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4/02/16 13:56:04
Name   땡땡
Subject   안녕하세요 이시국 의대생입니다

사회생활하다가 때려치고 비교적 늦은 나이에 입학했었습니다. 사실 입학전에는 의료시스템에 대해 잘 몰랐는데, 당사자가 되니까 밥그릇에 관심이 많이가더라고요.

의사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한 밥그릇은 건강보험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이 건강보험이라는 밥그릇이 깨지기 직전 상태…

작년에 10년짜리 건강보험 재정 추이 보고서를 냈는데요, (2023-2032) 지금 누적 적립금이 역대 최다인 23조였습니다. 이번에 정부에서 필수의료 패키진가 뭔가 하면서 10조원인가 쓴다길래 오 드디어 돈좀 쓰나? 하고 봤더니 재원이 이 건강보험 적립금이더라고요. 그런데 문제는 이 적립금이 이미 2028년이면 고갈 예정입니다. 그리고 더 큰 문제는 이제 적립금이 고갈되고 나선 건강보험 적자가 저출산 고령화에 맞물려 기하급수적으로 쌓여갈거라는 겁니다. 보고서에서 추정한 2032년 누적적자는 62조입니다. 그 이후는.. 이제 신생아 20만대 시대이니까 뭐..  (계속)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땡땡님의 최근 게시물


    저는 사실 정부에서 정원 늘리겠다고 할때마다 어느정도 수긍하는 입장이었습니다. 지금은 모르겠지만, 나중에는 의사가 부족할거같긴 하거든요. 이전 정부에서 증원할때도 예과생이었어서 잘은 모르지만, 공공의대가 아니라 그냥 400명 증원이었으면 무난하게 증원 됐을거라고 봅니다. 이번에도 기백명이었으면 파업 없이 증원 됐을거라고 봅니다. 2천은.. 잘 모르겠네요 ㅋㅋㅋ 그래서 진짜로 모르니까 찍어먹어보자라고 하고싶긴했는데, 또 이게 의료계쪽은 생명이 달린 문제니까 어렵습니다.

    여하튼, 정부에서 뭐 하는건 좋은데, 재원인 건강보험은 어떻... 더 보기
    저는 사실 정부에서 정원 늘리겠다고 할때마다 어느정도 수긍하는 입장이었습니다. 지금은 모르겠지만, 나중에는 의사가 부족할거같긴 하거든요. 이전 정부에서 증원할때도 예과생이었어서 잘은 모르지만, 공공의대가 아니라 그냥 400명 증원이었으면 무난하게 증원 됐을거라고 봅니다. 이번에도 기백명이었으면 파업 없이 증원 됐을거라고 봅니다. 2천은.. 잘 모르겠네요 ㅋㅋㅋ 그래서 진짜로 모르니까 찍어먹어보자라고 하고싶긴했는데, 또 이게 의료계쪽은 생명이 달린 문제니까 어렵습니다.

