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6/05/13 07:01:54 |
Name | 기아트윈스 |
Subject | 시간을 달리는 소녀 |
![]() 야채와 해산물에 튀김옷을 적절히 입혀서 기름에 쫘라라라랏 튀겨내어 단순고소한 간장양념에 쏙 찍어 먹으면 세상 부러울 게 없지요. 바로 템뿌라(天ぷら)입니다. 지금은 일본을 대표하는 음식 중 하나가 되었지만 원래는 사쓰마 등 일본 남부에서 유행하던 음식이라고 해요. 17세기 에도시대 때 이미 가판에서 템뿌라를 팔았으며 서민들에게 인기가 만점이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런 재료를 이런 방법으로 조리해 먹으면 맛이있다는 아이디어는 포르투갈에서 온 거였어요. 당시 유럽의 동양무역을 책임지던(?) 포르투갈은 상인 뿐 아니라 선교사들을 파견하는 기점 역할도 했어요. 많은 포르투갈 카톨릭 선교사들이 아시아 전역을 누볐는데 그 중 극동의 종착점이 바로 일본이었지요. 당시 그들이 열심히 지키던 카톨릭 관습 중에 사계대재(四季大齋)이란 게 있어요. 일 년에 4주, 계절당 1주씩 정해서 7일 중 3일은 고기를 먹지 않고 야채와 해산물만 먹었대요. 이 때 먹던 음식이 바로 야채/해산물 튀김이었으니 그것이 바로 템뿌라의 원형이었다고 해요. 그래서 지금도 포르투칼에서는 템뿌라와 비슷한 음식이 있을 뿐더러 포르투칼인의 손이 닿았던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에서도 유사한 요리가 남아있다고 합니다. 하긴, 기름에 튀기면 신발도 맛있다는데... 그 누구라도 템뿌라의 마력에 저항하지 못했을 거에요. 그런데 이름이 왜 하필 템뿌라였을까요? 여기에는 여러가지 썰이 있는데 게중 근소하게 가장 유력한 설이 바로 위에서 이야기한 사계재 가설이에요. 이 금육(禁肉)기간을 라틴어로 꽈또르 안니 템포라 (quattuor anni tempora)라고 했대요. 꽈또르는 넷, 안니는 년(年), 템포라는 계절을 뜻해요. 문자 그대로 [1년에 4주]인 셈이지요. 여기서 템포라가 그 템뿌라가 됐다는 거에요. 템포라 (tempora)를 더 뜯어보면 이게 a로 끝나니까 복수형이라는 걸 알 수 있어요. 라틴어 명사는 복수형이 a로 끝나거든요. 그래서 단수형으로 다시 바꾸면 템푸스 (tempus)가 되지요. 템푸스는 계절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광범위하게 [시간]을 지칭하기도 해요. 옛날 사람들이 느끼기에 시간의 변화가 가장 광범위한 스케일로 느껴졌던게 계절의 변화여서 그랬나봐요. 한자 시(時) 역시 계절/시간 이라는 두 의미가 있어요. 그래서 사시(四時)가 네 시간이 아니라 네 계절인 거지요. 영어에서 시간과 관련된 고급어휘가 죄다 temp-로 시작하는 이유도 이 때문이에요. 임시(臨時)적인 상태를 지시하는 형용사 템포러리(temporary)라든가, 박자의 장단값, 즉 시간(時間)값 을 나타내는 음악용어 템포 (tempo) 같은 경우가 대표적이지요. 그러니까 라틴어 템푸스 (tempus)의 가장 적절한 우리말 번역어는 [시간]일 거에요. ![]() 템뿌라를 달리는 소녀. 많이 배고픈 듯. ![]() 템뿌라 법사 ... 같은 드립을 쳐보고 싶어서 한 2시간 정도 조사해봤어요 ㅎㅎㅎㅎㅎㅎ 유게에 올릴까 고민하다 그냥 티타임에 올려봅니다. 5
이 게시판에 등록된 기아트윈스님의 최근 게시물
|
아 덴뿌라가 그 뎀뿌라였구나... 처음 알았어요. 그게 그래서 고기튀김이 별로 없구나 뎀뿌라 오호...!!
소소한 거지만, tempus의 사전적 제1의미가 계절(season)이라기보다는 시간/시기(time, period)이기 때문에... anni tempus (time of a year)는 뭉쳐서 \'한 해의 시간 구획\'을 뜻하는 \'계절\', tempus만으로 계절을 가리킬 수도 있는데 그때는 anni가 생략된 형태로 보고요, 그래서 quattuor anni tempora는 문자 그대로 하면 \'4계절\'(four seasons)인데 여기서는 anni와 tempus를 뭉치지 말고 분리해 읽어서 \'1년 중 네 시기\'(four periods of a year)로 옮기는 게 좋지 않을까 해요. \'4계대재\'에 대응하는 정확한 문구는 모르겠네요.
그리고 라틴어 명사에서 -a로 끝나는 복수형은 거의 중성명사지요. 남성은 대략 -i, 여성은 -ae.
소소한 거지만, tempus의 사전적 제1의미가 계절(season)이라기보다는 시간/시기(time, period)이기 때문에... anni tempus (time of a year)는 뭉쳐서 \'한 해의 시간 구획\'을 뜻하는 \'계절\', tempus만으로 계절을 가리킬 수도 있는데 그때는 anni가 생략된 형태로 보고요, 그래서 quattuor anni tempora는 문자 그대로 하면 \'4계절\'(four seasons)인데 여기서는 anni와 tempus를 뭉치지 말고 분리해 읽어서 \'1년 중 네 시기\'(four periods of a year)로 옮기는 게 좋지 않을까 해요. \'4계대재\'에 대응하는 정확한 문구는 모르겠네요.
그리고 라틴어 명사에서 -a로 끝나는 복수형은 거의 중성명사지요. 남성은 대략 -i, 여성은 -ae.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