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4/12/27 23:58:05
Name   골든햄스
Subject   공부가 그리워서 적는 대학 첫 강의의 기억

잘 모르고 어리버리하게 신청한 학부의 이름은 자유전공학부였고, 그곳에서는 법을 필수로 배우게 되어있었다.

큰 대강의실은 교수님을 바라보며 첩첩이 의자들이 쌓이게 되어있었고, 교수님은 그곳에서 싱긋이 웃고 계셨다.

첫 강의 시간에 나는 지각을 했고, 머뭇거리다 앞으로 나갔다. 교수님께서 날 쳐다보았다. “이 수업이, 법학통론이 맞나요?” 교수님은 그렇다고 하셨고 “법학통론 같지 않았나봐요.” 모두의 웃음이 터졌다.

라틴어, 한자, 예전의 범선 무역 거래까지 넘나들며 이야기하는 교수님의 수업은 항상 이해하기 어려웠고 신입생 때는 더욱 그랬다.

나는 민망해하며 자리로 털레털레 돌아갔다.

그뒤에도 수업은 계속됐다. 교수님은 소크라테스를 이야기하기도 하고, 별안간 한국 공인인증서 시스템에 맞서 1인소송한 이야기를 들려주기도 하셨다.

교수님은 완전히 자유로운 수업을 지향해 출결이 자유였기에 곧 아이들은 속속들이 지각하거나 결석하기 시작했다. 반 이상이 수업에 나오지 않았다. 학점 경쟁이 지금처럼 치열하지 않은 때라 가능했는지도 모르겠다.

나는 대강 씻고 내 게으름이 허락하는 정도의 시간에 나가 책상에 걸쳐 앉아서 강의를 그냥 라디오처럼 들었다. (교재도 더럽게 어려웠다) 그런데 교수님은 아이들이 그렇게 줄어드는 걸 보면 서운해하실 법도 할 텐데 하나도 티를 내지 않으셨다. 오히려 늘 허리춤에 마이크를 차고 아이들에게 질문을 던지고는 손을 든 아이가 있으면 너무도, 기쁜 얼굴로 해맑은 아이 같이 통로를 뛰어오는 것이었다.

그 표정, 항상 잘 다리지 않아 구겨져있는 교수님의 셔츠.
나는 왠지 모르게 교수님이 매우 좋아져 아이들에게 ‘교수님이 잘생겼다’고 말하고 다녔다. 실은 잘생기진 않으셨고 평범하셨는데 왠지 모르게 나는 대단히 흥분했다.

“법만의 특성은 무엇일까요?”
“어… 강제성 아닐까요?” 수줍은 일학년 새내기인 나의 대답에 교수님은 세상에 그런 똑똑한 대답이 있냐는 듯 감탄하는 얼굴로 고개를 끄덕여주셨다. 그 모든 이야기를 매해 듣고 또 들었을 텐데도.
“하지만 강제성이 없는 법들도 있어요. 그건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요?”

나는 입이 말랐다. 하여간 그런 식으로 수업은 진행됐고, 법치주의에 대해 웬 영국 판사가 쓴 책을 읽었다.
그런데 어느 날. 햇빛에 비치는 먼지들이 춤추듯 유영하는 그날 눈부신 오전에서 정오로 넘어가는 그 시각 즈음.
아. 이게 마그나 카르타로부터 시작된 권리를 확대해나가는 큰 흐름의 이야기구나. 나는 감동해 눈을 뜨며 책을 바라보았다. 역사가 눈앞에 보이는 것 같았다. 저기 선 존 왕의 굴욕부터, 서명되는 마그나카르타, 보스턴 항구의 티파티 사건, 미국 원주민들의 굴욕과 미국의 영국으로부터의 독립, 항의하는 자산이 없는 사람과 여자들, 흑인들도 투표권을 보장받고, 법은 계속해서 향해 달려간다.

