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6/08/31 14:18:32 |
Name | 눈부심 |
Subject | 뻘글) 인간의 한계 |
사람이 없는 숲속에서 나무가 쓰러진다면 그것은 과연 소리를 낼 것인가라는 고대 철학질문을 검색하다가 발견한 동영상이에요. 사람이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건 공기가 진동하기 때문이고 진동은 주기가 있는 변화이며 소리를 일으키는 진동은 주파수를 지니고 있음. '공기가 진동하는 주파수가 20~2만㎐(헤르츠·1초당 진동 횟수)이어야 사람이 들을 수 있다'고 하며 '초음파(超音波)는 인간이 들을 수 있는 가청 최대 한계 범위를 넘어서는 주파수를 갖는 주기적인 음압(音壓, Sound Pressure)'을 의미. 영상을 플레이하면 주파수가 들리는데 처음에 안들리다가 고주파수가 들리기 시작, 한참 잘 들리다가 주파수가 낮아지면 낮아질수록 잘 안 들리더니 아예 안들리기 시작... 그러니까 저 안들리는 구간을 개나 박쥐들은 들을 수 있다는 거네요. 인간의 한계가 느껴지시나요. 사람이 없는 숲속에 녹음기를 틀었다가 그걸 가지고 와서 스피커에 연결시키면 나무 쓰러지는 소리가 들리거든요. 그 원리가 너무너무 궁금하고 신기하더라고요. 달팽이관이 진동을 받아다가 뇌에 전달하면 소리를 인식하게 되는데 녹음기는 무슨 원리로 녹음을 하며 그 녹음된 녀석의 실체는 무엇이며(소리의 근거가 될 어떤 자원) 스피커가 녹음기에 연결되면 하는 일은 또 무엇인지 생각에 생각을 거듭하니 벌써 늦은 밤이군요; 녹음의 원리는 이건데 이게 무슨말이야 ㅠㅠ https://en.wikipedia.org/wiki/Sound_recording_and_reproduction . 대충이지만 하나 건졌는데 녹음기는 소리를 몰라요. 녹음기는 파동을 bit(?)로 바꾸어 저장해 뒀다가 스피커에 연결되면 비트를 다시 파동으로 바꾸어서 그걸 우리 인간의 귀가 접하면 달팽이관이 뇌에다가 소리를 인식하도록 해준대요. 녹음기를 발명한 인간은 위대하고 위대해...... 1
이 게시판에 등록된 눈부심님의 최근 게시물
|
부자와 가난한 주인을 구분하는게 아니라 자기를 사랑해주고 아껴주는 주인을 사랑하는 것이죠..
개와 고양이를 많이 키우던 홀로 살던 할머니가 자연사했는데 주위에서 오랫동안 사망사실을 몰랐어요.
한달만에 방문했는데 먹을게 없었던 개와 고양이들이 할머니를 뜯어먹어서 시체가 아주 쇼킹하게 손상되었죠.
냥이들은 둘째치고 할머니가 키우던 개들은 순둥이의 상징인 골든 리트리버들이었는데 물론 먹을 게 없는
상황에서 동물들이 무슨 잘못을 했다고 할 일도 아니지만 동물, 특히 개들에 대한 innocent하다는 이미지도
그냥 사람들의 환상이 아닌가 싶어요. 넌 내 이상형의 여자야 같은..
개와 고양이를 많이 키우던 홀로 살던 할머니가 자연사했는데 주위에서 오랫동안 사망사실을 몰랐어요.
한달만에 방문했는데 먹을게 없었던 개와 고양이들이 할머니를 뜯어먹어서 시체가 아주 쇼킹하게 손상되었죠.
냥이들은 둘째치고 할머니가 키우던 개들은 순둥이의 상징인 골든 리트리버들이었는데 물론 먹을 게 없는
상황에서 동물들이 무슨 잘못을 했다고 할 일도 아니지만 동물, 특히 개들에 대한 innocent하다는 이미지도
그냥 사람들의 환상이 아닌가 싶어요. 넌 내 이상형의 여자야 같은..
