649년생 기준 60%만 수리력을 갖췄습니다.
반면에 한국 일본은 이미 1550-1599년생 수리력 가진 인구 비율이 80%~90%에 달해 남유럽, 북서유럽, 동유럽보다 더 높았습니다.
16세기 시절에 이미 서구보다도 더 앞선 셈이지요. 시기적으로는 한두세기 정도 앞섰습니다.
중국도 1650-1799년생의 무려 93.6%~99.2%가 수리력을 갖추어서 동시기 유럽 국가들보다 높습니다.


이는 동아시아의 전근대 교육, 인적자본 수준이 몇백년 전부터 이미 높았다는 증거이기도 합니다.  
물론 전근대의 교육, 인적자본의 우수함이 자생적 근대화를 보장하지는 않습니다.
똑같이 높은 수리력을 갖춘 동아시아 지역이지만
자생적 근대화에 성공한 일본과 실패한 중국, 조선으로 나뉘었지요.

하지만 이러한 높은 교육, 인적자본 능력이 현대 동아시아의 눈부신 경제성장, 교육열과 높은 인적자본 수준의 기원이 되었다면 지나친 추측일까요?
이미 수백년 전에 존재했던 높은 수리력의 기반이
20세기의 눈부신 발전과 현재의 높은 교육수준으로 이어졌을 개연성이 높다고 저자들은 지적합니다.

출처: Baten, J., & Sohn, K. (2017). Numeracy in early modern Korea, Japan, and China: The age-heaping approach. Japan and the World Economy, 43, 14-22.



4
  • 굉장히 흥미롭네요!!


실베고정닉
역시 한민족의 지능은 전세계적으로 봐도 최고수준인듯 합니다
1
카르스
음... 이 글은 지능 관련한 게 아닙니다.
동아시아 전반에서 나타나는 트렌드이기도 하고요.
2
이 댓글타래가 무척 상징적이네요 ㅋㅋㅋ
7
Mandarin
하지만 노벨상은..
1
서포트벡터
이렇게 얘기하면 어떨 지 모르겠는데,최소 현대, 21세기에 와서 노벨상은 자본이 없으면 나오기 힘듭니다.

물론 천재여야 받지만 그건 필요조건일 뿐이라는 것이죠.

그리고 현대가 되기 전에는 우리나라가 역량이 부족했구요.
1
절름발이이리
일본도 타생적 근대화라고 봐야죠.
1
카르스
따지면 그런데 피식민국으로 전락하지 않았기에 일단은 자생적이라고 했습니다.
절름발이이리
뭐 중국도 삥은 많이 뜯겼지만 전체가 식민국이 된 건 아닙니다. 무슨 말씀인지는 압니다.
3
여우아빠
흥미로운 자료 감사합니다. 근데 해당 논문에선 그 이유에 대해 추측하고 있는 바가 있나요? 전근대 사회에서 인구의 50% 아래쪽 사람들은 제대로 된 교육을 못받았을거 같은데, 유전적 차이일 가능성도 있을 것 같고... 신기하네요.
1
카르스
아쉽게도 따로 언급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그저 16세기 이후 동아시아의 발전상을 이야기할 뿐.
여우아빠
하긴 그거까지 언급하긴 매우 어렵겠죠. 따로 사료 찾아보고 조사할게 산더미일 텐데.
1
집에 가는 제로스수정됨
저는 숫자하나 자릿수 하나가 한음절로 읽히는 언어특성이 셈에 상당히 유리하다고 생각해요. 123,456,789같은거 읽으려면.. 우리는 4자리씩 끊어읽는데. 영어로 십만단위 덧셈 뺄셈 암산한다치면 훨씬 긴 발음을 연상해야하니 처리도 늦을것같음..
3
Paraaaade
숫자를 영어로 말할때 다른것보다 더 불편(?)하긴 하죠
1
곤살로문과인
암만 그래도 불어만 하겠냐 싶긴 합니다... 대단한 놈들...
1
가이브러시
숫자읽기 끝판왕 덴마크어가있습니다!!
https://www.dogdrip.net/278540560
2
퓨어라이프
https://www.reddit.com/r/MapPorn/comments/ze3nxp/how_to_say_number_92_in_european_countries/
여기 레딧 댓글에 덴마크인이 설명한 거 보니까 다르더군요
1
과학상자
삐딱하게 보자면, 동아시아에서 나이를 보다 정확하게 대답하는 경향이 높다는 것은 나이 한살이라도 더 먹은 사람 꼬박꼬박 존대해야하는 장유유서 문화 때문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지나갑니다. ㅋㅋ 심지어 같은 해 태어나도 빠른년생까지도 챙기는 거 이거 알고보니 조선시대부터?
9
Beer Inside
저도 그 생각 했읍니다.