그 화살표의 존재에 너무도 눈부신 환희가 느껴져 나는 어느 순간인가 그 수업에 진심이 되었다. 기말고사 때, 교수님께서는 시험기간이 얼마 남지 않았음에도 숭실대 법학 교수를 불러 당시 화제던 정치에 대한 사법의 참여 자제에 대한 세미나를 하였다. SNS로 당대 논객들에 대해 잘 알고 있던 나는 이미 알고 있는 연사였기에, 신이 나서 강연을 들었다. 애들은 거의 몰래 시험공부를 하거나 자고 있었다.

“오늘 내용으로 시험을 낼 겁니다.” 설마 그 말이 농담 아니라 진담이셨을 줄이야. 기말은 오픈북이었지만 그 강연에 나온 이야기를 주제로 했고, 그다지 어렵지 않게 글을 써내려가는 나를 동기 하나가 유심히 관찰하였다. 나는 답안을 쓰는 게 재밌었다. 결과는 A. 족보를 못 받아 과제를 망친 것 치고는 나쁘지 않았다. 무엇보다 즐거웠다.

그 첫 학기, 나는 뭐가 뭔지 모르고 과 사무실에 불려가 하필 과에서 4등을 하게 돼서 성적 장학금을 못받게 된 것이 아쉬우니 외부 장학금을 연결해주겠단 말을 들었다. “아주 잘했는데 아쉽단 말이지..” 학생을 진심으로 생각해주는 과 사무실의 아저씨의 안경 너머의 시선이 낯설었다. 곧이어 자기 재산을 학교에 기부하고 돌아가신 웬 할머니의 이름으로 된 장학금을 받았다.

인정 받았다.
나는 이 학교에서 배제당하거나 따돌림 당하지 않는다.
환대 받는다.
그런 느낌이 들었다.

그리고 여전히 대학을 생각하면 그 큰 1층 신법학관 대강의실이 생각나, 추억에 젖곤 하는 것이다. ‘이야. 1학년들을 데려다 놓고 그런 강의를 하시다니.’ 하고 생각도 좀 하고.

그때부터 배운 법학들은 정말 재밌었다. 아버지와 지낸 것의 상처와 지난 불우한 환경 속에서 억지로 공부를 이어온 것의 후유증이 도져 위장장애와 디스크 등으로 낙마하게 되기 전까지만 해도. 나는 ‘공부는 섹스다!’ 라고 속으로 진심으로 주장했다. (큰소리로 말하지는 않았다)

그리고 학대적인 아버지로부터 의절하는 과정과 로스쿨 입시, 연대채무 상환, 아이들의 외면 등의 상처가 쌓인데다 덤으로 뒤늦게 긴장이 풀렸는지 나는 로스쿨에서부터 희귀병 섬유근육통 의심진단을 받고 앓기 시작해 그로부터 한참을 공부하는 감각을 잃게 된다.

실은 지금까지도 그 감각을 잃고 있다. 이제는 이미지밖에 눈앞에 그려지지 않는다. 언제나 구겨진 엉망의 옛날식 체크 셔츠를 입고 나오던 교수님과, 그 교수님과 결혼하겠다며 동기들에게 선언하던 나, 햇빛에 춤추는 먼지들, 채 다 읽지도 못하지만 나중에 그 뜻을 이해하게 된 교재 (<법의 지배>), 그리고 언제나 내가 사랑한, 마그나 카르타.

-

다시는 공부를 못하게 되더라도, 나는 행운아다. 아버지 밑에서 가난과 학대 속 계속 살았더라면 죽거나 미쳤을 거다. 나는 내가 미친 여자가 되어 길거리를 떠도는 게 잘 상상이 갔다. 아주 잘. 그에 비해 지금은 어떤가. 꽤 편안한 잠자리에서 사랑하는 사람과 잠에 들고 전업주부를 해도 좋다는 제안을 받는다. 세간의 시선으로 보아 성공이 틀림 없다.