잉 ㅠㅠ
이미 사망한 육체니..
https://www.youtube.com/watch?v=pBnCCz1qOs4 문명을 전혀 모르는 이 개를 보다가 뻘생각을 했더랬어요.
이미 사망한 육체니..
https://www.youtube.com/watch?v=pBnCCz1qOs4
Zuasnabar le salva la vida a un perrito
마이크가 파동을 받아 전자 신호로 바꾸고 (그걸 메모리 같은거에 저장했다가 재생하면) 스피커는 전자신호를 다시 파동으로 바꾸는거라고 아주 대~~~충 알고 있어요.
근데 이건 디지털 방식이고 아날로그도 신기한 것 같아요. 최초의 녹음기는 LP판 같은거에 저장했을텐데(?? 이것도 맞는지도 모르겠네요)... 그리고 카세트테이프도 뭐가 어케 돌아가는 건지 신기한 것 같아요.. 그 까만/갈색 플라스틱 줄(?)이 뭘 어케 소리를 저장한거고 앞뒷면이 다른건지.. 그냥 쌩 감으로는 뭔가 자석이랑 관련 되 있을것 같은데(??).. 검색해보고 와야징
근데 이건 디지털 방식이고 아날로그도 신기한 것 같아요. 최초의 녹음기는 LP판 같은거에 저장했을텐데(?? 이것도 맞는지도 모르겠네요)... 그리고 카세트테이프도 뭐가 어케 돌아가는 건지 신기한 것 같아요.. 그 까만/갈색 플라스틱 줄(?)이 뭘 어케 소리를 저장한거고 앞뒷면이 다른건지.. 그냥 쌩 감으로는 뭔가 자석이랑 관련 되 있을것 같은데(??).. 검색해보고 와야징
또 다시 대~~~충 지금 찾아보니 LP전에 SP가 있었고 SP는 왁스 같은거를 올린 판이라 현재 지진나면 기록하는 기계(??)마냥 정말 판의 왁스를 긁어서 소리를 기록했나봐요. 카세트 테이프는 제 감대로 자성에 의한건데 테이프 면에 강자성체 분말을 입힌거라 녹음되는 소리의 전류에 따라 그 분말들이 자성을 띄게되는 패턴이 생기는데 그 패턴이 소리의 기록이라네요.
쏟아지는 정보들이 많은만큼 더 세분화되고 specialize되니까 감당할만 한것 같아요.
녹음스페셜리스트(?)만 이걸 다~~알고 나머지 사람들은 꾸역꾸역 배우지 않아... 더 보기
쏟아지는 정보들이 많은만큼 더 세분화되고 specialize되니까 감당할만 한것 같아요.
녹음스페셜리스트(?)만 이걸 다~~알고 나머지 사람들은 꾸역꾸역 배우지 않아... 더 보기
또 다시 대~~~충 지금 찾아보니 LP전에 SP가 있었고 SP는 왁스 같은거를 올린 판이라 현재 지진나면 기록하는 기계(??)마냥 정말 판의 왁스를 긁어서 소리를 기록했나봐요. 카세트 테이프는 제 감대로 자성에 의한건데 테이프 면에 강자성체 분말을 입힌거라 녹음되는 소리의 전류에 따라 그 분말들이 자성을 띄게되는 패턴이 생기는데 그 패턴이 소리의 기록이라네요.
쏟아지는 정보들이 많은만큼 더 세분화되고 specialize되니까 감당할만 한것 같아요.
녹음스페셜리스트(?)만 이걸 다~~알고 나머지 사람들은 꾸역꾸역 배우지 않아도 되는 시대가 온거겠죠 ㅎㅎ
그리고 딴 말이지만 이렇게 쉽게 궁금증을 풀수 있는 시대에 살아서 넘나 감사해요 ㅋㅋ
몇십년만 더 일찍 태어났었으면 저 같은 사람은 답답증으로 죽었을 것 같아요 ㅠㅠㅋㅋㅋㅋㅋ 구글느님 언제나 감사드립니다!!
쏟아지는 정보들이 많은만큼 더 세분화되고 specialize되니까 감당할만 한것 같아요.
