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5/11/01 22:36:02
Name   기아트윈스
Subject   [언어] 가카의 기원
상대방의 이름을 부르는 행위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무례한 행동으로 꼽힙니다. 여러가지 원인이 있겠지만 한가지 확실한 건 이게 선사시대까지도 거슬러올라간다는 사실입니다. 우리가 흔히 선사시대 커뮤니티로 꼽는, 문자생활을 해본 적이 없는 오지 사회를 연구해보면 상대방의 이름을 부르는 것이 일종의 저주로 작용한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름을 어떻게 부를 것이냐는 당연히 한 사회 내에서의 힘의 차이를 반영합니다. 강자는 약자의 이름을 부르지만 약자는 강자의 이름을 감히 함부로 부르지 못합니다. 그런데 언어생활을 하다보면 당연히 강자든 약자든 상대방을 지시할 말이 필요하고, 이 때문에 이름을 부르지 않으면서도 상대방을 지시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됩니다.

서구의 경우는 많이들 알고 계시는 것처럼 Your Majesty 같은 표현들이 있습니다. 문자 그대로 받아들일 경우 지금 본인은 너님을 바로 가리켜 이야기하는 게 아니라 너님의 존엄함에게 이야기하고 있다는 말이 됩니다. 마찬가지로 Your Excellency (너님의 뛰어남), Your Highness (너님의 고결함), Your Holiness (너님의 신성함) 같은 표현들이 있습니다.

동양의 경우는 하 (下)로 끝나는 표현들이 다 그런 류입니다. 예컨대 황제는 뭐라고 부르지요? 피에에에하 (陛下) 입니다. 이 폐라는 이름의 섬돌은 궁전에 올라가기 위해서 거쳐야 하는 계단인데요, 이 폐라는 종류의 계단이 아마 예제상 황제만 쓸 수 있는 걸 겁니다. 문자 그대로 번역하자면 지금 신하인 나님은 너님을 직접 부르는 게 아니라 너님께서 계신 궁전 아래 섬돌 발치 부분과 이야기하고 있는 거임. 뭐 그런 뜻입니다.

조선시대 사극을 보면 왕을 부를 때 즈으으으어언하 (殿下)라고 합니다. 아마 폐하라는 표현은 못들어보셨을 거에요 (들어봤다면 그건 고증실패). 조선의 왕은 황제보다 한 급 아래이기 때문에 그 어떤 상황에서도 폐하가 될 수 없습니다. 살고 있는 곳이 궁전이니 궁전 아래 정도라고 하면 적당합니다.

살고 있는 곳, 혹은 주로 직무를 보는 관청 이름이 XX합(XX閤)인 경우도 있습니다. 정일품 벼슬을 할 경우 그래서 하퐈-! (閤下) 라고 불렀습니다. 드라마 명성황후를 보면 사람들이 대원군에게 자꾸 대워니하퐈인지 대워니하빠인지 하고 부르지요? 그게 대원위 합하(大院位 閤下) 입니다.

이도저도 안되는 일반인이라 하더라도 함부로 야 너 하고 부를 수는 없습니다. 특히 편지글에선 더 그런데요, 얼굴 보고 이야기할 땐 안 생겼을 오해가 편지에선 생길 수 있지 않겠어요? 그래서 편지에서 상대방을 언급할 땐 조까 (足下)라고 부릅니다. 지금 내가 너님에게 바로 편지를 보내는 게 아니라 너님 발밑에 보내는 거라고 직역할 수 있겠습니다.

편지글을 보다보면 가끔 집사 (執事)라는 표현도 많이 보이는 데요, 마찬가지로 내가 감히 너님께 직접 편지를 보내는 게 아니라 너님의 집사 알프레드에게 보내는 거니 알프레드가 받아서 너님께 알려줬으면 한다는 존경 표현입니다.

다른 방법으로 귀하(貴下) 같은 표현을 쓸 수도 있습니다. 존귀하신 당신 발치라는 뜻인데, 상대방이 딱히 관직이나 타이틀 같은 게 없을 경우 간편하게 쓸 수 있는 표현이지요.