그런데, 언제 그 책을 또 읽지.
.
.
.
아니, 애초에 그 책이 의미가 있었나.

이동학대에 관한 법률이 왜이리 현실에서 안 쓰이냐고 가져간 내 앞에서, 로스쿨 교수님은 말씀하셨다. “법은 종이 위에 글자에 불과해요.”

그러면 나는 법을 떠나야 할까?


///
다들 대학 첫 강의의 기억을 공유해주세요 !!!



12


    사이시옷
    첫 강의 기억이 안납니다.. 뭐였지..
    술에 진탕 취해있었어서 그런걸지도 모르겠습니다..
    3
    사슴도치
    KKC교수님인가보네요 ㅎㅎㅎ저는 첫 강의때 다른 교수님에게 sin과 crime에 대한 차이를 들었는데, 그 교수님이 독실하신 분이라 다들 시험지에 성경구절 적고 오고 그랬던 기억이 있네요 ㅋㅋㅋ
    1
    골든햄스
    앗 ㅋㅋ 역시 아시는 분이
    글쓰기 필수교양이었던 것 같은데... 처음 가보는 대학 강의실에 외부인?들이 와서 무슨 영화 연극 관람권 같은 거 홍보했던 기억이 나네요. 새내기들 홀랑 낚이곤 하는?
    수업시간엔 뭐했더라... 개강 전에 얼굴 봐서 반가운 동기들도 있었고, 처음 보는 동기들도 있었고, 여러모로 설렜던 시기였죠
    1
    even&odds
    1492년


    미합중국의 시민이 되려고 노력하는
    사람들을 심사하는 로스 앤젤레스 판사 앞에
    이탈리아의 식당 주인도 왔다. 진지하게 준비해 왔지만
    유감스럽게도 새 언어를 모르는 장애 때문에 시험에서
    補則 제8조의 의미를 묻는 질문을 받고
    머뭇거리다가 1492년이라고 대답했다.
    시민권신청자에게는 국어에 대한 지식이 법으로 규정되어 있으므로
    그의 신청은 각하되었다. 3개월 뒤에
    더 공부를 해가지고 왔으나
    물론 새 언어를 모르는 장애는 여전했다.
    이번에는 남북전쟁에서 승리한 장군이 누구였는가 하는
    질문이 주어... 더 보기
    1492년


    미합중국의 시민이 되려고 노력하는
    사람들을 심사하는 로스 앤젤레스 판사 앞에
    이탈리아의 식당 주인도 왔다. 진지하게 준비해 왔지만
    유감스럽게도 새 언어를 모르는 장애 때문에 시험에서
    補則 제8조의 의미를 묻는 질문을 받고
    머뭇거리다가 1492년이라고 대답했다.
    시민권신청자에게는 국어에 대한 지식이 법으로 규정되어 있으므로
    그의 신청은 각하되었다. 3개월 뒤에
    더 공부를 해가지고 왔으나
    물론 새 언어를 모르는 장애는 여전했다.
    이번에는 남북전쟁에서 승리한 장군이 누구였는가 하는
    질문이 주어졌는데,(큰 소리로 상냥하게 나온) 그의 대답은
    1492년이었다. 다시 각하되어
    세번째로 다시 왔을 때, 대통령은 몇 년마다 뽑느냐는
    세번째의 질문에 대하여 그는
    또1492년이라고 대답했다. 이번에는
    판사도 그가 마음에 들었고 그가 새 언어를
    배울 수 없음을 알아 차렸다. 그가 어떻게 살아가는지 조회해 본 결과
    노동을 하면서 어럽게 살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그가 네번째로 나타났을 때 판사는그에게
    언제 아메리카가 발견되었느냐고 물었다.
    그리하여 1492년이라는 그의 정확한 대답을 근거로 하여
    그는 마침내 시민권을 획득하였다. (1943)

