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6/10/04 07:56:33
Name   Event Horizon
Link #1   https://www.youtube.com/watch?v=HbVOTJHA21k
Subject   영어의 두 얼굴: 게르만-로망스
타임라인에서 어떤 특정한 댓글을 보고 이 비디오가 생각나서 바로 작성해봅니다 ㅎㅎ
https://www.youtube.com/watch?v=HbVOTJHA21k
The Double Vocabulary of English

(비디오의 내용을 거의 그대로 배낍니다)

영어에는 같은 의미의 단어가 두가지씩 존재하는 경우가 꽤 많은편입니다.
예를 들어서 이런 쌍들이 존재하죠.
Begin-Commence
Words-Vocabulary
Folk-People
Want-Desire

이러한 쌍이 존재하는 이유는 영어의 근원에서 찾을수있다고합니다.
영어의 기본은 게르만어라고합니다, 그러하여 영어의 기본적인 단어들과 문법형태는 독어와 유사한 형태를 띄고있죠.

하지만, 12세기경 영어에 새로운 바람이 불기 시작했다고합니다. 바로 노르망디 공국의 형성으로 인한 로망스 언어, 특히 불어의 영향을 받기 시작한겁니다.
그리하여 바로 위의 단어들은 좌측에는 게르만 출신의 단어, 우측에는 로망스 출신의 단어가 배치되어있는 것이죠.

여기에서 좀 재밌는 현상이 나타낫다고합니다. 아래의 단어들도 위와 마찬가지로 왼쪽은 게르만, 오른쪽은 로망스 단어들인데요, 단어들의 뉘앙스를 한번 곰곰히 생각해보시길 바랍니다...


Buy-Purchase
Belly-Stomach
Brotherly-Fraternal
Understand-Comprehend
Needs-Requirements
Laughable-Ridiculous


무언가 느껴지시는게 있나요?
왼쪽의 게르만 단어보다 오른쪽의 로망스 단어들이 조금 더 '고급진' 느낌을 준다는 생각이 혹시 안드나요?

이는 바로 노르망 공국 당시에 평민들은 게르만 계통의 민족으로 게르만 영어를 계속 사용했지만, 귀족과 왕족은 처음에는 프랑스 출신들이 많았고, 차후에도 그 영향 + 라틴어가 유럽 귀족들의 공용어가 되면서 고오오급진 귀족님들은 로망스 영어를 계속 사용했던 영향이 아직까지 남아있는것이라고합니다.

그 예로, 영어에서 평민들이 키우던 가축들의 이름은 게르만 단어들이지만, 귀족이 먹던 고기의 이름은 로망스 단어들이라고하네요.
Cow→Beef
Calf→Veal
Deer→Venison
Pig→Pork
Sheep→Mutton
처럼요.

물론 모든 게르만-로망스 단어쌍이 로망스 단어가 더 고급진 느낌을 주는건 아닙니다.
아래의 단어들과 같은 경우가 그렇죠:
Uncouth-Rude
Blossom-Flower
Deem-Judge
Foretell-Predict
Seethe-Boil

이 단어들은 왜 관계가 역전이 되었을까요? 이는 바로 셰익스피어부터 시작해서 빅토리아 시대까지 영국의 문학가들이 '원형의 영어'를 더욱더 발전시키고 좋게 만들기 위한 숱한 문학적 노력의 여파라고합니다. 좀 더 평민들이 쉽게 공감하고, 전통적인 영어단어들로 귀족들까지 향유할수있는 작품들을 만들려고 하다보니 오히려 게르만 단어들이 더 고급져보이게 된거라고 보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게르만-로망스 쌍이지만, 두 단어 사이에 우위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 단어들도 존재합니다.
Woods-Forest
Anger-Rage
Forbid-Prohibit
Gift-Present
Thought-Idea
Wed-Marry
와 같은 단어들이 그렇죠.


