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5/11/27 18:43:57 |
Name | realise |
Subject | 심심해서 써 보는 에어컨 팔았던 이야기.+잡담 |
24살 때였던가. 하여튼 이제 막 처절한 군인의 삶과 이별하고 군대에 비하면 꿀중에 개꿀인 학생의 삶으로 돌아간지 얼마 안 되었을 때 이야기네요. 지금으로부터 무려 6년이나 지났습니다. 흑 세월 참. 어쨌든 여름방학 때 빈둥빈둥 놀기도 뭐 하고 해서 아르바트를 하러 갔습니다. 길게 할 수도 없고, 뭐 짧게 할 수 있는 게 없나 찾아보니 여름 에어컨 판매 행사 아르바이트가 있더군요. 판매업이라는 걸 평생 해 본 적도 없고, 아마 앞으로도 해 볼 일은 없을 것 같은데 이번에 그래도 판매라는 게 어떠한 건지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 할 수 있을 것 같아 냅다 지원했습니다. 지원을 하고 KTX를 타고 왔다갔다 하면서 교육을 받고 매장에 투입되었습니다. 여기서 매장이라함은, 대형마트 전자매장입니다. 흔히 대형 전자매장 직원들이 그 매장에 소속된 직원이라고 많이들 생각하시는데, 실제로는 각 전자회사에서 파견한 직원들입니다. 매장에서는 굳이 직원 돈 주고 쓰지 않아도 전자회사에서 직접 직원 뽑아 보내주니 인건비 아끼는거고(명목상 마트 직원도 아니고 전자회사직원이지만, 당연히 을이기 때문에 마트에서 시키는 업무도 다 해야 합니다.) 전자회사들은 그렇게 직원 집어넣어 자사 제품 파니까 서로 윈윈인거죠. 당연하게도 파견 형식으로 가는 것이기 때문에 아는 사람도 없고 뭐 정보도 없이 무작정 가게 되었습니다. 물론 남 밑에서 일 하는 것이긴 하지만 기본적으로 승부욕이라는 게 있으니, 남들보단 잘 하자라는 생각으로 공부도 열심히 하고, 어떻게 제품을 팔아야 할까 고민도 많이 했던 것 같습니다. 고민 방법이야 뭐 24살의 대학생, 그것도 상경계 전공생이라면 뻔하죠. 제품의 어떤 부분에서 경쟁사에 비해 우위가 있는가, 차별적으로 강조할 수 있는 기능은 어떤 부분인가, 가격경쟁력은 어떠한가. 이 부분을 어떻게 경쟁사에 비해 차별적인 장점으로 고객이 제품을 살 수 있는지 설명해야 하는가에 대해 그래도 일당받는 아르바이트 치고는 많이 고민했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타 경쟁사 직원들과 어떻게 지내지? 라는 고민도 했습니다. 한국이야 누구나 알아주는 무한경쟁 사회아닙니까. 걱정할 만 하죠. 타 회사 직원들과 어떤 트러블이 생길지... 하지만 언제나 제가 예상한 부분과 현실은 다르더군요. 저의 고민따위는 아무런 필요가 없었습니다. 왜냐구요? 한국인의 장점이 뭡니까. 바로 정(情) 문화 아니겠습니까. 매장에는 여러 회사 직원들이 많이 있습니다. 뭐 대표적으로 에어컨이면 LG, 삼성, 그리고 캐리어가 있었죠. 손님이 방문했을 때 매일 서로 얼굴보고 사는 이 직원들이 어떻게 감히 한 매장에서 손님을 두고 경쟁을 합니까.ㅡㅡ 한국인의 정 문화에서는 말같지도 않은 소리지요. 그럼 어떻게 하느냐? 일단 숨어있습니다. 에어컨 코너가 있으면 그 코너 주위로 가지 않는 것이죠. 그러면 손님이 에어컨을 보러 오는 손님이 있습니다. 그럼 이제 뭘 하느냐... 가위바위보를 하는 거죠 ㅡㅡ;;; 가위바위보도 있고, 순번을 정해놓은 곳도 있고, 하여튼 매장마다 일종의 자체적인 '룰'이 있습니다. 이렇게 룰이 있고 손님이 매장에 들어오면 그 룰에 의해 정해진 회사 판매원이 가서 이제 인사를 하고, 어떤 제품을 보러 오셨나요? 물어보며 자사 제품 호객행위를 하는 것이죠. 당연하게도 제품간의 세세한 비교같은 건 없습니다. 