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6/05/18 00:40:50
Name   에밀리
Subject   [26주차] 순간에서 영원까지
주제 _ 선정자 : 지환
두 명이서 어디론가 가는 이야기

조건
평소보다 조금 더 길게 써주시면 좋겠어요

합평 방식
분량은 자유고 합평방식은 자유롭게 댓글에 달아주시면 좋겠습니다.

맞춤법 검사기
speller.cs.pusan.ac.kr

합평 받고 싶은 부분


하고싶은 말
어렵네요. 처음엔 이게 아니었는데 항상 어디론가 가는 것 같아요. 근데 전 둘이서 가는 게 아니라 혼자 가네요. 길게 써달라고 하셨는데 길지 않아 죄송합니다. 원래 계획대로였다면 좀 더 길어졌을 것 같은데 항상 그렇잖아요. 시간과 예산이 좀 더 있었다면... 죄송...
본문
---------------------------------------------------------------------------------------------------------------------

"김우현"

날씨 좋은 강변의 유채꽃밭에서 그녀의 목소리를 듣는 일은 세상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감동이다. 이런 날이 올 수도 있구나 하고 자조 반, 감격 반의 중얼거림을 속으로 흘리곤 천천히 그녀에게 고개를 돌렸다. 하얀 원피스에 하얗고 챙이 넓은 모자, 누가 봐도 연인과 봄소풍을 나온 옷차림의 아가씨가 있었다. 노란 유채꽃을 배경으로 날 향해 웃어주는 그녀가 몹시 눈부시다. 눈을 뜰 수가 없다.

"김우현"

내 옆에 선 그녀가 날 낮고 작게 불렀다. 무슨 일인가 생각하며 그녀를 흘깃 보니 그녀도 날 흘깃 보며 무서운 입 모양과 샐쭉한 표정으로 혼을 냈다. 왜 지금 눈을 감고 있냐는 의미겠지. 하지만 나에게도 어쩔 수 없는 이유가 있다. 신부의 옷을 입은 그녀가 너무나도 아름다웠으니까. 순결을 상징한다는 하얀 웨딩드레스, 면사포며 장갑에 손에 낀 반지까지 모두 흰색, 밝고 휘황찬란한 것들로 가득 장식된 홀, 그 많은 물건 사이에서 가장 빛나는 그녀, 난 또 눈이 부셔 그녀의 장난 섞인 구박에도 눈을 감고 말았다.

"김우현"

들릴 리 없는 그녀의 목소리, 난 여전히 혼자 중얼거리는 습관을 고치지 못한 채 이렇게 속으로 이야기하고 있다. 언제나 내가 눈을 감고 있을 때면 날 불러 자신을 보게 하던 그녀는 이제 없다. 시선을 항상 잡아당겼음에도 눈이 부셔 막상 바라볼 수는 없었던 그녀를 이제는 쉽게 바라볼 수 있다. 눈앞의 그녀는 이전과 같이 하얗고 아름다웠지만 더는 빛나지 않는다. 지금 눈을 감고 있는 건 내가 아닌 그녀, 침구며 커튼이며 그녀가 입고 있는 옷까지 온통 하얀 이 방, 마치 원래 이 방의 부속물이었던 양 하얗게 녹아 있는 그대. 난 잠깐 내 마음을 보기 위해 그녀에게서 시선을 거두고 눈을 감았다.

