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6/03/11 13:54:17 |
Name | 까페레인 |
Subject | 영어 살아있는 언어 |
언어를 배울때 중급레벨로 올라가면서 느꼈던 생각이에요. 제가 영어 아닌, 제2 외국어를 배우면서 2년/3년후에 중급 레벨로 올라갈 때 외국인 선생님의 방법이 상당히 새로왔어요. 그 때 내어준 숙제가, 비디오를 빌려서 보고 상황극을 만들어서 그걸 해야하는 것이었는데요. 아하...언어를 살아있는 언어로 배울려면 그렇게 해야하는구나를 느꼈어요. 상황극에서 쓰일 단어나 문장을 통째로 외우는 거겠지요. 그걸 요즘은 많은 사람들이 영어를 배울때 미드를 보고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겠구요. 꼭 점수를 높이거나 특정 시험에 패스해야 한다는 부담감이 없는 분이라면 언어실력을 높이시고 싶다고 하신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써 보시는 것도 어떨까 싶어요. 문법이나 어휘에 어느 정도 자신이 있으신 분들이시라면 그 다음부터는 가벼운 책이나 잡지책 어린이책이라든가 영어 원서로된 책을 많이 접하시기를 바랍니다. 그러면서 읽기 능력이 향상되고 문장을 통째로 자연스럽게 암기하게 되는 것 같아요. 어린이들이 여기서 태어난 어린이들도 말은 어떻게 하지만서도 그림책만 보는 수준을 못벗어나다가.. 초등1,2학년때 엄청난책의 어린이책 챕터북이라고 하지요. 그런 70-80페이지책들을 100-200권씩 읽는데요. 그 책들을 가만히 보면 스토리도 많이 나오지만서도 그안에 대화체로 된 내용도 많이 나와요. 아이들이 그 책들을 읽으면서 아..이런 상황에서는 이렇게 말하구나 하면서 단어실력도 자연스럽게 높이는 것 같았어요. 우리나라 어린이들 책읽기랑 언어습득을 대치해보면 이해가되시겠지요. 그렇게 어린이책 등을 통해서 쉬운 문장들을 많이 접하는 게 좋은데 어른이 어린이책 읽기는 지겹기도 하고 낯간지럽기도 하지요. 어린이책 보는 것이 그러시면...많은 분들이 쓰시는 방법인, 그쯤되면 미국 드라마나 영화를 보시면서 사람들이 쓰는 문장 한 문장을 통째로 암기하시구요. 따라쓰기도 해보시고 혹은 따라하기를 해 보시는 것도 좋아요. 타임지나 뉴스위크지는 영어를 배울때에 너무나 큰 간격차이가 나기때문에 초중급분들 혹은 말하기가 어드밴스가 아니신 분들의 실력향상에는 크게 도움을 주지 않는 것 같아요. 말들이 고급언어들이 많고 일상생활에서 쓰지 않는 단어들이 상당히 많거든요. 초급이나 중급레벨의 언어학습자가 공부를 위해서 보조교재로 쓰기에는 적합치 않다고 생각해요. 토플이나 GRE 같은 공부를 위해서는 필요하겠지만서두요. 드라마 같은 걸 보시면서 그 사이사이에, 본인이 관심 있는 분야의 영어뉴스 사이트에서 쉽고 재밌는기사들을 읽어보시구요. 뉴스 사이트에 정치뉴스 말고 여행 요리 사이트들이 있어요 그런 곳에는 좀 더 언어들이 또 다른 단어나 표현법이 다르기도 하구요. 제가 예전에 이곳에서도 나눴는지 모르겠지만 저는 미국에 처음 정착할 무렵에, 언어를 배울 때 라디오 토크쇼를 통해서 아주 재밌게 언어를 배운 것 같아요. 매일 같은 시각에 라디오를 듣게 되었는데, 한 시간 동안 법률 생활상담 라디오 토크쇼였어요. 법률상식을 알게되는 것도 재미있었고 미국 사람들이 그렇게 많은 고민들을 하는지 엿보는 것 같아서 그것도 재밌었구요. 반은 못 알아들었지만서도.... 주로 돈문제들이었지요. 어떤 관심가시는 토픽이 있으시다면 그런 팟캐스트나 라디오 토크쇼 혹은 TED 에서 재밌는 토픽을 찾으셔서 들어보시는 것도 좋을 꺼에요. 언어에 노출되는 빈도수가 높아지면 높아질 수록 더 잘하게된다고 하지요. 참고로 미국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어린이 책 읽기 웹 사이트를 소개합니다. 무료이고 사용하기도 편하고 발음이 정확해서 따라하기 연습하기에 아주 좋은 사이트에요. 한국에서 접속할 수 있는지 모르겠는데요. 먼저, 아래 LA 도서관 어린이 사이트를 접속하시고 http://www.colapublib.org/children/ 화면 아래로 스크롤 하시면 Tumble books ![]() 도서관을 먼저 링크하시고 그 다음에 링크하셔야 실제 텀블북스를 무료로 쓸 수 있어요 아니면 바로 링크를 따로 접속하면, 유료서비스로 넘어가게 되더라구요. 필요하신분께 도움이 되셨음해요. 아니 수준을 이렇게 낮게 보심 어떻게 합니까 하실 분들이 엄청 많으시겠지요..-_-;;제가 여름지나면 일본어 공부하는 걸 다시 시작할려고 하는데 위의 방법을 일본어로 적용해볼까해요. 영어가 저한테도 참 큰 딜레마이기는 하지만서도 결국에 언어에 대한 노출이 많은 것이 답인 것 같구요. 모두 아시는 내용이겠고...다들 저보다 잘하시는 분도 많으시겠지만 왜 살아있는, 말을 잘 하는 영어가 안되지 하신다면 위의 방법도 한 번 해 보시라고 전해드리고 싶었어요. 2
이 게시판에 등록된 까페레인님의 최근 게시물 |
주로 언어 배울때 더티랭귀지 배우는 것도 재밌는 방법이 되기도 하지요. 실전에서는 좀 고민하면서 써야겠지요. 하하...