결론은... 영어는 유럽의 거의 모든 언어들을 중간 중간에 배끼고, 뺏고, 스스로 발전하기도하고, 하여튼 성장과정이 복잡한 언어라서 외국인, 특히 비유럽 언어권 출신의 사람들에게는 참 불친절한 언어라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ㅋㅋㅋ



6


    우왕 그냥 느낌으로만 알고있던걸 이렇게 대조해서 보니 재밌네요 ㅋㅋㅋ
    근데 영어는 참 신기한게 셰익스피어가 몇백년 전에 쓴 극들, 제인 오스틴이 200년 전에 쓴 소설들이 지금 읽어도 명확히 뜻이 전달된다는 것이에요 ㅠㅠ 다른 유럽쪽 언어/문학도 그럴테지만...

    비유럽언어권 사람들에겐 불친절한 언어지만 또 여러 언어의 중간지점이 되기도 해서 배워놓고 나면 다른 유럽권 언어 배우기는 수월한 것 같아요. 그래서 유럽권 애들이 몇개국어에 능통한게 가능한 거겠죠 ㅠㅠㅠ

    재밌는 글 감사해요!
    Event Horizon
    셰익스피어까지 읽을수있겠다!하고 베어울프를 들어보는 순간 충격과 공포에 빠졌던 악몽이..... 다른 유럽쪽도 그럴것 같기는한데 제가 능력이 모잘라서 확실히는 모르겠네요 ㅎㅎ

    네, 유럽권 언어 중 뭐든 하나만 어느 정도 하면은 다른 언어들을 배우는게 훨씬 쉬워지는 것 같기는해요. 영어 같은 경우가 특히나 사람들이 자주 접하는 유럽 언어 원형의 두가지의 영향을 크게 받은 언어라 그런면에서 좋을수도...? 저런 단어들의 쌍뿐만 아니라, 영어 문법에서 괜히 복수형태나 과거형이 '규칙'을 따르지 않는 예외들도 이 게르만/로망스 어원을 ... 더 보기
    셰익스피어까지 읽을수있겠다!하고 베어울프를 들어보는 순간 충격과 공포에 빠졌던 악몽이..... 다른 유럽쪽도 그럴것 같기는한데 제가 능력이 모잘라서 확실히는 모르겠네요 ㅎㅎ

    네, 유럽권 언어 중 뭐든 하나만 어느 정도 하면은 다른 언어들을 배우는게 훨씬 쉬워지는 것 같기는해요. 영어 같은 경우가 특히나 사람들이 자주 접하는 유럽 언어 원형의 두가지의 영향을 크게 받은 언어라 그런면에서 좋을수도...? 저런 단어들의 쌍뿐만 아니라, 영어 문법에서 괜히 복수형태나 과거형이 '규칙'을 따르지 않는 예외들도 이 게르만/로망스 어원을 따라가면 알수있는 경우가 있다는 이야기도 들었는데, 그건 원래 봤던 자료를 못찾아서 패스...

    유럽애들은 로망스 언어중 하나만 하면 다른 로망스 언어들 배우기가 상대적으로 너무 쉬워서... 그건 다개국어 하는걸로 치면 안된다고 심술부리고 싶습니다, 걔네는 조금 많이 다른 사투리 여러개하는거죠!!
    하긴 유럽어족은 좀 많이 다른 사투리라는게 틀린 이야기는 아닌 것 같아요 ㅋㅋ 저도 스패니쉬는 교육받은 적은 없는데 미국에 있으면서 살짝살짝 노출되니 불어랑 비슷한 점이 있어서 아~주 대충 읽기랑 눈치로 알아듣기정도는 가능해요 ㅋㅋㅋㅋㅋㅋ 스패니쉬 r발음 넘나 재밌다능 ㅋㅋㅋ

    근데 본문에 쓰신 wood-forest 짝은 깐깐히 따지자면 Wood는 나무/목재 이고 Woods가 forest의 짝이 아닐까요..?
    Event Horizon
    아주 예리하신 지적입니다 ㅠㅠ 이런 실수를... 부끄럽네요... 수정했습니다, 지적 감사해요!
    혹시나 다른분들도 실수를 보신다면 댓글을 달아주시길...