    여하튼, 정부에서 뭐 하는건 좋은데, 재원인 건강보험은 어떻게 할것인지, 또 의대정원 2천명 늘릴거면 전공의 to도 같이 늘릴건지도 말해주면 좋겠네요. 정작 중요한 문제는 회피하면서 별로 중요하지도 않은 곁가지인 박 차관 자녀문제 이런걸로 문제삼고 답변하는게 아니라요.
    모두가 건강보험 시스템 자체엔 만족하는거 같으니 손 볼 것은 손 보되 보험료를 늘렸으면 좋겠습니다.
    귤잠수함잠수중수정됨
    참 싸움 붙이기만큼 지지율 상승에 좋은 게 없다 싶습니다. 댓글은 의사들과 비의사들의 싸움판....
    의사들과 비의사들 간의 갈등에도 뭔가 건전한 내용은 다 묻혀버리고
    서로 비난과 조롱만 크게 들릴 뿐이네요.
    한 쪽은 왜 휴학/사직만 하냐, 자퇴/면허반납 해라.....의룡들 어쩌구 저쩌구...
    또 다른 한쪽은 몇 년 안에 보험료 고갈 되는데 너희들도 이제 전문의 보려면 몇 달 한 번 기다려 봐라.....(좋게 표현해서)아무것도 모르면서 무작정 찬성하지 마라 등등...
    1
    냥냥이
    의료보험료 올리는건 피할 수 없는 길이죠
    노인인구가 50% 가 될테니 의료인력 늘리는 것도 피할 수 없을 듯 합니다
    보험료는 의사들만 쓰는게 아니라서...신제품 개발하면 물가는 올라가는데에도 불구하고 매년 더 저렴하게 팔아야 하는 제약회사들은 또 어떻겠습니까.
    그래서 애초에 신제품 개발도 없지않나요.. 있는 물건도 한국에는 못들어오는 판인데
    신제품 개발이 없다뇨 매년 신규 허가제품이 쏟아지는데요. 특히 3+1 도입 이후 먹거리 없어진 곳일수록 더 많습니다.
    국산 블록버스터신약도 최근 강세입니다. 프라잔계열에서 테고프라잔과 펙수프라잔은 이미 수출물량 계약도 엄청나죠.
    신약 외의 개량신약이나 제네릭은 너무 많아서 쓰기조차 힘듭니다.
    수술 용품 생각했는데 제약쪽은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정부의 정책 방향 및 과정 등에 대한 입장은 차치하더라도....

    우선 적립금에 대해서는 걱정 안하셔도 된다고 말씀 드리고 싶은게, 원래부터 건강보험에서 적립금은 있으면 좋고 아니면 말고에 가까운 개념이긴 합니다. 원래 건강보험은 적립금을 모아두는 기관이 아니라, 당해 돈을 걷어서, 당해 돈을 쓰는 기관이거든요. 오히려 그동안 적립금이 쌓였던 것은 그동안 국가에서 제대로 국민의료 부문에 투자를 못했던 것이라는 반증이 될 수도 있습니다. 물론 그동안 세수가 잘 걷히면서 모인 측면도 있고, 부수적으로 코로나 시국에 역설적으로 의료비... 더 보기
    정부의 정책 방향 및 과정 등에 대한 입장은 차치하더라도....

    우선 적립금에 대해서는 걱정 안하셔도 된다고 말씀 드리고 싶은게, 원래부터 건강보험에서 적립금은 있으면 좋고 아니면 말고에 가까운 개념이긴 합니다. 원래 건강보험은 적립금을 모아두는 기관이 아니라, 당해 돈을 걷어서, 당해 돈을 쓰는 기관이거든요. 오히려 그동안 적립금이 쌓였던 것은 그동안 국가에서 제대로 국민의료 부문에 투자를 못했던 것이라는 반증이 될 수도 있습니다. 물론 그동안 세수가 잘 걷히면서 모인 측면도 있고, 부수적으로 코로나 시국에 역설적으로 의료비가 줄어들면서 더 모인 측면도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만... 저는 오히려 건강보험이 적립금 너무 쌓이지 않도록 좀 더 썼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편입니다. 아무튼 적립금 고갈 문제는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물론 장기적으로는 건강보험 적자가 발생할 수 있으니 약간의 보험료 인상도 논의될 수는 있겠습니다만, 어디까지나 장기적인 차원에서의 이야기지 지금 당장의 이야기는 아닙니다. 경제성장에 따라 보험료 수입도 자연스럽게 늘어나기도 할거고요. 보험료 인상 이외에도 국가에서 이미 건강보험에 일정액을 투자하는 걸로 알고 있는데, 이 액수를 늘리는 방안도 있구요. (물론 보험료도 어차피 준 조세인 만큼 본질적인 차이는 미미합니다만)
    3
    장기적인게 아니라 당장 몇년뒤면 건강보험은 적자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노바로마
    말씀드린 바와 같이 재정적자문제는 꼭 적립금으로 극복할 필요가 있는건 아니다 라는 차원으로 받아들여주시기 바랍니다.
    죄송한데 댓글이 이해가 안되어서.. 당연히 건강보험에 적립금이 쌓일 필요는 없습니다. 문제는 지출을 감당못해서 생길 건강보험 적자죠. 건강보험료도 국민연금이랑 비슷하게 주로 소비하는 세대와 내는 세대가 다르니까요
    노바로마
    가장 많이 제안되는 보험료인상을 포함해서 국가 세수투입, 지출액 구조조정 등 많은 방향에서 적자 문제는 극복할 방법이 있습니다. 이런 방식 등을 두고 검토해볼 필요는 있다고 위에 말씀드렸던 겁니다.