원래 동양에 없던 표현인 데 서양어를 번역하다가 생긴 표현도 있습니다. 예컨대 Your Holiness 같은 표현을 번역하고자 했을 때 당연히 당시 동양 지식인들은 "아, 하(下)자 돌림으로 만들면 되겠네" 라고 생각했을 겁니다. 그래서 만든 표현이 성하(聖下).

가카 (閣下)는 원래 있던 표현이었습니다. 고급 관료들의 오피스가 XX각인 경우가 많았기에 높은 분들을 가카라고 부르는 것도 당연했지요. 그러다가 서구 국가들과 교류를 하게 되는데 보니까 Your Majesty니 Your Excellency니 하는 표현들을 쓰는 거 아니겠어요. Your Majesty야 임금한테 쓰는 말이니 전하라고 번역하면 될 테고, Your Excellency는 아주 높은 관료들을 그렇게 부르는 걸 보니 우리의 가카같은 건 가 보다 하는 생각에 가카라고 번역하게 되었(을겁니)다. (사료를 확인해본 건 아니에요 '-';)

Your Excellency는, 최소 영국의 경우, 식민지에 파견된 총독 (Governor-General)들을 부를 때 쓰던 말입니다. 그러다보니 니혼진들도 식민지를 건설하고 거기 담당자를 파견할 때 총독 가카를 파견하게 된 거지요.

이 표현이 어쩌다가 우리 근대사의 가카들을 가리키는 말이 되었는지에 대해선 솔직히 잘 모르겠습니다. 아마도 높은 관직에 있는 이들을 가리키는 보편적인 존경 표현으로 조선시대 엘리트들 사이에서 통용되다가 식민지 시기를 거치며 총독가카의 이미지가 덧씌워지고 그래서 최고통치자의 호칭이라는 이미지가 생성되고 그래서 해방 이후에도 대통령을 가카라고 부르다보니 어쩌다가 여기까지 흘러내려온 게 아닐까 싶습니다.

대통령 즈언하라고 부를 수도 없고, 대통령 피에하라고 부를 수도 없고, 대통령 귀하나 대통령 하뽜, 대통령 조까(...)는 더욱 이상하다보니 그냥 가카로 굳어진 게 아닐까 하고 짐작해 볼 수도 있겠네요.

음, 사료가 뒷받침 된 정밀한 논증은 후에 눈시님 같은 분들이 해주시는 걸로 남겨두고 저는 이만.. ;)



4


    April_fool
    가카 하면 역시 [각하, 시원하시겠습니다!]부터 떠오르는 1人
    기아트윈스
    이승만 관련 일화 맞지요?
    Beer Inside
    영감의 기원도 참......
    기아트윈스
    영감 대감 다 고급관료를 부르던 말이었죵.
    *alchemist*
    크크크크. 아 이거 재미있는데요 :) 이런 잔지식들 참 사랑합니다
    각하라는 호칭을 대통령을 부르는 말로 만든 건 박정희죠.
    기아트윈스
    일단 박통이 대통령 가카의 대명사처럼 되었지만 초대 대통령 당시에도 각하라고 불렀답니다.
    해방 후 대한민국에서는 대통령과 부통령, 국무총리, 부총리, 장관과 심지어는 육군 장군들에게도 다양하게 붙인 존칭이었다. 즉, 대통령을 일본 총리나 총독부 총독과 같은 급의 지위라고 보면 일본에서의 용법과 동일하다.
    ....

    그런 와중 박정희 대통령이 제5대 대통령으로 집권하게 되면서 그는 각하의 의미를 \'Mr.President\'와 등치시켜 오로지 대통령에게만 이 존칭을 붙이게 하였으며 기타 관료들에게 붙이던 각하 호칭은 사라졌다.