    네, 미국남쪽은 스페인어를 피할수가 없죠. 마이애미를 배경으로한 미드 덱스터에서 경찰관이 쿠바계 상인에게 "너 미국에 살면서 왜 영어 못해!"이러니까 상인이 경찰에게 "너 마이애미 살면서 왜 스페인어 못해!"라고 반박하는 장면을 언제나 떠올립니다 ㅋㅋ
    Ben사랑
    현재의 영어는 전세계의 언어들에 영향을 주고 또 받는 위치에 있어서, 앞으로 더 잡탕 언어가 될 가능성이 높겠죠.

    Understand -Comprehend
    Thought - Idea
    ..는 평소에 쌍이라고 생각 안 했는데, 이 글 보고 영영사전 찾아보니 서로 뜻이 거의 일치하네요.
    Event Horizon
    네 그렇죠. 현재 미국에서 영어는 아무래도 스페인어와 교류가 굉장히 많은편이고, 남아공이나 인도등에서도 영어가 공용어일텐데 그런 지역의 영어는 또 그곳의 다른 언어들과 영향을 많이 주고 받으면서 변화하고있다고합니다.

    사견으로 제가 영어 공부를 하면서 가장 당황했던 동의어는 lucid-pellucid입니다. 스펠링마저 비슷하다니... 굉장히 게으른 누군가가 새로운 단어 만들어보겠다고 두번째 단어를 만든게 아닌가하는 상상을했던 기억이... ㅋㅋㅋ
    Ben사랑
    아까 어원이 나오는 영영사전을 봤더니

    pellucid = per-(=through) + lucid
    ..꼴로 단어가 형성된 모양입니다.
    Event Horizon
    좋은 사전을 갖고 계시네요. 제가 처음 봤을때는

    pellucid: see definition for lucid라고 써있어서 멘붕했습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Ben사랑
    영한사전, 영영사전, 위키백과, ..등등 총 15개 사전 앱을 갖고 있습니다. 물론 영어 실력은 갖고 있는 사전 앱 수와 무관합니다만..오늘 좋은 하루 되세요!
    독일 사람들이 프랑스 사람들보다 영어를 잘 하는 이유도 영어의 베이스가 게르만 계열이라 그렇죠. (그러니 영어 잘하면 독일어 굳이 배울 필요 없습니다. 독일인들이 알아서 영어 잘 배워옵니다.) 로망스 계열 언어와 게르만 계열 언어를 둘 다 마스터하는건 시간이 좀 걸리는데 벨기에가 이것 때문에 골치좀 썪고 있는걸로...
    Event Horizon
    그러고보니 문법도 그렇고 발음도 프랑스인들보다는 독일인들이 대체로 영어 훨씬 수월해하는 것 같더라구요. 하지만 프랑스 억양의 영어는 섹시한 영어억양 최고순위권이니 별로 상관 없을수도...? ㅋㅋㅋ

