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5/06/02 04:56:41
Name   곧내려갈게요
Subject   메르스 사건이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듭니다. 사망자 발생, 3차감염 등
메르스 사건이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듭니다.

가히 최악의 상태가 아닐까 싶을 정도인데, 어떻게 이렇게 동시다발적으로 나쁜소식이 터졌나 싶습니다.

첫번째. 어제 사망한 의심환자는 메르스 양성반응이 나왔답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7632438

두번째, 6번째 확진환자였던 71세의 남성 역시 사망했다고 합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8&aid=0003481287

세번째, 3차감염자 확인되었답니다. 보건 당국에 따르면 지역사회 전파는 아니고 의료기관 내 감염이라고 합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6555136


그리고 첫번째 사망자의 경우 격리조치가 제대로 행해지지 않은것 같습니다.
http://media.daum.net/society/welfare/newsview?newsid=20150601221606647
입원 6일 후에야 격리조치가 취해졌다고 합니다.
병원측에 따르면 25일 평택에서 수원으로 이송되던 중 상태가 위중해져 해당 병원의 응급실로 내원했고,
31일 오후 8시께 복지부에서 연락이 와서 의심환자라는 것을 뒤늦게 알게 돼 그제서야 환자와 의료진이 격리되었다고 합니다.
이 정도면 구멍이 뚫려도 심하게 뚫린게 아닌가 싶네요.

이미 우리나라는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에 이어 메르스 발병 숫자가 세번째로 많은 나라가 되었다고 합니다.
이 사건이 어디로 흘러갈지 정말 걱정스럽습니다.



0


    그냥 가볍게 지나가나 했는데 심상치 않네요... 큰 일 나는거 아닌가 걱정됩니다.
    XellOsisM
    진짜 무섭고 걱정스럽습니다.
    Holy shit !
    3차 감염이라니, 이게 가장 최악의 상황이 아닌가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텐데 정말 걱정이네요.
    아저씨
    3차감염이지만 지역사회전파는 아니다라고 이야기하는거같던데..
    제발 이제는 좀 당국의 발표가 맞길바라네요.
    곧내려갈게요
    맞습니다. 해당내용도 추가하겠습니다.
    박초롱
    상황이 안 좋아도 너무 안 좋은 것 아닌가요.. 이미 정부는 신뢰를 잃은 것 같은데..
    이번에 확진된 3차 감염자는 기관 내 감염이라 하더라도 앞으로 지역사회 전파로 인한 3차 감염자의 발생 가능성이 없는 건 아니라 안도할 상황은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지역사회 전파로 발생하면 어휴.....