    한국어 위키피디아 각하 에서
    기아트윈스
    또 이렇게 하나 배워갑니다 ^^;
    눈부심
    하하하하...
    기아트윈스
    하하...;
    세인트
    자 그럼 눈시님께서 2편을 써주시면 되는 건가요?
    기아트윈스
    등판해라 얍!
    스타로드
    드라마 정도전에서 사람들이 이인임한테 자꾸 아빠 아빠 그러길래 양아들인가 싶었다가, 나중에 알고보니 아빠가 아니라 합하였더라구요. 하하;;
    기아트윈스
    진짜 아들이었을지도!? 농담입니다. 정도전을 못 챙겨봐서 거기도 합하가 나오는지 몰랐네요;
    마르코폴로
    그래도 가카 하면 역시 mb가카!
    王天君
    우리에겐 사마가 있잖아요 ...사마!!
    머리속에서 복잡하게 있던 것들이 풀어지는 것 같았는데 네넹? 0_0;
    감사히 잘 봤습니다 L(.. )ㅜ;;;;;;
    세인트
    잡았다!! 요님!(?)
    아 너무 늦었군 벌써 8시간이나 지났어 이미 탈출하신 뒤로군 흑흑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티타임 게시판 이용 규정 2 Toby 15/06/19 32922 7
    15407 일상/생각토요일의 홀로서기 큐리스 25/04/26 234 1
    15406 일상/생각사진 그리고 와이프 1 큐리스 25/04/25 404 4
    15405 게임마비노기 모바일 유감 10 dolmusa 25/04/25 577 5
    15404 일상/생각인생 시뮬레이션??ㅋㅋㅋ 1 큐리스 25/04/25 435 0
    15403 의료/건강긴장완화를 위한 소마틱스 운동 테크닉 소개 4 바쿠 25/04/24 494 10
    15402 도서/문학사학처럼 문학하기: 『눈물을 마시는 새』 시점 보론 meson 25/04/23 306 6
    15401 일상/생각아이는 부모를 어른으로 만듭니다. 3 큐리스 25/04/23 476 10
    15400 꿀팁/강좌4. 좀 더 그림의 기초를 쌓아볼까? 6 흑마법사 25/04/22 370 18
    15399 일상/생각처음으로 챗GPT를 인정했습니다 2 Merrlen 25/04/22 778 2
    15398 일상/생각초6 딸과의 3년 약속, 닌텐도 OLED로 보답했습니다. 13 큐리스 25/04/21 869 28
    15397 일상/생각시간이 지나 생각이 달라지는것 2 3 닭장군 25/04/20 762 6
    15396 IT/컴퓨터AI 코딩 어시스트를 통한 IDE의 새로운 단계 14 kaestro 25/04/20 638 1
    15395 게임이게 이 시대의 캐쥬얼게임 상술인가.... 4 당근매니아 25/04/19 634 0
    15394 꿀팁/강좌소개해주신 AI 툴로 본 "불안세대" 비디오 정리 2 풀잎 25/04/19 615 3
    15393 IT/컴퓨터요즘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AI툴들 12 kaestro 25/04/19 784 18
    15392 도서/문학명청시대의 수호전 매니아는 현대의 일베충이 아닐까? 구밀복검 25/04/18 486 8
    15391 정치세대에 대한 냉소 21 닭장군 25/04/18 1225 15
    15389 게임두 문법의 경계에서 싸우다 - 퍼스트 버서커 카잔의 전투 kaestro 25/04/17 391 2
    15388 일상/생각AI한테 위로를 받을 줄이야.ㅠㅠㅠ 4 큐리스 25/04/16 696 2
    15387 기타스피커를 만들어보자 - 번외. 챗가를 활용한 스피커 설계 Beemo 25/04/16 290 1
    15386 일상/생각일 헤는 밤 2 SCV 25/04/16 393 9
    15385 게임퍼스트 버서커 카잔에는 기연이 없다 - 던파의 시선에서 본 소울라이크(1) 5 kaestro 25/04/16 308 2
    15384 일상/생각코로나세대의 심리특성>>을 개인연구햇읍니다 16 흑마법사 25/04/15 711 10
    15383 일상/생각평범하지 않은 평범한 사람들 1 큐리스 25/04/15 624 8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