    벨기에와 같은 경우는 생각치 못했는데 그렇겠네요. 불어+네덜란드어/독어라는 조합의 국가네요. 여러모로 다문화의 융화 때문에 고민이 많은 국가인듯...
    스쳐지나가듯 본건데 네덜란드 계열 장관인가 하는 사람이 벨기에는 곧 망할것이다라고 했다던데... 상관이 있으려나요
    Ben사랑
    네덜란드와 벨기에가 서로 사이가 안 좋나요? 전 좋다고 알고 있었는데..
    제가 기사를 본 거 같은데 검색하니 안나오네요..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
    Ben사랑
    언어라든지 정치지형이라든지가 지역별로 너무 이질감이 심해서 독립하고 싶어하는 모양새인가 보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개인적으로 영어의 근간이 게르만이라는 건 처음 안 사실입니다. 신기하네요. 라틴어일 줄 알았는데..
    라틴어는 알파벳쓰는 모든 언어의 조상님격이죠 ㅎㄷㄷ
    제가 이쪽으로 좀 무지해서요 ㅎㅎ 어떤 계통을 따질 때 라틴어는 잘 거론 안하는가요?
    저도 언어학 전문가는 아니라 틀릴수도 있지만 대~~강 얘기하자면 아메리카대륙/서유럽은 거의 라틴어근인것 같고요.. 그리스어도 라틴어랑 다른듯 비슷한듯 한것 같아요. (라틴어랑 1:1대응 되는 번역본 이름들이 있어서.. 그리스로마신화의 신들 보면 라틴어이름 그리스어이름 다 따로 있고 성경의 사도바울도 로마시민이었는데 헬라어(그리스어)로 성경을 썼구요..)

    그 외의 동유럽부터 아시아, 아프리카 쪽은 라틴어랑 관련 없는 것 같아요.
    아무래도 언어가 역사/문화적으로 융합되고 바뀌니까 로마역사/서유럽역사대로 라틴어가 퍼진것 같아요.

    전문가분들 어서 오셔서 지적해주시고 고쳐주세요!!
    Event Horizon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b/b5/IndoEuropeanTreeDielli1.svg

    위키피디아에서 이걸 찾았습니다... ㄷㄷㄷ

    저희가 지금 다루고있는 언어는 다들 인도-유럽계 언어들이고 그 아래로 대분류가 (*주의* 비전문가의 발번역이 시작됩니다)
    1.알바니아 2.헬라어 3.인도-이란 4.이태리 5.갈리아 6.게르만... 더 보기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b/b5/IndoEuropeanTreeDielli1.svg

    위키피디아에서 이걸 찾았습니다... ㄷㄷㄷ

    저희가 지금 다루고있는 언어는 다들 인도-유럽계 언어들이고 그 아래로 대분류가 (*주의* 비전문가의 발번역이 시작됩니다)
    1.알바니아 2.헬라어 3.인도-이란 4.이태리 5.갈리아 6.게르만 7.아르메니아 8.발토-슬라빅으로 분류된다고합니다.

    1번의 대표어는 알바니아어
    2번은 그리스어
    3번은 산스크리트, 힌두어, 파슈토, 쿠르드어, 페르시아어 등
    4번은 라틴, 루마니아어, 불어, 이태리어, 스페인어 등등
    5번은 아일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등의 갈리아어
    6번은 독어, 네덜란드어, 영어, 아프리칸등
    7번은 아르메니아어
    8번은 슬라브어, 폴란드어, 러시아어 등등이 있다고하네요

