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하룻만에 상황이 많이 바뀌었네요. 이제 의료진에 의한 접촉성 전염을 의심할텐데 뭐 시정할건 시정해야지만 다른 족쇄만 더 생길거 같아 괴롭긴 합니다. 한국 같은 병원 시스템 (다인실, 보호자 상주, 의료인 1인당 담당 환자가 과다, 외래수 과다)에서 이것 참 지키기 쉽잖거든요. 점심 밥도 5분안에 먹는 병원 노동자들에게 환자보고 다음환자 보기 전에 손 1분 이상 씼으라는 방침 같은거 생기면 참... 기승전수가가 의사들의 흔한 레퍼토리긴 하지만 이렇게 물량으로 때워야 경영이 되게 만들어 놓은 의료시스템에서 외국 가이드라인의 적용은 현실적이지 않죠. 어쨌던 커뮤니티 감염만은 막아야 하겠습니다..
아직 대중에대한 위생대책이라고 나온건 없지만 신종플루때 대책과 차이가 없을겁니다. 손 잘씻고 사람 많은곳 피하고 마스크는 바이러스에 큰 의미는 없지만 N95마스크는 좀 도움 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공기전파가 되니 안되니 설이 좀 있는데 저는 아직 안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되었으면 이렇게 산술급수적으로 환자가 증가하진 않았을거에요)
현재는 모두 병원내 감염이고 환자가 없는 단순 외래 진료는 큰 위험은 없을거라고 생각하지만 병실 방문혹은 간병에 대해서는 신중하게 생각하셔야 합니다. 물론 저는 오늘도 경기 남부권 병원에 출근했지만 말입니다.
현재는 모두 병원내 감염이고 환자가 없는 단순 외래 진료는 큰 위험은 없을거라고 생각하지만 병실 방문혹은 간병에 대해서는 신중하게 생각하셔야 합니다. 물론 저는 오늘도 경기 남부권 병원에 출근했지만 말입니다.
원래 이번 주에 사망자가 나올걸로 예상은 하고 있었습니다만.. 그 첫 사망자가 확진 환자가 아니라는 점에서 충격이 있었죠. (두번째 사망한 71세 환자가 사망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었습니다..) 대략 10-20% 선의 사망률을 보이지 않을까 싶은데.. 모르겠네요.. 휴교는 현 시점에선 오버라고 생각합니다만, 초기대응의 실패로 이미 일이 커져버렸으므로 의학적 예측이란걸 넘어서는 결정이 되버렸네요. 지금도 들려오는 소식들이 좀 흉흉합니다. 제대로 된 격리병상이 많지 않다 보니 보건 당국에서 전원을 꽤 시키고 있어요. 여튼 컨트롤타워의 능력부족은 확실해 보입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2&aid=0002603081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79&aid=0002715452
어제 저녁부터 카톡으로 대청,건양,충대병원 조심하라고 카톡으로 돌았는데, 그게 3차 확진자였네요.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79&aid=0002715452
어제 저녁부터 카톡으로 대청,건양,충대병원 조심하라고 카톡으로 돌았는데, 그게 3차 확진자였네요.
메르스 3차 감염자가 발생한 최초국가가 되었습니다...
오늘 오전
보건복지부에서, \"메르스 전파 병원 공개 불가\" 입장을 밝힌 기사를 보았는데,
메르스 전파 병원과 관련없는, 일부 병원에서 게시했던 안내문 내용중
= 국민들의 안전과 알 권리를 위해=
전파 병원 명단을
올려봅니다!
메르스 접촉(체류및 입원)병원:
분당 제생병원(음성판정)
삼성 서울병원(입원)-14번 확진자 통해 현직 의료진 3차 감염
여의도 성모병원... 더 보기
오늘 오전
보건복지부에서, \"메르스 전파 병원 공개 불가\" 입장을 밝힌 기사를 보았는데,
메르스 전파 병원과 관련없는, 일부 병원에서 게시했던 안내문 내용중
= 국민들의 안전과 알 권리를 위해=
전파 병원 명단을
올려봅니다!
메르스 접촉(체류및 입원)병원:
분당 제생병원(음성판정)
삼성 서울병원(입원)-14번 확진자 통해 현직 의료진 3차 감염
여의도 성모병원... 더 보기
메르스 3차 감염자가 발생한 최초국가가 되었습니다...
오늘 오전
보건복지부에서, \"메르스 전파 병원 공개 불가\" 입장을 밝힌 기사를 보았는데,
메르스 전파 병원과 관련없는, 일부 병원에서 게시했던 안내문 내용중
= 국민들의 안전과 알 권리를 위해=
전파 병원 명단을
올려봅니다!
메르스 접촉(체류및 입원)병원:
분당 제생병원(음성판정)
삼성 서울병원(입원)-14번 확진자 통해 현직 의료진 3차 감염
여의도 성모병원,
수원 성빈센트병원(입원),
동탄 성심병원(한림대)(입원)- 사망후에 25번 확진자 판정(3차 감염자 발생 여부 주시)
평택 굿모닝병원,
평택 성모병원(입원)- 확진자 28명 발생; 자진 폐쇠 선언...
