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6/05/10 21:03:24 |
Name | 에밀리 |
Subject | [조각글 25주차] 그는 어디에서 오는가 |
주제 _ 선정자 : 7월 부끄러움에 대하여 일화건 생각이건 진지하게 생각하고 깊게 생각해서 글 써주세요. 가능하면 이성적 부끄러움 외에 대해 말씀해주셨으면 좋겠지만, 가능하면 이니까, 저의 썩소 보고 싶으시면 첫사랑 쓰세요. 전 인간으로써의 부끄러움이 보고싶습니다. 구린 부분들을 파헤쳐주세요. 글 장르는 상관없습니다. 합평 방식 분량은 자유고 합평방식은 자유롭게 댓글에 달아주시면 좋겠습니다. 맞춤법 검사기 http://speller.cs.pusan.ac.kr/PnuSpellerISAPI_201504/ 합평 받고 싶은 부분 어... 죄송합니다. 아직 잘 모르겠어요. 하고싶은 말 부끄럽네요. 부끄럽다, 부끄러워. 술 먹고는 횡설수설 이상하게 단톡방에 남겼던 카톡도 부끄럽고 그 술 먹는 가게 알바 언니가 너무 걸크러쉬여서 살짝 들이댔다 까인 게 부끄럽고 이상한 가게에서 정신 못 차리고 춤춘 게 또 부끄럽고 무릎에 멍이 시퍼렇게 든 채로 길에서 토를 한 게 또 부끄럽습니다. 마지막으로 글이 또 부끄럽네요. 본문 --------------------------------------------------------------------------------------------------------------------- 내 글을 드러내는 게 부끄럽다. 나는 나를 남보다는 더 깊게 이해하고 있고 그렇기에 내가 그려내는 나와 실제의 내가 많이 다르다는 것을 알고 있다. 내가 원하는 나는 다양한 면에서 실제 나보다 더 나은 나이며 그 나에 미치지 못하는 내가 나는 부끄럽다. 글을 쓸 때 나는 내가 바라는 나보다 글을 못쓰는 나와 마주하고 그를 부끄러워한다. 더 구역질 나고 더 부끄러운 건 글을 못쓰는 나보다 더 나은 글을 쓰는 나로 보이길 원하고 그를 위해 행동하는 나인데 부끄러운 나는 그에게서조차 시선을 돌려 버린다. 부끄러움은 뭘까? 좋아하는 사람 앞에서 말 못 하고 쭈뼛거리는 그거, 부끄러움이 많다고 얘기하고 다니는 주제에 남들이 꺼리는 조별 과제 발표는 즐길 수 있게끔 그럴 때만은 나타나지 않는 그거, 난 부끄러움이 사회의 계약에서 출발했다고 생각한다. 서로 달랐던 개인이 모였으니 사회에서의 모습이 달랐고 자연 자신이 어떻게 보이는지 궁금해 했으며, 끝내는 자신을 연출하는 단계까지 이르렀겠지. 누가 그러더라, 의복은 일종의 투영 자아라고. 허영심도 괜찮겠다. 그래, 그래서 난 그렇게 어른스러워 보이는 셔츠를 입고 넥타이며 보타이며 각종 타이를 했고 내가 원하는 나를 연출했어. 허영에 가득 차서, 남들이 좋아해주는 게 좋아서. 그런데 자신이 만들어낸 자신에 자신이 미치지 못 할 때, 우리는 부끄러움을 느낄 거야. 좋아하는 이성이 자신을 좋아하지 않는 것이 부끄러운 건 내가 그에게 단번에 사랑받는 나를 그렸기 때문이고, 내가 과제 발표가 남들과 달리 부끄럽지 않은 건 내가 그린 내가 다소 나댄다는 말을 듣더라도 그런 과제 발표를 잘 하는 나이기 때문이지. 그런데 위에서 말한 부끄러움도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내면에서 오는 것과 외부에서 오는 것, 밖에서 오는 친구는 한결 담백하다. 그는 내가 사회의 나에 충분하지 않다는 걸 담담히 보여준다. 다큐멘터리같이 있는 그대로, 난 사회의 나에 걸맞기 위해 더 노력하고 내 모습을 가꾸면 될 뿐이다. 그러나 안에서 오는 친구는 구질구질하고 끔찍하다. 그 친구는 보다 본질적인 부분을 찔러댄다. "네가 만들어낸 너는 네가 아닌데?"라고 비웃는 그가 보인다. 더욱 무서운 사실은 그가 곧 나라는 점이다. 내 안에서 출발한 내 부끄러움은 내 얼굴을 하고 내 얼굴을 꼬집는다. "넌 이렇게 생겼잖아."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에밀리님의 최근 게시물
|
[합평]
부끄러움에 관한 화자의 정의가 확고한 점이 맘에 듭니다. 이상과 현실의 괴리가 부끄러움을 만든다는 내용에 많이 공감합니다. 이성간에 느끼는 부끄러움도 같은 맥락에서 설명한 지점에서 고개를 끄덕였습니다.