    그리고 솔직히 건강보험이 그동안 흑자를 유지했어도 의료서비스가 공급 되었던 것 처럼, 반대로 적자가 있더라도 그 순간 의료서비스가 박살나버리는 건 또 아닙니다. 마찬가지로 한전도 빛쟁이 공기업이고, LH도 빛쟁이입니다. 그래도 전기 생산 다 되고, 주택 공급 되지 않습니까? 저 역시 적자구조가 바람직한 것은 아니라고 생각하지만, 적... 더 보기
    가장 많이 제안되는 보험료인상을 포함해서 국가 세수투입, 지출액 구조조정 등 많은 방향에서 적자 문제는 극복할 방법이 있습니다. 이런 방식 등을 두고 검토해볼 필요는 있다고 위에 말씀드렸던 겁니다.

    그리고 솔직히 건강보험이 그동안 흑자를 유지했어도 의료서비스가 공급 되었던 것 처럼, 반대로 적자가 있더라도 그 순간 의료서비스가 박살나버리는 건 또 아닙니다. 마찬가지로 한전도 빛쟁이 공기업이고, LH도 빛쟁이입니다. 그래도 전기 생산 다 되고, 주택 공급 되지 않습니까? 저 역시 적자구조가 바람직한 것은 아니라고 생각하지만, 적자 본다고 파탄까지 생기는 것도 아닙니다.

    말씀하신대로 건보료의 경우 부양세대와 피부양세대가 다르긴 합니다. 그러나 마찬가지로 이는 모든 복지정책에서 해당하는 내용이긴 합니다. 원래 현 경제활동세대(보통 15~64)가 피부양세대(유소년/고령층)를 함께 먹여살리는 구조는 꼭 의료에만 해당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 자체가 의료부문에 해당한다고 그게 큰 문제인 건지도 모르겠습니다. 원래 복지정책은 어느정도 세대간의 연대를 기반으로 합니다.
    5
    한전이나 LH야 공기업이니까 부채를 그냥 떠앉고 버티고 있다지만, 우리나라 병원은 대부분 사기업..

    그래서 저는 국민연금도 우려중입니다. 보험료율 높이는 몇가지 안을 이번에 위원회에서 발표했는데 그것도 고갈을 고작 몇년 늦추는, 미봉책에 불과하니까요.