영어에 퀴어 Queer 관련 용어들이랑 DRUG 마약관련 갱관련 은어들은 정말 책에도 안나오고 너무너무 어려워요. 심지어 미국애들도 이게 그 뜻이야 이러고 물어보기도 하지요. speedball 은 단어 자체로는 체육관련 용어로 보이쟎아요. 안그래도 애들이랑 이야기하면서 스피드볼이 뭐지 이러는데 한 애가 자기는 안쓰지만서도 클럽에서 애들이 하는데 이러면서 설명하는데 찾아보니 헤로인과 코캐인을 같이 섞어서 투약... 더 보기
영어에 퀴어 Queer 관련 용어들이랑 DRUG 마약관련 갱관련 은어들은 정말 책에도 안나오고 너무너무 어려워요. 심지어 미국애들도 이게 그 뜻이야 이러고 물어보기도 하지요. speedball 은 단어 자체로는 체육관련 용어로 보이쟎아요. 안그래도 애들이랑 이야기하면서 스피드볼이 뭐지 이러는데 한 애가 자기는 안쓰지만서도 클럽에서 애들이 하는데 이러면서 설명하는데 찾아보니 헤로인과 코캐인을 같이 섞어서 투약... 더 보기
주로 언어 배울때 더티랭귀지 배우는 것도 재밌는 방법이 되기도 하지요. 실전에서는 좀 고민하면서 써야겠지요. 하하...
영어에 퀴어 Queer 관련 용어들이랑 DRUG 마약관련 갱관련 은어들은 정말 책에도 안나오고 너무너무 어려워요. 심지어 미국애들도 이게 그 뜻이야 이러고 물어보기도 하지요. speedball 은 단어 자체로는 체육관련 용어로 보이쟎아요. 안그래도 애들이랑 이야기하면서 스피드볼이 뭐지 이러는데 한 애가 자기는 안쓰지만서도 클럽에서 애들이 하는데 이러면서 설명하는데 찾아보니 헤로인과 코캐인을 같이 섞어서 투약하는 마약의 한 종류더라구요. 갱관련해서는 갱들끼리의 영역표시로 위해서 옷색깔로도 구분한다고 하던데요. 일반 학교에서, 어린이들에게 blue, red 옷은 입으면 안된다고 그래서 그럼 도대체 무슨 옷을 입혀서 보내야 해? 왜 블루 레드 옷을 못 입게 하지? 했는데 알고보니 갱문화 때문이더라구요.
그냥 단어 그 자체로 해석해서는 못 알아듣는 경우가 많아서 꼭 전체 텍스트를 보고 이해할 경우가 많이 있더라구요.
그래도 일본어 공부할려면 애니메이션이 가장 빠른 방법이 아닌가 싶어요. 그런데 일본은 특히 문화적 특수성인지 사람들을 무시하는 바보 멍청이 같으니 같은 용어들이 애니메이션에 많이 나오더라구요. 제가 본 애니만 심한것 같기도 하지만... 베트남 친구는 저한테 한국 드라마 본다면서, 언니 언니 이러고 시엄마 이런 단어들을 아주 자연스럽게 이야기해서 하하..우리나라 드라마에서 많이 나오는 단어네 했거든요. 언어와 문화를 공부해보면 재밌겠다 싶었어요.
영어에 퀴어 Queer 관련 용어들이랑 DRUG 마약관련 갱관련 은어들은 정말 책에도 안나오고 너무너무 어려워요. 심지어 미국애들도 이게 그 뜻이야 이러고 물어보기도 하지요. speedball 은 단어 자체로는 체육관련 용어로 보이쟎아요. 안그래도 애들이랑 이야기하면서 스피드볼이 뭐지 이러는데 한 애가 자기는 안쓰지만서도 클럽에서 애들이 하는데 이러면서 설명하는데 찾아보니 헤로인과 코캐인을 같이 섞어서 투약하는 마약의 한 종류더라구요. 갱관련해서는 갱들끼리의 영역표시로 위해서 옷색깔로도 구분한다고 하던데요. 일반 학교에서, 어린이들에게 blue, red 옷은 입으면 안된다고 그래서 그럼 도대체 무슨 옷을 입혀서 보내야 해? 왜 블루 레드 옷을 못 입게 하지? 했는데 알고보니 갱문화 때문이더라구요.
그냥 단어 그 자체로 해석해서는 못 알아듣는 경우가 많아서 꼭 전체 텍스트를 보고 이해할 경우가 많이 있더라구요.
그래도 일본어 공부할려면 애니메이션이 가장 빠른 방법이 아닌가 싶어요. 그런데 일본은 특히 문화적 특수성인지 사람들을 무시하는 바보 멍청이 같으니 같은 용어들이 애니메이션에 많이 나오더라구요. 제가 본 애니만 심한것 같기도 하지만... 베트남 친구는 저한테 한국 드라마 본다면서, 언니 언니 이러고 시엄마 이런 단어들을 아주 자연스럽게 이야기해서 하하..우리나라 드라마에서 많이 나오는 단어네 했거든요. 언어와 문화를 공부해보면 재밌겠다 싶었어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