눈을 뜨자 검은 옷을 입고 있는 그녀가 있다. 검은 옷은 그녀가 입지 않던 옷인데, 그녀는 눈과 같이 하얀 사람이었는데. 슬픈 듯, 기쁜 듯 혹은 둘 다인 듯 웃는지 우는지 모를 표정을 한 그녀, 방금 날 부른 건 그녀였고 난 내 표정을 제어할 수 없어 웃었다. 예전 그녀가 날 보며 지어주던 미소가 이랬을까, 아쉽지만 거울이 없어 확인할 수 없다. 그러나 날 보는 그녀는 아직도 마주 웃어주지 않는다. 이내 내게서 눈을 뗀 그녀, 그녀의 시선을 따라가니 내가 있었다. 하얀 곳에 누워있는 나, 검은 옷을 입은 그녀. 그 찰나의 순간 스쳐가는 우리의 기억들에 말을 잃었고 이제는 필요하지 않았다. 그렇구나. 말이 필요없다면서도 굳이 속으로 한 번 되뇌이곤 그녀가 내민 손을 잡는다. 따뜻하지 않지만 따뜻했고 난 또 웃었다. 그녀와 손잡고, 함께 걷는다.



0


    마스터충달
    [합평]
    주마등인가요? 환희와 슬픔이 교차하는 글이네요. 서사는 모호한데 감성은 명확합니다. 그 흐름이 비극을 향하는 것 같아 애잔하네요. 차라리 둘 다 죽었으면 하는 생각이 들정도로...

    뒷 부분으로 갈수록 문장이 자연스러워 집니다. 다만 첫 문단이 아쉽네요. 복문이 많고, 이 때문에 흐름이 좋지 못합니다. 아무래도 글의 시작은 부담스럽기 마련이죠. 여유를 두고 퇴고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에밀리
    어... 둘 다 죽었는데요? ㅠㅠ... 서사가 모호하다는 말씀이 이건가 보군요. 네, 주마등은 맞는데 글감이 하나 더 있어요.
    먼가 난해하다 난해 난해...
    에밀리님이 에씨가 아니고 김씨였구낭
    에밀리
    헤헤, Moira 님은 좋아하지만 에밀리니까 에 씨라는 아재 개그는 좋아하지 않아요. 김 씨도 아닙니다.
    그렇군요. 난해하다니 시무룩... ㅠ.ㅠ 글쓴이가 자신의 글을 설명해야 할 때 참 슬프다던데 그런 느낌이 이거였던 것 같아요. 어렵당...
    아 내가 아재라니... 시무룩...ㅠ_ㅠ
    아재넷에서 탈출해야겠어!
    현대미술의 경향에 따르면 자기 작품을 작가가 설명하는 일은 슬픈 일이 아니던데용. 작품설명이 오히려 더 예술적인 작품이 될 수도 :D:D:D
    에밀리
    홍차넷이 아재넷이라 아재가 많은 게 아니라 아재들이 모였기에 아재넷이 된 거겠죠. 이 곳을 봐도 그렇지만 아재의 옆에는 높은 확률로 아재가 있더이다. 그러니 여길 벗어나셔도 아재로서의 정체성을 잃지는 않으실 거예요. 탈출 시도는 내려놓으셔도 좋습니다. 계속 함께해요.

    그건 현대 예술이 포스트 모더니즘의 한 갈래로 누구나 쉽게 이해하는 공통된 거대 서사를 거부하기 때문이겠죠. 제가 원한 건 읽는 이의 대부분이 한 번에 이해하곤 "아, 그거네?" 하는 거였으니까요. 위로는 감사하지만 주륵...ㅠㅠ 괜찮아요. 생각해보면 일기와 칼럼(?) 비슷한 거, 리뷰 말고는 써본 적이 없으니까요. 많이 쓰다 보면 나아지겠죠.
    앗 어떡하지 내가 생각없이 한 말 때문에 에병장님이 눈물을 ㅠㅠ
    하지만 정말 난해했어요. 텍스트 어딘가 열쇠가 있어야 하는데 열쇠를 못 찾아서.. 아재가 눈이 어두운 것이여 ㅠㅠ