문장이 2중, 3중으로 겹쳐있어 술술 읽히지 않습니다. 복문의 안 좋은 면이 부각된 문장입니다. 가급적 복문은 나누도록 합시다.
지칭어를 많이 사용하여 대상간 구분이 잘 되지 않습니다. (그를 위해 행동하는 나인데 부끄러운 나는 그에게서조차... 더 보기
부끄러움에 관한 화자의 정의가 확고한 점이 맘에 듭니다. 이상과 현실의 괴리가 부끄러움을 만든다는 내용에 많이 공감합니다. 이성간에 느끼는 부끄러움도 같은 맥락에서 설명한 지점에서 고개를 끄덕였습니다.
문장이 2중, 3중으로 겹쳐있어 술술 읽히지 않습니다. 복문의 안 좋은 면이 부각된 문장입니다. 가급적 복문은 나누도록 합시다.
지칭어를 많이 사용하여 대상간 구분이 잘 되지 않습니다. (그를 위해 행동하는 나인데 부끄러운 나는 그에게서조차... 더 보기
[합평]
부끄러움에 관한 화자의 정의가 확고한 점이 맘에 듭니다. 이상과 현실의 괴리가 부끄러움을 만든다는 내용에 많이 공감합니다. 이성간에 느끼는 부끄러움도 같은 맥락에서 설명한 지점에서 고개를 끄덕였습니다.
문장이 2중, 3중으로 겹쳐있어 술술 읽히지 않습니다. 복문의 안 좋은 면이 부각된 문장입니다. 가급적 복문은 나누도록 합시다.
지칭어를 많이 사용하여 대상간 구분이 잘 되지 않습니다. (그를 위해 행동하는 나인데 부끄러운 나는 그에게서조차<< 이 문장은 \'그\'라는 대상까지 더해져서 이해가 더 어려웠습니다)
주장하는 바가 추상적이더라도 서술은 구체적일수록 좋습니다. 넥타이, 보타이 등 실재하는 사물로 허영심을 상징한 점이 좋은 예입니다. 이 문장을 제외하면 글 전체적으로 구체성이 부족합니다. 신비주의는 지양하는 것이 좋습니다. 구체적인 대상을 정하고 주술관계를 명확히 하도록 합시다.
부끄러움에 관한 화자의 정의가 확고한 점이 맘에 듭니다. 이상과 현실의 괴리가 부끄러움을 만든다는 내용에 많이 공감합니다. 이성간에 느끼는 부끄러움도 같은 맥락에서 설명한 지점에서 고개를 끄덕였습니다.
문장이 2중, 3중으로 겹쳐있어 술술 읽히지 않습니다. 복문의 안 좋은 면이 부각된 문장입니다. 가급적 복문은 나누도록 합시다.
지칭어를 많이 사용하여 대상간 구분이 잘 되지 않습니다. (그를 위해 행동하는 나인데 부끄러운 나는 그에게서조차<< 이 문장은 \'그\'라는 대상까지 더해져서 이해가 더 어려웠습니다)
주장하는 바가 추상적이더라도 서술은 구체적일수록 좋습니다. 넥타이, 보타이 등 실재하는 사물로 허영심을 상징한 점이 좋은 예입니다. 이 문장을 제외하면 글 전체적으로 구체성이 부족합니다. 신비주의는 지양하는 것이 좋습니다. 구체적인 대상을 정하고 주술관계를 명확히 하도록 합시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