    ㅁ Bertolt Brecht(1898.2.10~1956.8.14 東獨)
    1
    골든햄스
    ㅜㅜㅜ 브레히트…
    even&odds
    이걸 발제문으로 가져가서 로스쿨 면접 스터디 했던 기억이 ㅎㅎㅎ 꿈인가 싶은 오래된 전생같네요

    새로운 날에 새로운 감각이 깃들기 바랍니다 😌
    골든햄스
    뻥 아니고 글 보고 울고 있어요 ㅋㅋㅋㅋ
    법은 왜이리 내게 애증인지 …
    even&odds
    첫사랑이 원래 지독하여.. 충분히 적당히 눈물 지으씸씨오 🥲
    1
    골든햄스
    안 그래도 접어야 하는지 그래도 따기는 따고 다른 길 갈지(?) 고민이었소… 꼬치구이 이자카야 가즈아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5192 일상/생각대체 여기가 어딘지는 모르지만 도달했습니다 8 골든햄스 25/01/07 1520 20
    15191 정치탄핵심판의 범위 및 본건 탄핵심판의 쟁점 5 김비버 25/01/06 1013 14
    15190 댓글잠금 정치시민의 책임은 어디까지일까 52 Daniel Plainview 25/01/06 2681 24
    15189 일상/생각집안에 기강이 안선다고 한마디 들었어요.ㅠㅠ 15 큐리스 25/01/06 1460 2
    15188 IT/컴퓨터인공지능 시대,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말빨" 4 T.Robin 25/01/05 1102 7
    15187 정치어떻게 내란죄가 입증되는가 10 매뉴물있뉴 25/01/04 1654 11
    15186 일상/생각공백 없는 이직을 하였읍니다. 11 Groot 25/01/04 1315 21
    15185 정치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제2차 변론준비기일 방청기 8 시테 25/01/03 1293 25
    15184 일상/생각요즘 느끼는 소소한 행복 5 큐리스 25/01/03 900 10
    15183 정치한국 정치에 대해 또 다른 주제로 투표하는 미국분들 1 kien 25/01/03 1155 0
    15182 기타요즘 보고 있는 예능(17) 김치찌개 25/01/02 780 0
    15181 방송/연예2024 걸그룹 6/6 6 헬리제의우울 25/01/01 1041 26
    15180 정치해외도박사이트의 윤석열 4월 이전 탄핵확률 추이 7 kien 25/01/01 1724 0
    15178 일상/생각2024년 취미 활동 결산 메존일각 24/12/31 746 8
    15176 생활체육2024년 내란모의 GOAT 운동 결산 4 danielbard 24/12/30 1097 2
    15175 도서/문학마르크스가 본 1848년부터 1851년까지의 프랑스 정치사 3 카페인 24/12/30 973 6
    15174 일상/생각지옥길을 걷고 있다면, 7 호미밭의파스꾼 24/12/30 1305 38
    15173 스포츠[MLB] 코빈 번스 6년 210M 애리조나행 김치찌개 24/12/30 518 0
    15172 스포츠[MLB] 폴 골드슈미트 1년 12.5M 양키스행 김치찌개 24/12/30 536 0
    15171 음악[팝송] 카일리 미노그 새 앨범 "Tension II" 2 김치찌개 24/12/30 494 0
    15170 여행[2024 나의 이탈리아 여행기] 1. To Rome 2 Omnic 24/12/29 622 7
    15169 방송/연예오겜2 짧은 후기 3 Leeka 24/12/29 793 0
    15168 도서/문학밀란 쿤데라가 보는 탄핵정국 sisyphus 24/12/28 1022 1
    15167 정치한강과 이영도: 사랑보다 증오가 쉬운 세상에서 2 meson 24/12/28 945 7
    15166 음악[팝송] 더 스크립트 새 앨범 "Satellites" 김치찌개 24/12/28 492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