    다른 댓글에서 언급된 헝가리, 핀란드어 등은 아예 이 분류 밖의 언어들인가보네요.
    Ben사랑
    인도랑 유럽이랑 언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게 신기해요.
    히익 이게 다 뭐래요;;;
    바벨탑 x발! (??)
    라이카
    http://dnghu.org/en/indo-european%20revival/
    현대판 바벨탑이랄 만한 이런 인간들도 있지요ㅋㅋ
    Event Horizon
    단어들과 같은 경우에는 라틴어를 비롯한 로망스어의 영향을 많이 받은 언어이기는하지만, 기본적인 문법구조와 코어단어들로 보았을때 게르만계통이 맞다고하네요.
    근데 영어는 유럽언어 중에서도 이례적으로 다른 언어들의 영향을 다양하게 많이 받은 언어라고합니다. 그런면에서 "라틴계통 아니였어??"라는 반응도 당연한게 아닌가 싶습니다 ㅎㅎ
    라틴어는 동아시아의 개념으로 따지면 한자 같은 거라고 아해하고 있습니다. 일본어/한국어/중국어 다 언어적 특성이 다른데 3국에서 쓰이는 어휘는 한자에서 많이 파생된거랑 비슷하죠.
    새의선물
    뭐... 유럽에는 완전엉뚱한 핀란드어와 헝가리어가 있기도 하죠.
    Event Horizon
    네 그렇죠, 갈리아어도 로망스/게르만 이분류에 포한되지 않는다고도하고, 슬라브쪽 언어도 다른 취급을 받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로망스/게르만 이분류는 서유럽+베네룩스+독일 정도의 지역의 언어를 분류하는데 더 유용하다고하는게 맞겠네요.
    라이카
    핀란드어/헝가리어는 아예 인도유럽어족에도 안 속하는 우랄어족 놈들이라서...
    Event Horizon
    아 그렇군요! 우랄어면... 한국어가 우랄-알타이어 계통 아닌가요?
    라이카
    한국어 우랄알타이 설은 우리 어릴 땐 많이들 그렇게 배웠는데(나이 간접 인증인가요ㅠ ㅠ) 지금은 학계에서 폐기된 지 좀 됐어요. 그냥 동족 찾기 힘든 language isolate로 분류하는 걸로 알아요.
    Event Horizon
    아 그렇군요... 댓글 지우고 싶네요.... ㅠ_ㅠ ㅋㅋㅋㅋㅋㅋ
    Ben사랑
    한국어와 일본어의 관계는 어때요?

    알타이어족이라는 것 자체가 불분명한 분류라는데 맞는 말인가요?
    sway with me
    한국어와 일본어 모두 고립어로 여기는 것이 대세인 듯 하지만, 여전히 두 언어 사이의 친족관계를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Ben사랑
    답변 감사합니다.
    구밀복검
    스페인어가 메리트가 있는 것 같더군요. 일단 기본적으로 네이티브 쪽수도 많은데다가 일정 수준 이상 배우면 포르투갈어나 이탈리아어 및 남부 프랑스 방언 화자와도 버벅버벅 대화할 정도는 되니까.
    Event Horizon
    네 동의합니다. 특별한 이유없이 유럽언어를 배우고 싶으시다면 영어 빼고는 스페인어가 가장 실용성이 높다고 봅니다. 미국에서도 제2국어로 자리잡고있는데다, 남미 버프 덕분에 네이티브 쪽수도 엄청 많고, 다른 로망스 언어와의 연계도 가장 편한것 같더라구요. 특히나 포르투갈어와 스페인어가 그렇게 비슷하다고 하더군요.
    기아트윈스
    로망스어 계통은 그거 다 퉁쳐서 하나의 언어로 쳐야해요. 제 이탈리아 친구가 불어로 책을 읽더라구요. 그래서 불어는 언제 또 배웠냐고 하니 예전에 3주 속성 코스를 들었대요. 3주만 하면...된대요..-_-;

    그럼 또 다른 로망스어는 뭐 할 줄 아냐 물었더니 없대요. 왜 없냐니까 "스페인가서 이탈리아어하면 다 알아듣고 걔들이 스페인어하면 내가 다 알아듣는데 왜 그걸 따로 배우니 ㅋㅋ 스페니시 단어는 이탈리안 단어 뒤에 S만 붙이면 돼. 그라치에-->그라시아스"

    사기꾼들...
    Event Horizon
    맞아요! 작년에 브라질 친구가 스페인 출신 교수님이랑 이야기하는걸 봤는데 포르투갈어, 스페인어, 영어를 막 섞어서 얘기하더라구요. 대화 도중에 두 사람이 한참 웃길래 나중에 뭔 얘기했냐고 물어보니까, 스페인 교수님이 포르투갈어, 브라질 친구가 스페인어로 이야기를 하다가 친구가 "어...? 아 교수님 포르투갈어 쓰고 계셧군요! ㅋㅋㅋㅋㅋㅋㅋ"라고했다고

    그냥 스페인에서 특이한 지방억양을 쓰시는 줄 알았데요...