    덧) 사망자가 두 명 나오긴 했는데 기저질환이 있던 환자들이라 일단은 지켜봐야 할 듯 합니다. 만약 기저질환이 없는 환자가 메르스로 사망한다면 그게 진짜 헬이죠.
    바코드
    진짜 이상황에서 대통령이 순방을 이유로 출국한다면 역대급이겠네요.
    상대 국가에서 받아줄 지도 의문이겠지만
    이번달에 미국 가죠. 그거야 가겠지만.
    하룻만에 상황이 많이 바뀌었네요. 이제 의료진에 의한 접촉성 전염을 의심할텐데 뭐 시정할건 시정해야지만 다른 족쇄만 더 생길거 같아 괴롭긴 합니다. 한국 같은 병원 시스템 (다인실, 보호자 상주, 의료인 1인당 담당 환자가 과다, 외래수 과다)에서 이것 참 지키기 쉽잖거든요. 점심 밥도 5분안에 먹는 병원 노동자들에게 환자보고 다음환자 보기 전에 손 1분 이상 씼으라는 방침 같은거 생기면 참... 기승전수가가 의사들의 흔한 레퍼토리긴 하지만 이렇게 물량으로 때워야 경영이 되게 만들어 놓은 의료시스템에서 외국 가이드라인의 적용은 현실적이지 않죠. 어쨌던 커뮤니티 감염만은 막아야 하겠습니다..
    이서준팬바이브
    이거 정말 큰일난거 아닌가요?
    뭔가 멍하네요. 참.. 어떻게 되려나
    후덜덜하네요...개인적으로 세울 수 있는 대책으론 어떤게 있을까요?
    아직 대중에대한 위생대책이라고 나온건 없지만 신종플루때 대책과 차이가 없을겁니다. 손 잘씻고 사람 많은곳 피하고 마스크는 바이러스에 큰 의미는 없지만 N95마스크는 좀 도움 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공기전파가 되니 안되니 설이 좀 있는데 저는 아직 안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되었으면 이렇게 산술급수적으로 환자가 증가하진 않았을거에요)
    현재는 모두 병원내 감염이고 환자가 없는 단순 외래 진료는 큰 위험은 없을거라고 생각하지만 병실 방문혹은 간병에 대해서는 신중하게 생각하셔야 합니다. 물론 저는 오늘도 경기 남부권 병원에 출근했지만 말입니다.
    Last of Us
    수원사는데 저야 건강해서 괜찮을 것 같지만
    노부모가 있거나 아이가 있는 집들은 걱정이 크겠습니다
    아나키
    이 추세라면 조만간 메르스 환자 발생지역 인근 초등학교에 휴교령이라도 떨어지는 것 아닌가 싶네요
    아나키
    교육부가 말하기 전에 자체휴교를 해버릴줄이야 ㅡㅡ;;
    사과HDD
    정부한테 해꼬지나 당하지 않을까 걱정이네요.
    우리는 루머를 잡기위해서 인터넷 검색어도 조작하고 있는데 학부모한테 소문 퍼지게 감히 휴교를 해? 괘씸죄!

    ...... 워낙 상상 이상을 보여주는 정부니.
    헤칼트
    요즘 저희 고등학교에서는 어제 벌써 사망자가 나왔다는 데 대한 충격과 더불어
    (어제 야자시간에 애들한테 알려줬더니 깜짝 놀라더군요. 벌써 나왔다고?!?!)
    \"이거 이런 추세라면 두 달 안에 휴교 가는 거 아니냐...\" 라는 반응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러면 안되는데.. 그런 생각이 드네요.
    원래 이번 주에 사망자가 나올걸로 예상은 하고 있었습니다만.. 그 첫 사망자가 확진 환자가 아니라는 점에서 충격이 있었죠. (두번째 사망한 71세 환자가 사망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었습니다..) 대략 10-20% 선의 사망률을 보이지 않을까 싶은데.. 모르겠네요.. 휴교는 현 시점에선 오버라고 생각합니다만, 초기대응의 실패로 이미 일이 커져버렸으므로 의학적 예측이란걸 넘어서는 결정이 되버렸네요. 지금도 들려오는 소식들이 좀 흉흉합니다. 제대로 된 격리병상이 많지 않다 보니 보건 당국에서 전원을 꽤 시키고 있어요. 여튼 컨트롤타워의 능력부족은 확실해 보입니다.
    Holy shit !
    곧 전국적으로 휴교할것 같아요.
    3차 첫 확진자가 경기도쪽이 아니라 대전에서 나왔죠.
    그 환자는 확진 될때까지 대학병원 2군대, 일반병원 1군대 돌아다녔죠.
    그래서 아마 4차 확진 환자는 100% 나올겁니다.
    곧내려갈게요
    네???? 이거 사실인가요???
    Holy shit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2&aid=0002603081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79&aid=0002715452
    어제 저녁부터 카톡으로 대청,건양,충대병원 조심하라고 카톡으로 돌았는데, 그게 3차 확진자였네요.
    화성 , 평택쪽 자체 휴교한 학교도 나왔고
    사립 어린이집들도 휴원하고 있고..
    m.doctorsnews.co.kr/articleView.html?idxno=103918

