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6/05/13 07:01:54
Name   기아트윈스
Subject   시간을 달리는 소녀

야채와 해산물에 튀김옷을 적절히 입혀서 기름에 쫘라라라랏 튀겨내어 단순고소한 간장양념에 쏙 찍어 먹으면 세상 부러울 게 없지요. 바로 템뿌라(天ぷら)입니다. 지금은 일본을 대표하는 음식 중 하나가 되었지만 원래는 사쓰마 등 일본 남부에서 유행하던 음식이라고 해요. 17세기 에도시대 때 이미 가판에서 템뿌라를 팔았으며 서민들에게 인기가 만점이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런 재료를 이런 방법으로 조리해 먹으면 맛이있다는 아이디어는 포르투갈에서 온 거였어요. 

당시 유럽의 동양무역을 책임지던(?) 포르투갈은 상인 뿐 아니라 선교사들을 파견하는 기점 역할도 했어요. 많은 포르투갈 카톨릭 선교사들이 아시아 전역을 누볐는데 그 중 극동의 종착점이 바로 일본이었지요. 당시 그들이 열심히 지키던 카톨릭 관습 중에 사계대재(四季大齋)이란 게 있어요. 일 년에 4주, 계절당 1주씩 정해서 7일 중 3일은 고기를 먹지 않고 야채와 해산물만 먹었대요. 이 때 먹던 음식이 바로 야채/해산물 튀김이었으니 그것이 바로 템뿌라의 원형이었다고 해요. 그래서 지금도 포르투칼에서는 템뿌라와 비슷한 음식이 있을 뿐더러 포르투칼인의 손이 닿았던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에서도 유사한 요리가 남아있다고 합니다. 하긴, 기름에 튀기면 신발도 맛있다는데... 그 누구라도 템뿌라의 마력에 저항하지 못했을 거에요.

그런데 이름이 왜 하필 템뿌라였을까요? 여기에는 여러가지 썰이 있는데 게중 근소하게 가장 유력한 설이 바로 위에서 이야기한 사계재 가설이에요. 이 금육(禁肉)기간을 라틴어로 꽈또르 안니 템포라 (quattuor anni tempora)라고 했대요. 꽈또르는 넷, 안니는 년(年), 템포라는 계절을 뜻해요. 문자 그대로 [1년에 4주]인 셈이지요. 여기서 템포라가 그 템뿌라가 됐다는 거에요.

템포라 (tempora)를 더 뜯어보면 이게 a로 끝나니까 복수형이라는 걸 알 수 있어요. 라틴어 명사는 복수형이 a로 끝나거든요. 그래서 단수형으로 다시 바꾸면 템푸스 (tempus)가 되지요. 템푸스는 계절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광범위하게 [시간]을 지칭하기도 해요. 옛날 사람들이 느끼기에 시간의 변화가 가장 광범위한 스케일로 느껴졌던게 계절의 변화여서 그랬나봐요. 한자 시(時) 역시 계절/시간 이라는 두 의미가 있어요. 그래서 사시(四時)가 네 시간이 아니라 네 계절인 거지요.

영어에서 시간과 관련된 고급어휘가 죄다 temp-로 시작하는 이유도 이 때문이에요. 임시(臨時)적인 상태를 지시하는 형용사 템포러리(temporary)라든가, 박자의 장단값, 즉 시간(時間)값 을 나타내는 음악용어 템포 (tempo) 같은 경우가 대표적이지요. 그러니까 라틴어 템푸스 (tempus)의 가장 적절한 우리말 번역어는 [시간]일 거에요.



템뿌라를 달리는 소녀. 많이 배고픈 듯.



템뿌라 법사

... 같은 드립을 쳐보고 싶어서 한 2시간 정도 조사해봤어요 ㅎㅎㅎㅎㅎㅎ

유게에 올릴까 고민하다 그냥 티타임에 올려봅니다.



5
  • 자 이제 덴뿌라를 내놓으시죠 ㅎㅎ
  • 재밌어요.
  • 이분 철학자였는데 미식가로 전직함
  • 춫천


Beer Inside
대학원에서의 고뇌가 느껴지는 글입니다.
기아트윈스
ㅜㅜ
마르코폴로
덴뿌라하면 롤랑바르트 생각이 나요. 튀김을 보고 이런 생각을 하다니 변태같다라는 느낌이 들어서요. 흐흐흐
기아트윈스
찾아봤더니 튀김성애자셨군요 ㅋ
마르코폴로
\'라블레의 아이들\' 이라는 책이 있는데, 이 책이 특정 음식 덕후들에 대한 이야기거든요. 거기서 1번으로 소개되는 사람이 롤랑 바르트더라고요. 흐흐흐
새의선물
chronology of 템뿌라인가요? ㅎㅎ...
기아트윈스
그냥 야밤에 공부하긴 싫고 배는 고파서 ㅎㅎ
아 덴뿌라가 그 뎀뿌라였구나... 처음 알았어요. 그게 그래서 고기튀김이 별로 없구나 뎀뿌라 오호...!!