    우리는 중국어나 일본어 배우려면 문자부터 배워야하는데, 불공평합니다 ㅋㅋㅋㅋ
    재미있게 잘 읽었어요. 월터 스콧의 <아이반호>의 한 단락이 어렴풋이 떠오르는데, 12세기 영국 하층민들이 귀족들이 쓰는 말(불어-로망스어)과 자기들이 쓰는 말(색슨어-게르만어)을 가지고 농담따먹기를 하는 도중에 본문에 예시로 들어주신 단어도 나와요. 중딩 때 보고 영어는 되게 신박하다고 생각했던..
    http://ppss.kr/archives/46631 (기사 끄트머리쯤에 인용문이 있네요)
    Event Horizon
    이 기사 정말 재미있게 읽었어요! 아이반호를 예~전에 읽었는데 저런 부분이 있었는지 기억도 안나네요 ㅋㅋㅋ 전 영어 그냥 이상하다고만 생각했는데, 나중에 잘아는 분들한테 주워들으니까 신기한 언어인것 같기는하더라구요. 기사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002 영화영화 익스팅션: 종의 구원자를 보고 5 저퀴 18/08/05 6020 9
    12603 오프모임영화 온라인 모임 <팬텀 스레드> 8 간로 22/03/10 4214 2
    749 영화영화 속에서는 스타...현실은 개차반(?)... 7 Neandertal 15/08/08 7021 0
    1130 영화영화 소식들 짧게: 9/30 9 kpark 15/09/30 7091 0
    1061 영화영화 소식들 짧게: 9/22 14 kpark 15/09/22 6484 0
    1356 영화영화 소식들 짧게: 10/27 5 kpark 15/10/27 10919 1
    1290 영화영화 소식들 짧게: 10/19 14 kpark 15/10/19 9617 0
    1247 영화영화 소식들 짧게: 10/13 10 kpark 15/10/13 8015 0
    1182 영화영화 소식들 짧게: 10/06 27 kpark 15/10/06 8942 0
    993 영화영화 소식들 짧게, 몇 가지: 9/14 10 kpark 15/09/14 4857 1
    941 영화영화 소식들 짧게, 몇 가지: 9/07 15 kpark 15/09/07 6461 0
    858 영화영화 소식들 짧게, 몇 가지 13 kpark 15/08/28 5377 1
    10530 영화영화 사냥의 시간을 보고 13 저퀴 20/04/25 6446 3
    6298 일상/생각영화 딥 워터 호라이즌을 보고 있는데.. 6 CONTAXS2 17/09/17 3833 1
    10720 기타영화 공짜로 보는 사이트 추천 28 수영 20/06/27 11919 1
    14437 영화영화 A.I.(2001) 15 기아트윈스 24/02/06 2372 21
    9573 영화영화 <틴 스피릿> 예고편 (라라랜드 제작진, 엘르패닝 주연) 파오 19/08/23 5662 0
    658 영화영화 <암살> 재미없었어요. 18 한아 15/07/26 12699 0
    4134 일상/생각영화 <색, 계> (와 아주 살짝 관련된 이야기) 16 black 16/11/11 5172 17
    9808 영화영화 [조커] 를 보고 ----- 스포일러 있을 수 있음 3 멍청똑똑이 19/10/09 4830 9
    5585 기타영화 "노무현 입니다" 예고.swf 김치찌개 17/05/07 5104 3
    10827 영화영화 '톰보이(Tomboy)' 외신 기사 소개 17 에피타 20/07/30 5935 1
    11312 기타영조의 완론 탕평, 정조의 준론 탕평 피아니시모 21/01/02 6259 5
    1673 정치영유아 영어교육이야기 28 기아트윈스 15/12/01 6089 3
    11951 도서/문학영원한 인쉐옌 永遠的尹雪艷 下 7 celestine 21/08/01 4902 6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