자사 제품을 팔아야 자기한테 월급이 나오고 인센티브가 떨어지는데, 기껏 가위바위보 해서 이겼놓고 왜 남의 제품을 팔아줍니까. 결국 가서 이야기하는 건 우리회사제품이 최고라는 거지요. 저도 그렇게 가위바위보를 해서 제품을 팔기위해 나갔던 적이 있습니다. 처음에는 저도 각 제품의 장단점, 내가 파는 제품이 가질 수 있는 장점, 소위 스펙과 제원을 이야기하며 설명했는데, 정말 첫 일주일동안 단 한 대도 팔지 못했습니다. 정말입니다. 다른 제품 수없이 나갈 때 말이죠. 그래도 제가 나름 사람들한테 인기는 있었나 봅니다. 아니면 불쌍하게 보였거나 ㅡㅡ;;;;; 단기 알바로 와서 한심하게 행동하는 제 모습이 안타까웠는지 타 회사 직원, 저보다 나이가 10살은 많았던 형님께서 "야 너 그렇게 하는 거 아니다" 라고 하시면서 직접 시범을 보여주더군요. 자세하게 적긴 뭐하지만, 대충 기억나는 대로 적어보면, 아 사장님(or 사모님) 오늘 좋은 물건이 와 있는데 진짜 좋은 기회 잡으신 겁니다. 사장님 같은 품격있는 분에게 정말 딱 맞는 제품이 하필 오늘같은날 정말 믿을 수 없는 가격으로 나와 있습니다. 바로 이 제품입니다. 이 제품이 요즘 가장 인기도 많고 많이 팔립니다. 사람들이 요즘 매장에만 오면 이거 달라고 난리고 이것만 사가요. 아 다른 제품보다 무조건 이 게 최고입니다. 사가신 분들도 전부 제품 좋다고 난리입니다. 자세한 기억은 안 나는데 이렇게 판매를 했고, 그렇게 일주일 내내 파리만 날리던 저는 그 형 덕에 바로 그 날 첫 판매를 기록했습니다 ㅡ.ㅡ;;;;;;;;;;;;;;;;;;; 그 때 느꼈던 첫 심정은 아 X발 다 필요없네. 였고. 조금 시간이 지나서 느낀 심정은 내가 아는 게 하나도 없구나 였습니다. 내가 뭐 많이 배우면 뭐합니까. 막상 현장에서는 아무짝에도 쓸모가 없는데... 그리고 판매하는 사람들, 이 거 다, 다 그짓말인거 아시죠? 어쨌든 판매는 그냥 당시 동기들에 대비해서 중상위? 권은 했던 것 같습니다. 그렇게 단기 알바를 끝내고 돌아왔습니다. 그리고 어쩌다 2층 단독주택 2층 전체를 저 혼자서 쓰게 되었던 적이 있습니다. 그런데 새로 산 집이고 집에 가전제품같은 게 하나도 없었죠. 뭐 저희 부모님이라고 별 다를 게 있습니까. 근처에 대형 전자매장 가서 티비, 세탁기, 냉장고, 전자레인지, 에어컨 다 한 번에 사 오셨는데, 뭐 당연하게도 다 같은 회사 제품이었습니다 ^^;;;;; 그렇게 알바해서 번 돈은 24살짜리가 꼴에 사회인 야구한다고 야구 장비 사는데+ 당시 인기게임이던 슬러거 현질에 다 털어넣었습니다. 야구장비 이거 꽤나 비싸더군요. 장비 뿐만 아니라 제가 가입한 야구단이 금융회사 다니시는 분들 주도로 만들어진 건데 야구 한 번 할 때마다 씀씀이도 제가 감당하기 좀 어려운 씀씀이었긴 했습니다. 더군다나 아무래도 주도하신 분들이 회사 직원분들이시니 암암리에 경기 출전하는데 차별도 좀 있었고 해서 그만두긴 했습니다만. 뭐 결론은... 판매자 말 믿지말자 일까요? 1
이 게시판에 등록된 realise님의 최근 게시물 |
저도 하기전엔 몰랐어요 크크. 근데 이게 직접 해보면서 느끼는건데, 막상 면대면으로 사람을 대할 때 소비자만족도 같은 지표는 진짜 저~언혀 쓸모가 없었습니다... 참 사람대 사람의 직접적인 대화에서 그냥 일상대화가 아닌 부분은 정말 엄청나게 예상밖이었어요. 미국분이시니 그냥 개인적인 생각을 좀 더 하자면 미국 변호사시스템이 배심원제인데, 미국 변호사들이 법률적인 논리보다 법정안에서 보여지는 사소한 몸짓 하나하나, 변론을 할 각각의 변론 파트에서 피고인과 변호사가 지어야하는 표정관리 등 법률가보다 심리학전공자들과 더 긴밀하게 업무 협력을 한다는 이야기가 거짓말은 아닌 것 같습니다.