    메르스 의심환자 늑장신고한 의사에게 벌금처벌하겠다는 기사가..
    곧내려갈게요
    어휴 진짜....
    그윈블리드
    궁금한게 있는데 감염경로가 어떤건가요?
    접촉이나 공기중?
    아나키
    증상이 나타난 환자와 같은 공간에 있을 경우 타액 포말 등이 튀어서 공기중 감염과 비슷한 효과가 날 수도 있겠습니다만,
    일단 흔히 말하는 공기중 감염은 이번 경우에는 해당하지 않습니다. 대부분 메르스환자와 직간접적인 접촉으로 인해 감염됩니다.
    그윈블리드
    그렇군요 여름이라 곧 물놀이 가는 사람들도 많아질텐데 걱정입니다
    Blue Sky
    메르스 3차 감염자가 발생한 최초국가가 되었습니다...
    오늘 오전
    보건복지부에서, \"메르스 전파 병원 공개 불가\" 입장을 밝힌 기사를 보았는데,

    메르스 전파 병원과 관련없는, 일부 병원에서 게시했던 안내문 내용중
    = 국민들의 안전과 알 권리를 위해=
    전파 병원 명단을
    올려봅니다!

    메르스 접촉(체류및 입원)병원:
    분당 제생병원(음성판정)
    삼성 서울병원(입원)-14번 확진자 통해 현직 의료진 3차 감염
    여의도 성모병원... 더 보기
    메르스 3차 감염자가 발생한 최초국가가 되었습니다...
    오늘 오전
    보건복지부에서, \"메르스 전파 병원 공개 불가\" 입장을 밝힌 기사를 보았는데,

    메르스 전파 병원과 관련없는, 일부 병원에서 게시했던 안내문 내용중
    = 국민들의 안전과 알 권리를 위해=
    전파 병원 명단을
    올려봅니다!

    메르스 접촉(체류및 입원)병원:
    분당 제생병원(음성판정)
    삼성 서울병원(입원)-14번 확진자 통해 현직 의료진 3차 감염
    여의도 성모병원,
    수원 성빈센트병원(입원),
    동탄 성심병원(한림대)(입원)- 사망후에 25번 확진자 판정(3차 감염자 발생 여부 주시)
    평택 굿모닝병원,
    평택 성모병원(입원)- 확진자 28명 발생; 자진 폐쇠 선언...
    오산 한국병원,


    대전 충대병원(국가지정 격리 치료 시설)- 23,24,31번 확진자를 발생시키는 계기가 되어버린 16번 확진자 이송후 격리 치료중
    아산 둔포 서울의원- 1번확진자가 평택성모병원으로 가기전 체류로 인해, 2차 감염으로 8번 확진자 발생
    서울 365 열린의원- 1번 확진자로 인해, 의료진(의사) 2차 감염후 5번 확진자 발생
    대전 대청병원(입원)- 1번 확진자에 의해 감염된 16번 확진자가 입원후, 3차 감염자인 30번 확진자 발생; 추가 3차 감염자가 생길 가능성을 예의주시중
    대전 건양대 병원(입원)- 대청병원에서 3차 감염된 30번 확진자가 옮겨와 2일간 입원으로 다수의 3차 감염자 발생
    30번 확진자로 인해 23, 24,31번 확진자 발생; 추가 3차 감염자가 생길 가능성을 예의주시중
    ( 앞으로 더 추가되는 병원들이 있을것으로 예상됨! )

    홍콩/중국에서 전파병원들의 자료를 요구하고 있다는 이야기가 돌고 있으며,
    홍콩/중국에 전달되면, 그때서야 국민들이 알게 되는것인가 하는
    개탄과 분노의 목소리들이 높아가고 있습니다...

    작년 14년 4월경 메르스에 감염된 사우디아라비아 거주 미국인이 미국에 입국후,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자마자, 미국에서 발휘한 초동 대응의 사례와 너무나도 反하는
    이 나라의 관계자들의 부적절하기 그지없고, 미숙하며, 무능력한 행태로 앞으로 얼마나 더 많은 억울한 희생자들이 나와야 제정신을 차릴런지...