    그리고 인물 이름은 좀 다시 생각해보셔요. 아재 감수성이라 그렇겠지만 김우현은 좀 순정만화 주인공 이름 같아요. 창작물에선 이영도처럼 무조건 이름을 잘 지어야 돼용... 기르는 고양이 이름을 김중배라고 짓거나 사자 이름을 리차드 파커라고 짓는 거 등등.
    아니 사실은 익명의 두 사람이 나았을 거 같아요. 고유명사는 창작물에서 정말 강한 인덱스거든요... 더 보기
    앗 어떡하지 내가 생각없이 한 말 때문에 에병장님이 눈물을 ㅠㅠ
    하지만 정말 난해했어요. 텍스트 어딘가 열쇠가 있어야 하는데 열쇠를 못 찾아서.. 아재가 눈이 어두운 것이여 ㅠㅠ

    그리고 인물 이름은 좀 다시 생각해보셔요. 아재 감수성이라 그렇겠지만 김우현은 좀 순정만화 주인공 이름 같아요. 창작물에선 이영도처럼 무조건 이름을 잘 지어야 돼용... 기르는 고양이 이름을 김중배라고 짓거나 사자 이름을 리차드 파커라고 짓는 거 등등.
    아니 사실은 익명의 두 사람이 나았을 거 같아요. 고유명사는 창작물에서 정말 강한 인덱스거든요. 여기서는 김우현이란 세 글자가 일종의 맥거핀처럼 작용해서 읽는 이에게 불필요한 정보를 주고 결국은 그것이 의미없음을 확인시키는 거 같아요. 이름이 김우현이면 왜 굳이 김우현인가가 텍스트 내에서 인정이 돼야 하는데... 장편이면 대개 읽는 도중에 자연스럽게 인정이 되고, 단편이면 '왜 굳이'를 납득시키기 위해 정말 잘 짓거나, 이름을 감당할 수 없는 등장인물한테는 이름이 노출될 기회를 안 주는 편이 나을 거예요. 물론 김우현씨가 등장하는 연작이면 그건 또 다른 이야기인데...

    아이 어떡한다 횡설수설... 역시 도망가야겠다..;;;;
    에밀리
    아녜요. 좋지 않은 영화를 두고 감독 위한답시고 솔직하게 말해주지 않으면 곤란하잖아요.

    이름은 단순히 군시절 기억에 남는 동기의 이름을 따왔는데 그러면 안 되는 거였군요. 감사해요. 그런데 A나 B로 갈 수는 없었어요. 제가 그렸던 건 저승사자가 이름을 세 번 불러 혼령을 데려간다는 얘기였거든요.
    아하 그렇구나 저승사자... 저승사자가 산 사람 이름을 불렀을 때 대답 안하면 못 데리고 간다거나 하는 내러티브 장치가 하나쯤 있었으면 이해가 좀더 쉬웠을 거 같아요. 물론 눈썰미 좋은 사람들은 여자애 정체를 알아차렸겠지만... 나같이 평범한 독자들은 ㅠㅠ

    창작할때 제일 어려운 게 인물 이름 짓는 거랑 작품 제목 짓는 것인데요(그런 속설이 있어요), 다른 부분들은 대충 텍스트 내적 논리를 따라가면 써지지만, 고유명은 하늘에서 떨어지는 것처럼 텍스트와 무관한 맥락을 폭력적으로 끌고 들어오는 침입자거든요. 또 그런 고유명이 독자... 더 보기
    아하 그렇구나 저승사자... 저승사자가 산 사람 이름을 불렀을 때 대답 안하면 못 데리고 간다거나 하는 내러티브 장치가 하나쯤 있었으면 이해가 좀더 쉬웠을 거 같아요. 물론 눈썰미 좋은 사람들은 여자애 정체를 알아차렸겠지만... 나같이 평범한 독자들은 ㅠㅠ

    창작할때 제일 어려운 게 인물 이름 짓는 거랑 작품 제목 짓는 것인데요(그런 속설이 있어요), 다른 부분들은 대충 텍스트 내적 논리를 따라가면 써지지만, 고유명은 하늘에서 떨어지는 것처럼 텍스트와 무관한 맥락을 폭력적으로 끌고 들어오는 침입자거든요. 또 그런 고유명이 독자의 눈에는 마치 거기 원래부터 필연적으로 존재해야 하는 것처럼, 텍스트의 유기적인 일부처럼 보여야 하지요. 예를 들어 수박님의 연작 주인공 이름 수박이가 아주 자연스럽게 다가오는 건 수박님의 닉네임이 꽁트 본문과 필연적인 관계 속에 있기 때문이잖아요.