판매를 업으로 하는 사람으로서 약간의 변명 아닌 변명을 해보자면(;) 마냥 허풍이거나 뻥,거짓말은 아닙니다. 확대나 은폐는 해도(..) 무에서 유를 만들어내지는 못하지요.
다만 지표따위는 실물경제에 크게 체감되지 않는다는 것 뿐이지요. 내가 굶고 있으면 전체적인 경제지표 암만 높아져봐야 뭔 소용이겠습니까.. 뭐 그런거죠.
또한, 뭔가 껀덕지(..)가 있어야 그걸 부각시켜서 판매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마케팅할때도 그런걸 많이 부각시키죠.
미국도 한국 같을지는 모르겠는데, 전단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광고에서 뭔가 크게 나타났... 더 보기
다만 지표따위는 실물경제에 크게 체감되지 않는다는 것 뿐이지요. 내가 굶고 있으면 전체적인 경제지표 암만 높아져봐야 뭔 소용이겠습니까.. 뭐 그런거죠.
또한, 뭔가 껀덕지(..)가 있어야 그걸 부각시켜서 판매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마케팅할때도 그런걸 많이 부각시키죠.
미국도 한국 같을지는 모르겠는데, 전단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광고에서 뭔가 크게 나타났... 더 보기
판매를 업으로 하는 사람으로서 약간의 변명 아닌 변명을 해보자면(;) 마냥 허풍이거나 뻥,거짓말은 아닙니다. 확대나 은폐는 해도(..) 무에서 유를 만들어내지는 못하지요.
다만 지표따위는 실물경제에 크게 체감되지 않는다는 것 뿐이지요. 내가 굶고 있으면 전체적인 경제지표 암만 높아져봐야 뭔 소용이겠습니까.. 뭐 그런거죠.
또한, 뭔가 껀덕지(..)가 있어야 그걸 부각시켜서 판매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마케팅할때도 그런걸 많이 부각시키죠.
미국도 한국 같을지는 모르겠는데, 전단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광고에서 뭔가 크게 나타났다 싶으면 그게 눈에 띄는 장점이라 눈에 들어오기 쉽게 해놨다는 기법..같은 거랄까요.
확실한건 근거가 제로이면 소비자가 믿지 않기 때문에 작은 장점을 크게 부풀리는 정도는 합니다. 완전 뻥은 안쳐요.(..) 근거가 아예 없는 것을 장점으로 부각시키려 하면 소비자들이 모를리가 없고, 설명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고 그 매장은 발길이 끊기겠지요.
다만 지표따위는 실물경제에 크게 체감되지 않는다는 것 뿐이지요. 내가 굶고 있으면 전체적인 경제지표 암만 높아져봐야 뭔 소용이겠습니까.. 뭐 그런거죠.
또한, 뭔가 껀덕지(..)가 있어야 그걸 부각시켜서 판매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마케팅할때도 그런걸 많이 부각시키죠.
미국도 한국 같을지는 모르겠는데, 전단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광고에서 뭔가 크게 나타났다 싶으면 그게 눈에 띄는 장점이라 눈에 들어오기 쉽게 해놨다는 기법..같은 거랄까요.
확실한건 근거가 제로이면 소비자가 믿지 않기 때문에 작은 장점을 크게 부풀리는 정도는 합니다. 완전 뻥은 안쳐요.(..) 근거가 아예 없는 것을 장점으로 부각시키려 하면 소비자들이 모를리가 없고, 설명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고 그 매장은 발길이 끊기겠지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