    미국 의료관계자가 이번 한국의 메르스사태를 이례적인 사례라고 지적하며,
    \"특히 최초 감염자가 2차 감염자에게, 또 2차 감염자가 3차 감염자에게 전염시키는
    \'연속적인 사람 간 전염\'의 경우는 없었다\"고 확언했다고 하던데,

    국민들 각자의 건강과 안전은 국민들 스스로가 알아서 지키라고 하는 이 나라...
    이 나라의 응급 의료, 방역체계는 어째서 더욱더 체계적이고, 발전에 발전을 거듭하는것이 아닌
    안이하기 그지없고, 퇴보만 가속화 되고 있는 것인지, 이 나라의 작금의 현실에 통탄과 경악을 금치 못하며,
    앞으로도 신뢰할수 없는 이 나라 정부 관계자들의 무능력함과 안일& 안이한 행태의 시급한 개선을 촉구하고 싶은 마음뿐!!
    이거 내용은 대략 맞는데.. 공개된 게시판에 올리긴 좀 거시기 합니다. 기왕 이리 된거 지금이라도 공개하는게 맞을 거 같다는 생각이 들긴 한데..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63 기타[불판] 가입 인사 불판입니다. #2 27 Toby 15/06/01 10589 0
    164 기타홍차.크르에 음악가 분 있으면 손들어주세요.... 62 표절작곡가 15/06/01 9315 0
    165 기타CNN의 35년.youtube 3 삼성그룹 15/06/01 7888 0
    166 기타저의 인터넷 커뮤니티 생활에 대한 잡설 10 으르르컹컹 15/06/01 9417 0
    167 기타Knock Knock 10 王天君 15/06/01 8648 0
    168 일상/생각[스포 포함]라푼쩰의 진실- 실패한 북유럽의 아마조네스 7 뤼야 15/06/01 10249 1
    169 기타홍차크르 팬아트 (수정 png 버전) 49 피즈 15/06/01 8996 0
    170 기타홍차넷이라길래 써보는 홍차 이야기 10 트릴비 15/06/01 9545 0
    171 기타애플과 구글의 협상 기간이 반년 남았습니다. 9 Leeka 15/06/01 9198 0
    172 기타메르스 사건이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듭니다. 사망자 발생, 3차감염 등 31 곧내려갈게요 15/06/02 11320 0
    173 기타안녕하세요. 홍차넷에 가입하고 첫 글 올립니다. 5 치토스 15/06/02 7520 0
    175 기타새누리당사 무료 배포 잡지 28 블랙이글 15/06/02 9570 0
    177 기타두루넷 21 김치찌개 15/06/02 9821 0
    178 기타5/31 북팔코믹스 페스티벌 갔다온 얘기 2 루키즈 15/06/02 9602 0
    179 기타20명의 숫자가 나누어버린 운명..... 4 개평3냥 15/06/02 9768 0
    180 기타질병관리본부에서 배포하고 있는 메르스 대응지침서입니다. 11 아나키 15/06/02 9788 0
    181 기타메르스 현 상황 44 Leeka 15/06/02 11415 0
    182 기타3년차 회사원의 고민과 걱정 12 블랙밀크티 15/06/02 8663 0
    183 기타첫 사망자보다 먼저 숨진 의심 환자 있다 7 오즈 15/06/03 9441 0
    184 기타6/9일 새벽 2시, WWDC 15 - To learn about the future of iOS and OS X 4 Leeka 15/06/03 8632 0
    185 기타[축구] 제프 블래터 FIFA 회장이 사임했습니다. 12 kpark 15/06/03 8331 0
    186 음악요즘 듣고 있는 해외앨범(Mark Ronson 새앨범 Uptown Special) 1 김치찌개 15/06/03 10949 0
    187 기타[엘가] 위풍당당 행진곡 - 오르간에 대해 아시나요? 24 표절작곡가 15/06/03 9388 0
    188 기타기생충 한마리에 숨겨져 있던 인류이야기 5 개평3냥 15/06/03 12911 0
    189 기타예능 프로 19 김치찌개 15/06/03 10040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