    존재하지 않는 필연성을 마치 존재하는 것처럼 구사하여 작품의 통일성을 유지하는 일은 너무 힘들기 땜에 사실 전문적인 작가들도 쉽게 성공하지 못해요. 그래서 대개는 익명(또는 의미값이 제로에 수렴하는 표기)을 선택하는 안전한 길을 택하거나, 큰바위 얼굴의 어니스트처럼 대놓고 알레고리를 사용하거나, 필연성의 추구를 포기하고 자기 혼자만 그 존재이유를 납득할 수 있는 불완전한 이름을 사용하기로 타협하거나 그래요. 제가 생각하기에 이영도는 예외적인 천재고요. 불세출의 작명술사.

    저 같으면 "김..."으로 표기하든가 했을 거 같아요. 여기선 이름을 부른다는 사실이 중요하지 인물의 이름이 중요한 건 아니니까요. 짧은 글에서 세 번이나 반복되는 중요한 장치니까 한번 입을 대 봤는데 아아 꼬였다 꼬였어

    작품의 의도를 먼저 물어보고 이름도 억측하지 말고 솔직하게 물어봤어야 하는데.. 앞으로 주의할게요. 미얀 ㅜㅜ
    에밀리
    아뇨, 얘기 들어보니까 알아챈 분들이 단 한 분도 없었어요. 제목도 짓지 못 하고 있다가 업로드하기 직전에 스친 걸로 했습니다. 예산과 시간이라는 게 '몬타나 존스'에서 니트로 박사가 항상 하던 대사였거든요. '순간에서 영원으로' 는 몬타나 존스 주제가에 나오던 가사인데 순간의 주마등이 영원으로 이어진다는 점이 마음에 들어서 그렇게 정했어요. 이름 짓기도 고민을 많이 해봐야겠어요. 뀽...

    이름을 "김..."로 하는 일은 생각하기 어려웠어요. 이름을 성과 함께 불러야 초혼이라는 소재가 잘 드러날 것 같았고 또 그에 맞춰서 남자... 더 보기
    아뇨, 얘기 들어보니까 알아챈 분들이 단 한 분도 없었어요. 제목도 짓지 못 하고 있다가 업로드하기 직전에 스친 걸로 했습니다. 예산과 시간이라는 게 '몬타나 존스'에서 니트로 박사가 항상 하던 대사였거든요. '순간에서 영원으로' 는 몬타나 존스 주제가에 나오던 가사인데 순간의 주마등이 영원으로 이어진다는 점이 마음에 들어서 그렇게 정했어요. 이름 짓기도 고민을 많이 해봐야겠어요. 뀽...

    이름을 "김..."로 하는 일은 생각하기 어려웠어요. 이름을 성과 함께 불러야 초혼이라는 소재가 잘 드러날 것 같았고 또 그에 맞춰서 남자친구의 이름을 성까지 함께 부르는 씩씩하고 할 말 다 하는 여성을 그렸으니까요. 물론 드러나진 않았죠... 대신 이 점은 원래 문단의 사이사이 있었던 둘의 성격을 드러내는 작은 에피소드들을 쳐낸 결과라고 스스로에게 변명이나 합리화가 가능합니다. 뀨...