    구조 자체적으로 유지가 가능한가? 그런 의문이 있습니다
    노바로마
    건강보험 기금이 적자인 것과 개별 병원들이 적자인 것은 또 다른 이야기다... 라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그리고 저는 국민연금도 애초부터 기금 고갈이 엄청난 문제라고 생각하지 않고 있거든요. 적립식에서, 부과식으로 바뀌는 개념이고 지금도 많은 국가들이 적립액이 아니라 당해 걷어서 당해 연금을 지급하는 방식을 쓰고 있습니다. 이것도 세대간의 연대인 거죠.
    그리고 연금 고갈 시점이 약 2050년 전후로 알고 있는데 이 때쯤이면 저는 솔직히 생산 구조 자체가 기술 중심으로 바뀔 거라고 예측되기도 합니다. 인간이 인간을 부양하는게 아니라, 기계가 인간을 부양하는 구조가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1
    그.. 건강보험이 적자가 나서 당장 병원에 돈을 못주는 상황은 한전이나 LH 적자와는 다르다는 말이었습니다
    노바로마
    건강보험이 적자가 난다고 병원에 돈을 못주지는 않을거에요.
    마지막에 언급하신 국고 보조를 제대로 해준다면야 말씀대로 걱정을 덜어도 되겠지만
    실상은 법으로 명시된 보조액조차도 [역대 진보/보수정권 안 가리고] 안 주고 버티고 있죠
    (이건 의료계 이전에 시민단체들이 먼저 문제제기하고 있을 정도입니다)
    1
    노바로마
    그건 좀 다른 문제라고 생각하긴 합니다만..... 말씀드린 대로 건강보험의 적자 문제가 심각해지는 경우는 그런 관행도 달라지리라고 생각합니다.
    1
    Beer Inside
    다음에는 티베깅 할 수 있도록 노오력하셔야....
    2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638 기타드라마 눈물의 여왕 김치찌개 24/05/01 1523 0
    14621 기타[불판] 민희진 기자회견 63 치킨마요 24/04/25 3584 0
    14610 기타6070 기성세대들이 집 사기 쉬웠던 이유 33 홍당무 24/04/20 3178 0
    14525 기타★결과★ 메.가.커.피 나눔 ★발표★ 27 Groot 24/03/11 2210 6
    14522 기타[마감] 메가커피 묵을사람 요기요기 붙어라~~~ 29 Groot 24/03/11 2143 1
    14517 기타어린시절 드래곤볼 1 피아니시모 24/03/08 1641 5
    14471 기타최근에 봤던 괜찮았던 지식유튜브 3 잡식동물 24/02/19 2016 1
    14462 기타안녕하세요 이시국 의대생입니다 20 땡땡 24/02/16 2773 0
    14460 기타존 미어샤이머 인터뷰 2 은머리 24/02/15 2073 9
    14448 기타이스라엘의 한니발 지침(Hannibal Directive) 4 은머리 24/02/11 2261 6
    14423 기타텃밭을 가꿉시다 20 바이엘(전문가) 24/01/31 2154 8
    14406 기타온라인 마케팅, 인간적으로 이렇게는 하지 맙시다. (feat. 치약) 17 化神 24/01/20 3162 19
    14394 기타[홈플] 1+ 특급돼지단원 분들께서는 주목!! 보먹돼가 떴읍니다 12 Groot 24/01/12 2516 1
    14357 기타만화)오직 만화만이 할 수 있는 것. 아트 슈피겔만의 <쥐> 1 joel 23/12/24 2549 13
    14338 기타스몰웨딩 하고싶은 티백들에게-2 4 흑마법사 23/12/16 2544 7
    14288 기타지갑 소매치기 당한 거 후기(?) 남깁니다. 7 덕후나이트 23/11/21 2866 1
    14276 기타드라마 안나 1 김치찌개 23/11/15 1875 1
    14211 기타ㅎㅎㅎ 너무 재미있어요. 만화로 배우는 곤충의 진화 ㅋㅋ 9 큐리스 23/10/20 2710 1
    14151 기타대입면접준비 자료 3 당당 23/09/23 2657 3
    14114 기타농축산업 분야에서 탄소를 저감하는법 1 copin 23/08/22 2292 0
    14098 기타[불판] 제6호 태풍 카눈 기상 관련 불판 98 swear 23/08/10 3572 0
    14086 기타시인봇을 한번 만들어 봤습니다. 3 큐리스 23/08/02 2179 1
    14074 기타7월의 책 독서모임 줌미팅 - 취소 풀잎 23/07/29 3007 2
    14056 기타구직 - 과외/ 일대일 영어 화상수업 14 풀잎 23/07/21 3695 9
    14040 기타[설문조사] '관광지 일탈행동에 관한 행동의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7 핑크팬더 23/07/14 2641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