녹음스페셜리스트(?)만 이걸 다~~알고 나머지 사람들은 꾸역꾸역 배우지 않아도 되는 시대가 온거겠죠 ㅎㅎ
그리고 딴 말이지만 이렇게 쉽게 궁금증을 풀수 있는 시대에 살아서 넘나 감사해요 ㅋㅋ
몇십년만 더 일찍 태어났었으면 저 같은 사람은 답답증으로 죽었을 것 같아요 ㅠㅠㅋㅋㅋㅋㅋ 구글느님 언제나 감사드립니다!!
아 그러고보니 본문에 위키피디아 페이지 링크가 있네요;;; 미리 찾아주셨는데 제가 헛검색 했네요 ㅠㅠㅠㅠㅠㅠ
근데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갭을 해결시킨 사람들이 정말 대단한 것 같아요.
아니 무슨 약을 했길래 빛의 파장이나(사진/비디오) 공기의 울림(소리)를 전기로 바꿀 방법을 찾은걸까요?
그 갭을 해결 못했으면 지금 구글이고 유투브고 나발이고 다 없을뻔했는데..
이렇게 방대하고 다양한 형태의 정보가 그냥 개인 컴터 1대나 손안에 스마트폰으로 불과 몇 초안에 찾을수 있는게 진짜 대단한것 같아요 이렇게 보니까..
뭐가 궁금해... 더 보기
근데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갭을 해결시킨 사람들이 정말 대단한 것 같아요.
아니 무슨 약을 했길래 빛의 파장이나(사진/비디오) 공기의 울림(소리)를 전기로 바꿀 방법을 찾은걸까요?
그 갭을 해결 못했으면 지금 구글이고 유투브고 나발이고 다 없을뻔했는데..
이렇게 방대하고 다양한 형태의 정보가 그냥 개인 컴터 1대나 손안에 스마트폰으로 불과 몇 초안에 찾을수 있는게 진짜 대단한것 같아요 이렇게 보니까..
뭐가 궁금해... 더 보기
아 그러고보니 본문에 위키피디아 페이지 링크가 있네요;;; 미리 찾아주셨는데 제가 헛검색 했네요 ㅠㅠㅠㅠㅠㅠ
근데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갭을 해결시킨 사람들이 정말 대단한 것 같아요.
아니 무슨 약을 했길래 빛의 파장이나(사진/비디오) 공기의 울림(소리)를 전기로 바꿀 방법을 찾은걸까요?
그 갭을 해결 못했으면 지금 구글이고 유투브고 나발이고 다 없을뻔했는데..
이렇게 방대하고 다양한 형태의 정보가 그냥 개인 컴터 1대나 손안에 스마트폰으로 불과 몇 초안에 찾을수 있는게 진짜 대단한것 같아요 이렇게 보니까..
뭐가 궁금해서 엄마한테 자꾸 물어보면 "아 엄마는 모르니까 자꾸 물어보지마!!" 라고 혼났던게 불과 제 어릴때 이야기인데 ㅠㅠㅋㅋㅋ
이젠 자기생각을 문장형태로 쓸수 있는 사람한테 자판배열만 알려주면 궁금한거 다 해결할 수 있는 시대에 살고있네요
근데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갭을 해결시킨 사람들이 정말 대단한 것 같아요.
아니 무슨 약을 했길래 빛의 파장이나(사진/비디오) 공기의 울림(소리)를 전기로 바꿀 방법을 찾은걸까요?
그 갭을 해결 못했으면 지금 구글이고 유투브고 나발이고 다 없을뻔했는데..
이렇게 방대하고 다양한 형태의 정보가 그냥 개인 컴터 1대나 손안에 스마트폰으로 불과 몇 초안에 찾을수 있는게 진짜 대단한것 같아요 이렇게 보니까..
뭐가 궁금해서 엄마한테 자꾸 물어보면 "아 엄마는 모르니까 자꾸 물어보지마!!" 라고 혼났던게 불과 제 어릴때 이야기인데 ㅠㅠㅋㅋㅋ
이젠 자기생각을 문장형태로 쓸수 있는 사람한테 자판배열만 알려주면 궁금한거 다 해결할 수 있는 시대에 살고있네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