오산 한국병원,
외
대전 충대병원(국가지정 격리 치료 시설)- 23,24,31번 확진자를 발생시키는 계기가 되어버린 16번 확진자 이송후 격리 치료중
아산 둔포 서울의원- 1번확진자가 평택성모병원으로 가기전 체류로 인해, 2차 감염으로 8번 확진자 발생
서울 365 열린의원- 1번 확진자로 인해, 의료진(의사) 2차 감염후 5번 확진자 발생
대전 대청병원(입원)- 1번 확진자에 의해 감염된 16번 확진자가 입원후, 3차 감염자인 30번 확진자 발생; 추가 3차 감염자가 생길 가능성을 예의주시중
대전 건양대 병원(입원)- 대청병원에서 3차 감염된 30번 확진자가 옮겨와 2일간 입원으로 다수의 3차 감염자 발생
30번 확진자로 인해 23, 24,31번 확진자 발생; 추가 3차 감염자가 생길 가능성을 예의주시중
( 앞으로 더 추가되는 병원들이 있을것으로 예상됨! )
홍콩/중국에서 전파병원들의 자료를 요구하고 있다는 이야기가 돌고 있으며,
홍콩/중국에 전달되면, 그때서야 국민들이 알게 되는것인가 하는
개탄과 분노의 목소리들이 높아가고 있습니다...
작년 14년 4월경 메르스에 감염된 사우디아라비아 거주 미국인이 미국에 입국후,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자마자, 미국에서 발휘한 초동 대응의 사례와 너무나도 反하는
이 나라의 관계자들의 부적절하기 그지없고, 미숙하며, 무능력한 행태로 앞으로 얼마나 더 많은 억울한 희생자들이 나와야 제정신을 차릴런지...
미국 의료관계자가 이번 한국의 메르스사태를 이례적인 사례라고 지적하며,
\"특히 최초 감염자가 2차 감염자에게, 또 2차 감염자가 3차 감염자에게 전염시키는
\'연속적인 사람 간 전염\'의 경우는 없었다\"고 확언했다고 하던데,
국민들 각자의 건강과 안전은 국민들 스스로가 알아서 지키라고 하는 이 나라...
이 나라의 응급 의료, 방역체계는 어째서 더욱더 체계적이고, 발전에 발전을 거듭하는것이 아닌
안이하기 그지없고, 퇴보만 가속화 되고 있는 것인지, 이 나라의 작금의 현실에 통탄과 경악을 금치 못하며,
앞으로도 신뢰할수 없는 이 나라 정부 관계자들의 무능력함과 안일& 안이한 행태의 시급한 개선을 촉구하고 싶은 마음뿐!!
오늘 오전
보건복지부에서, \"메르스 전파 병원 공개 불가\" 입장을 밝힌 기사를 보았는데,
메르스 전파 병원과 관련없는, 일부 병원에서 게시했던 안내문 내용중
= 국민들의 안전과 알 권리를 위해=
전파 병원 명단을
올려봅니다!
메르스 접촉(체류및 입원)병원:
분당 제생병원(음성판정)
삼성 서울병원(입원)-14번 확진자 통해 현직 의료진 3차 감염
여의도 성모병원,
수원 성빈센트병원(입원),
동탄 성심병원(한림대)(입원)- 사망후에 25번 확진자 판정(3차 감염자 발생 여부 주시)
평택 굿모닝병원,
평택 성모병원(입원)- 확진자 28명 발생; 자진 폐쇠 선언...
오산 한국병원,
외
대전 충대병원(국가지정 격리 치료 시설)- 23,24,31번 확진자를 발생시키는 계기가 되어버린 16번 확진자 이송후 격리 치료중
아산 둔포 서울의원- 1번확진자가 평택성모병원으로 가기전 체류로 인해, 2차 감염으로 8번 확진자 발생
서울 365 열린의원- 1번 확진자로 인해, 의료진(의사) 2차 감염후 5번 확진자 발생
대전 대청병원(입원)- 1번 확진자에 의해 감염된 16번 확진자가 입원후, 3차 감염자인 30번 확진자 발생; 추가 3차 감염자가 생길 가능성을 예의주시중
대전 건양대 병원(입원)- 대청병원에서 3차 감염된 30번 확진자가 옮겨와 2일간 입원으로 다수의 3차 감염자 발생
30번 확진자로 인해 23, 24,31번 확진자 발생; 추가 3차 감염자가 생길 가능성을 예의주시중
( 앞으로 더 추가되는 병원들이 있을것으로 예상됨! )
홍콩/중국에서 전파병원들의 자료를 요구하고 있다는 이야기가 돌고 있으며,
홍콩/중국에 전달되면, 그때서야 국민들이 알게 되는것인가 하는
개탄과 분노의 목소리들이 높아가고 있습니다...
작년 14년 4월경 메르스에 감염된 사우디아라비아 거주 미국인이 미국에 입국후,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자마자, 미국에서 발휘한 초동 대응의 사례와 너무나도 反하는
이 나라의 관계자들의 부적절하기 그지없고, 미숙하며, 무능력한 행태로 앞으로 얼마나 더 많은 억울한 희생자들이 나와야 제정신을 차릴런지...
미국 의료관계자가 이번 한국의 메르스사태를 이례적인 사례라고 지적하며,
\"특히 최초 감염자가 2차 감염자에게, 또 2차 감염자가 3차 감염자에게 전염시키는
\'연속적인 사람 간 전염\'의 경우는 없었다\"고 확언했다고 하던데,
국민들 각자의 건강과 안전은 국민들 스스로가 알아서 지키라고 하는 이 나라...
이 나라의 응급 의료, 방역체계는 어째서 더욱더 체계적이고, 발전에 발전을 거듭하는것이 아닌
안이하기 그지없고, 퇴보만 가속화 되고 있는 것인지, 이 나라의 작금의 현실에 통탄과 경악을 금치 못하며,
앞으로도 신뢰할수 없는 이 나라 정부 관계자들의 무능력함과 안일& 안이한 행태의 시급한 개선을 촉구하고 싶은 마음뿐!!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