    거듭 말씀드리지만 아녜유. 이런저런 얘기들 해주시는 것만으로도 정말 감사해요. 앞으로도 좋아할게융 헤헤
    마스터충달
    저는 짧은 글이라도 이름을 붙이는 게 좋다고 생각해요. 말씀하신 장점 외에도 모호하고, 신비로움을 주는 게 멋있어 보이긴 하지만... 글의 몰입력을 방해하고, 구체적이지 못하게 만드는 원인이기도 해서요. 어떤 글이냐, 목적이 무엇이냐에 따라 다르게 봐야할 사안이라고 생각합니다.
    "김우현" 하고 세 번 부르는 장면에서 왜인지 마태보금에서 예수를 세 번 부인하는 베드로가 떠올랐습니다. 각설하고, 짧은 글이 가진 형식미를 잘 제련해 표현한 글입니다. 위에 모이라(?)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글 자체는 조금 난해한 느낌이 있습니다. 문장의 전개보다 그것의 형식에 힘을 준 글로 느껴졌는데 단편에 적합한 방식인지는 의문이지만 문장은 아름답게 읽혔습니다.
    에밀리
    감사합니다. 먼저 틀을 강하게 잡고 그 안에 이야기를 억지로라도 끼워넣는 방식으로 썼습니다. 이게 말씀하신 형식에 힘을 줬다는 걸까요? 다음에는 난해한 느낌이 적도록 더 평이하게 써보겠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895 창작[27주차]그래비티 2 에밀리 16/05/25 4598 0
    2890 창작[조각글 27주차] 야간비행 4 선비 16/05/25 3263 0
    2888 창작[27주차]우울증이거나 알코올 중독이거나 외로운 거겠지. 4 틸트 16/05/25 3773 0
    2874 창작[조각글 27주차] 곱등이 3 헤베 16/05/24 4363 0
    2862 창작[단편] 쓰레빠 13 마스터충달 16/05/22 4551 4
    2856 창작[26주차] 죽는 건 꽤 억울한 일이겠지만 말입니다. 1 틸트 16/05/22 4061 3
    2834 창작[27주차 주제발표] 사물들의 일상 1 얼그레이 16/05/18 3366 0
    2833 창작[조각글 26주차]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 6 우너모 16/05/18 5501 1
    2831 창작[26주차] 순간에서 영원까지 14 에밀리 16/05/18 4248 0
    2830 창작[26주차] 해설피, 나무, 뻐꾸기. 2 헤베 16/05/18 4141 0
    2822 창작[조각글 26주차][팬픽] 검은 사제들 2 : 곡성(哭聲) 11 마스터충달 16/05/16 5194 1
    2820 창작 [조각글 26주차] 두 사람이다 12 묘해 16/05/16 5174 2
    2817 창작가입기념으로 올려봅니다 6 탐닉 16/05/15 4534 11
    2791 창작[26주차 주제] 두 명이서 어디론가 가는 이야기 2 얼그레이 16/05/13 3515 0
    2778 창작[조각글 25주차] 뒷담화 3 우너모 16/05/11 3641 0
    2772 창작[조각글 25주차] 그는 어디에서 오는가 5 에밀리 16/05/10 4384 0
    2766 창작조각글 25주. 무제 5 지환 16/05/09 3656 1
    2764 창작[조각글 25주차] 제 3자의 섹스 11 nickyo 16/05/09 4124 0
    2745 창작[25주차 주제]부끄러움에 대하여 3 얼그레이 16/05/04 3618 0
    2744 창작[24주차 조각글] 말해봐요 나한테 왜 그랬어요 3 묘해 16/05/04 3592 1
    2728 창작[마감완료] 조각글에 참여하실 멤버를 찾습니다! 9 얼그레이 16/05/02 3324 0
    2726 창작[조각글 24주차] 기도문. 4 헤베 16/05/01 3814 0
    2723 창작[24주차]-하얗고 까만 5 제주감귤 16/05/01 3703 0
    2720 창작[24주차] 구차한 사과 2 얼그레이 16/05/01 4202 2
    2710 창작[조각글 23주차] 희나리. 3 헤베 16/04/29 4268 1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