소소한 거지만, tempus의 사전적 제1의미가 계절(season)이라기보다는 시간/시기(time, period)이기 때문에... anni tempus (time of a year)는 뭉쳐서 \'한 해의 시간 구획\'을 뜻하는 \'계절\', tempus만으로 계절을 가리킬 수도 있는데 그때는 anni가 생략된 형태로 보고요, 그래서 quattuor anni tempora는 문자 그대로 하면 \'4계절\'(four seasons)인데 여기서는 anni와 tempus를 뭉치지 말고 분리해 읽어서 \'1년 중 네 시기\'(four periods of a year)로 옮기는 게 좋지 않을까 해요. \'4계대재\'에 대응하는 정확한 문구는 모르겠네요.
그리고 라틴어 명사에서 -a로 끝나는 복수형은 거의 중성명사지요. 남성은 대략 -i, 여성은 -ae.
기아트윈스
아.. 넘나 정확한 것. 좋은 댓글 고맙습니다.
마르코폴로
현대에 이르러서 고기튀김이 드문 이유는 포르투갈의 영향이라기 보다는 덴뿌라가 일본화 된 영향이 더 클겁니다. 일본은 675년 텐무 왕이 발표한 \'살생과 육식을 금지하는 칙서\'에 의거해서 소, 말, 개, 원숭이, 닭의 살생과 육식을 엄격히 제한하는데, 이게 1,200년 동안 유지됩니다. ㅡㅡ; 그래서 지금 일본식 덴뿌라의 재료가 되는 것들은 주로 채소류나 어류들이지요. 흐흐흐
앗 글쿠나 바보바보! 그건 기독교보다는 불교의 영향이라고 해야 하겠네요. 하긴 포르투갈 선교사님들이야 금육재 기간 빼고 일상시기에는 고기도 잘 먹고 덴뿌라도 잘 먹었겠지요. ㅎㅎ
난커피가더좋아
게시판이 템뿌라로 가득하네요 ㅋㅋㅋ 좋은 글 잘 봤습니다.
파란아게하
잘 읽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글에 좋은 부제가 있으면 더 좋겠어요.
제목 보고 그냥 스킵할 뻔!! 휴
그러니까 포루투칼 가도 덴푸라라는 이름의 요리는 없는거죠?
이 글 안 읽었으면 포루투칼 가서 덴푸라 왜 없냐고 투덜거렸을 것 같아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161 요리/음식아빠요리 만들기 - 스테이크를 맛있게 굽기 위해 필요한 도구 21 졸려졸려 16/06/29 6848 4
3125 요리/음식아빠요리 만들기 - 폭신폭신 팬케이크 16 졸려졸려 16/06/26 5042 1
2823 요리/음식맛집어플을 하나 만들었어요.. 12 구탑 16/05/17 4533 0
2805 요리/음식덴뿌라와 튀김의 기원 27 마르코폴로 16/05/14 15419 10
2796 요리/음식시간을 달리는 소녀 14 기아트윈스 16/05/13 4953 5
2677 요리/음식귀여운 중국음식 - 삼불점 13 졸려졸려 16/04/23 8128 1
2637 요리/음식한식판 왕자와 거지, 곰탕과 설렁탕 45 마르코폴로 16/04/18 9221 15
2489 요리/음식세 형제는 용감했다 1 (feat. 다르질링) 1 펠트로우 16/03/29 5154 7
2239 요리/음식홍차넷에 티타임이니까 홍차 이야기... 19 S 16/02/16 7450 4
2183 요리/음식상상초월 먹방 10 눈부심 16/02/06 6059 0
2004 요리/음식탕수기 제작기 26 Toby 16/01/11 5989 6
1988 요리/음식MSG, 중국음식만 먹으면... 신드롬 29 눈부심 16/01/10 8978 3
1932 요리/음식창녀의 파스타, 푸타네스카 18 마르코폴로 16/01/03 17783 2
1838 요리/음식냉장고를 부탁해. 18 켈로그김 15/12/22 6983 4
1529 요리/음식고급커피를 구해오는 방법 16 눈부심 15/11/11 7940 0
1394 요리/음식생물학적 방법과 화학적 특성을 이용한 디저트와인 7 마르코폴로 15/10/30 12993 2
1376 요리/음식라면 41 헬리제의우울 15/10/29 11529 25
1363 요리/음식커피이야기 - 경매 6 만우 15/10/28 11732 0
1319 요리/음식가볍게 써보는 지극히 주관적이고 간단한 치킨 리뷰. 12 관대한 개장수 15/10/22 12221 4
1311 요리/음식두부이야기(중국편) 24 마르코폴로 15/10/21 12754 2
1263 요리/음식애들이 무스비 김밥 진짜 좋아하네요 12 종이컵 15/10/15 9327 0
1136 요리/음식내가 사랑하는 치킨 - BHC 소스에 무쵸 5 Toby 15/09/30 10112 0
1069 요리/음식중국의 면과 젓가락문화 17 마르코폴로 15/09/22 11200 5
900 요리/음식 파스타 이야기 7 마르코폴로 15/09/03 6766 3
851 요리/음식위기를 기회로 만들다. - 모엣 샹동 의 장 레미 모엣 4 마르코폴로 15/08/26 7304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