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6/07/06 22:48:30 |
Name | klaus |
Subject | 명작 영화는 왜 나오기 어렵고 ~닦이류등으로 불리는 영화들이 범람하는가. |
영화 프로젝트 하나를 좌지우지 할 정도쯤 될려면 높은 직급으로 출세를 잘해야 합니다. 출세하는데 필요한게 뭐겠습니까? 오십퍼 이상의 지분을 차지하는 기술이 처세술이겠죠? 여기서 생각을 좀 해보건대. 높은 직급에 오를려고 처세술을 빡씨게 익힐려면 다른 어떤걸 아무것도 버리지 않을수 있는가? 제 생각엔 처세술을 자기 몸처럼 익힐려면 다른걸 꼭 뭔가 버려야 한다는 생각이 듭니다. 균형있게 말이죠. 그 뭔가 버리는 것중의 하나가 창의성이나 창조성 같은게 아닐까 생각이 든단 말이죠.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klaus님의 최근 게시물
|
일단 실력이 우선시되고 그이후 실력되는 사람들끼리 경쟁될시 처세라 생각됩니다. 특히 영화같은 예능쪽은 더욱더 창조적이고 창의적인 부분이 강조되는 부분이고요. 감독 배우등 실전에 뛰는분들뿐만아니라 기획자들도 그재능은 못미칠지 모르나 그재능들을 찾아내고 존중하고 그재능들에 투자해 다시 자본으로 바꾸는 사람들입니다.
명작 영화 만들기가 쉽지않을뿐이지 창의적인 능력 부분을 처세술로 변환하고 뭐고가 아니란 말입니다. 애초에 왜 처세술을 익히기위해 다른 능력을 줄여야 되는지도 모르겠고요.
최저임금 1만원 얘기는 당최 뭔얘긴지 모르겠어서 대답을 못하겠네요.
명작 영화 만들기가 쉽지않을뿐이지 창의적인 능력 부분을 처세술로 변환하고 뭐고가 아니란 말입니다. 애초에 왜 처세술을 익히기위해 다른 능력을 줄여야 되는지도 모르겠고요.
최저임금 1만원 얘기는 당최 뭔얘긴지 모르겠어서 대답을 못하겠네요.
창의성과 창조성을 처세를 위해 버린다기 보다는,
다듬어지지 않은 상태의 창의성이 쓸모있는 경우가 거의 없고, 충분한 지식이 결합되어야 비로소 쓸모있는 창조물이 나옵니다.
동시에 충분한 지식을 쌓는 과정에서 기본적인 협업과 생활에 필요한 처세를 익히게 되는거죠.
단순히 동시에 진행되어 그렇게 착각될 수 있는 것일 뿐입니다.
뭐.. 기업문화를 기준으로 놓고 본다면 진짜로 창의성이 처세에 막히는 경우도 있겠지만서도..;;
그마저도 자신의 창의성이 가치있다는 주관적 판단에 의한 결론이 상당수임을 감안하면,
일반적으로는... 더 보기
다듬어지지 않은 상태의 창의성이 쓸모있는 경우가 거의 없고, 충분한 지식이 결합되어야 비로소 쓸모있는 창조물이 나옵니다.
동시에 충분한 지식을 쌓는 과정에서 기본적인 협업과 생활에 필요한 처세를 익히게 되는거죠.
단순히 동시에 진행되어 그렇게 착각될 수 있는 것일 뿐입니다.
뭐.. 기업문화를 기준으로 놓고 본다면 진짜로 창의성이 처세에 막히는 경우도 있겠지만서도..;;
그마저도 자신의 창의성이 가치있다는 주관적 판단에 의한 결론이 상당수임을 감안하면,
일반적으로는... 더 보기
창의성과 창조성을 처세를 위해 버린다기 보다는,
다듬어지지 않은 상태의 창의성이 쓸모있는 경우가 거의 없고, 충분한 지식이 결합되어야 비로소 쓸모있는 창조물이 나옵니다.
동시에 충분한 지식을 쌓는 과정에서 기본적인 협업과 생활에 필요한 처세를 익히게 되는거죠.
단순히 동시에 진행되어 그렇게 착각될 수 있는 것일 뿐입니다.
뭐.. 기업문화를 기준으로 놓고 본다면 진짜로 창의성이 처세에 막히는 경우도 있겠지만서도..;;
그마저도 자신의 창의성이 가치있다는 주관적 판단에 의한 결론이 상당수임을 감안하면,
일반적으로는 딱히 맞지도 틀리지도 않은 이야기..
다듬어지지 않은 상태의 창의성이 쓸모있는 경우가 거의 없고, 충분한 지식이 결합되어야 비로소 쓸모있는 창조물이 나옵니다.
동시에 충분한 지식을 쌓는 과정에서 기본적인 협업과 생활에 필요한 처세를 익히게 되는거죠.
단순히 동시에 진행되어 그렇게 착각될 수 있는 것일 뿐입니다.
뭐.. 기업문화를 기준으로 놓고 본다면 진짜로 창의성이 처세에 막히는 경우도 있겠지만서도..;;
그마저도 자신의 창의성이 가치있다는 주관적 판단에 의한 결론이 상당수임을 감안하면,
일반적으로는 딱히 맞지도 틀리지도 않은 이야기..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