빠른 문제 때문에 아무 의미없는 한국식 나이 폐지까지....
2
조선시대에는 의외로 나이로 극렬하게 서열을 구분 짓지 않았습니다.
조선 후기나 구한말 시기에 나타난거에요.
과학상자
아, 신분질서가 약화되면서 나이에 의한 서열이 더 중요해졌을라나요.
나는 탈아입구한 것인가...!
1
tannenbaum
첫째짤 킹 받네요.
일본한테 졌어?
2
서포트벡터
평균값은 1점 낮지만 표준편차가 일본보다 14점이나 높으니 최고점수는 더 높은 겁니다!
물론 최저점수도 더 낮은거겠지만요 ㅎㅎ
1
열한시육분
https://youtu.be/6lMpjmPiTWE
When Asians Are Bad At Math
1
사이시옷
흥미롭고 재미있어요!
1
치킨마요
평균을 깍아먹어 이송합니다
1
고구마별
문송문송합니다
1
음... 그런데 수학적 발전은 거의 대부분이 유럽에서 발생했고 동아시아는 산수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 같은데 말이죠.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5042 역사역사적으로 사용됐던 금화 11종의 현재 가치 추산 2 허락해주세요 24/11/13 1261 7
14973 역사2021년 1월, 의사당 점거가 성공했다면? 미국의 민주정이 무너졌다면? 9 코리몬테아스 24/10/11 1505 9
14542 역사연개소문 최후의 전쟁, 최대의 승첩: 9. 나가며 2 meson 24/03/17 1694 3
14541 역사연개소문 최후의 전쟁, 최대의 승첩: 8. 태산봉선(泰山封禪) meson 24/03/16 1624 1
14538 역사연개소문 최후의 전쟁, 최대의 승첩: 7. 선택과 집중 1 meson 24/03/15 1615 3
14533 역사연개소문 최후의 전쟁, 최대의 승첩: 6. 고구려의 ‘이일대로’ meson 24/03/14 1617 3
14528 역사연개소문 최후의 전쟁, 최대의 승첩: 5. 예고된 변곡점 2 meson 24/03/13 1567 3
14527 역사연개소문 최후의 전쟁, 최대의 승첩: 4. 침공군의 진격 1 meson 24/03/12 1577 2
14524 역사연개소문 최후의 전쟁, 최대의 승첩: 3. 몽골리아의 각축 5 meson 24/03/11 1743 3
14521 역사연개소문 최후의 전쟁, 최대의 승첩: 2. 당나라의 '수군혁명' 4 meson 24/03/11 1775 5
14520 역사연개소문 최후의 전쟁, 최대의 승첩: 1. 들어가며 2 meson 24/03/11 1722 3
14470 역사이승만에 대한 CIA의 평가 19 토비 24/02/19 3452 1
14468 역사 AI를 따라가다 보면 해리 포터를 만나게 된다. 4 코리몬테아스 24/02/18 2402 10
14426 역사역사 관련 책들을 안읽게 된 계기 4 danielbard 24/01/31 3156 18
14417 역사우키시마호 사건 (feat. 꼬꼬무) 타는저녁놀 24/01/27 2131 2
14395 역사나치 고위관료 중 가장 머리가 좋았던 인물 7 인프피남 24/01/12 2740 1
14373 역사정말 소동파가 만들었나? 동파육 이야기. 12 joel 24/01/01 3018 24
14363 역사올 해 취미생활 회고록. 스윙 댄스. 5 린디합도그 23/12/28 2337 14
14351 역사루돌프 사슴 코는 매우 반짝이는 코 11 심해냉장고 23/12/20 2605 11
14349 역사이스라엘의 어두운 미래, 가자전쟁의 미래는 어디인가? – 베니 모리스 7 코리몬테아스 23/12/20 2496 5
14199 역사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을 알기 위한 용어 정리. 2편 5 코리몬테아스 23/10/14 2692 10
14189 역사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을 알기 위한 용어 정리. 1편 15 코리몬테아스 23/10/12 3333 25
13773 역사역사적인 한국 수도의 인구와 상대적 집중 추이 7 카르스 23/04/21 3009 4
13561 역사수학 잘하는 동아시아인의 역사적 기원 28 카르스 23/02/12 3624 4
13460 역사(펌)폐지 줍는 독립운동가 아들 굴뚝새 23/01/05 2197 2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