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6/10/04 07:56:33 |
Name | Event Horizon |
Link #1 | https://www.youtube.com/watch?v=HbVOTJHA21k |
Subject | 영어의 두 얼굴: 게르만-로망스 |
타임라인에서 어떤 특정한 댓글을 보고 이 비디오가 생각나서 바로 작성해봅니다 ㅎㅎ https://www.youtube.com/watch?v=HbVOTJHA21k The Double Vocabulary of English (비디오의 내용을 거의 그대로 배낍니다) 영어에는 같은 의미의 단어가 두가지씩 존재하는 경우가 꽤 많은편입니다. 예를 들어서 이런 쌍들이 존재하죠. Begin-Commence Words-Vocabulary Folk-People Want-Desire 이러한 쌍이 존재하는 이유는 영어의 근원에서 찾을수있다고합니다. 영어의 기본은 게르만어라고합니다, 그러하여 영어의 기본적인 단어들과 문법형태는 독어와 유사한 형태를 띄고있죠. 하지만, 12세기경 영어에 새로운 바람이 불기 시작했다고합니다. 바로 노르망디 공국의 형성으로 인한 로망스 언어, 특히 불어의 영향을 받기 시작한겁니다. 그리하여 바로 위의 단어들은 좌측에는 게르만 출신의 단어, 우측에는 로망스 출신의 단어가 배치되어있는 것이죠. 여기에서 좀 재밌는 현상이 나타낫다고합니다. 아래의 단어들도 위와 마찬가지로 왼쪽은 게르만, 오른쪽은 로망스 단어들인데요, 단어들의 뉘앙스를 한번 곰곰히 생각해보시길 바랍니다... Buy-Purchase Belly-Stomach Brotherly-Fraternal Understand-Comprehend Needs-Requirements Laughable-Ridiculous 무언가 느껴지시는게 있나요? 왼쪽의 게르만 단어보다 오른쪽의 로망스 단어들이 조금 더 '고급진' 느낌을 준다는 생각이 혹시 안드나요? 이는 바로 노르망 공국 당시에 평민들은 게르만 계통의 민족으로 게르만 영어를 계속 사용했지만, 귀족과 왕족은 처음에는 프랑스 출신들이 많았고, 차후에도 그 영향 + 라틴어가 유럽 귀족들의 공용어가 되면서 고오오급진 귀족님들은 로망스 영어를 계속 사용했던 영향이 아직까지 남아있는것이라고합니다. 그 예로, 영어에서 평민들이 키우던 가축들의 이름은 게르만 단어들이지만, 귀족이 먹던 고기의 이름은 로망스 단어들이라고하네요. Cow→Beef Calf→Veal Deer→Venison Pig→Pork Sheep→Mutton 처럼요. 물론 모든 게르만-로망스 단어쌍이 로망스 단어가 더 고급진 느낌을 주는건 아닙니다. 아래의 단어들과 같은 경우가 그렇죠: Uncouth-Rude Blossom-Flower Deem-Judge Foretell-Predict Seethe-Boil 이 단어들은 왜 관계가 역전이 되었을까요? 이는 바로 셰익스피어부터 시작해서 빅토리아 시대까지 영국의 문학가들이 '원형의 영어'를 더욱더 발전시키고 좋게 만들기 위한 숱한 문학적 노력의 여파라고합니다. 좀 더 평민들이 쉽게 공감하고, 전통적인 영어단어들로 귀족들까지 향유할수있는 작품들을 만들려고 하다보니 오히려 게르만 단어들이 더 고급져보이게 된거라고 보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게르만-로망스 쌍이지만, 두 단어 사이에 우위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 단어들도 존재합니다. Woods-Forest Anger-Rage Forbid-Prohibit Gift-Present Thought-Idea Wed-Marry 와 같은 단어들이 그렇죠. 결론은... 영어는 유럽의 거의 모든 언어들을 중간 중간에 배끼고, 뺏고, 스스로 발전하기도하고, 하여튼 성장과정이 복잡한 언어라서 외국인, 특히 비유럽 언어권 출신의 사람들에게는 참 불친절한 언어라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ㅋㅋㅋ 6
이 게시판에 등록된 Event Horizon님의 최근 게시물
|
셰익스피어까지 읽을수있겠다!하고 베어울프를 들어보는 순간 충격과 공포에 빠졌던 악몽이..... 다른 유럽쪽도 그럴것 같기는한데 제가 능력이 모잘라서 확실히는 모르겠네요 ㅎㅎ
네, 유럽권 언어 중 뭐든 하나만 어느 정도 하면은 다른 언어들을 배우는게 훨씬 쉬워지는 것 같기는해요. 영어 같은 경우가 특히나 사람들이 자주 접하는 유럽 언어 원형의 두가지의 영향을 크게 받은 언어라 그런면에서 좋을수도...? 저런 단어들의 쌍뿐만 아니라, 영어 문법에서 괜히 복수형태나 과거형이 '규칙'을 따르지 않는 예외들도 이 게르만/로망스 어원을 ... 더 보기
네, 유럽권 언어 중 뭐든 하나만 어느 정도 하면은 다른 언어들을 배우는게 훨씬 쉬워지는 것 같기는해요. 영어 같은 경우가 특히나 사람들이 자주 접하는 유럽 언어 원형의 두가지의 영향을 크게 받은 언어라 그런면에서 좋을수도...? 저런 단어들의 쌍뿐만 아니라, 영어 문법에서 괜히 복수형태나 과거형이 '규칙'을 따르지 않는 예외들도 이 게르만/로망스 어원을 ... 더 보기
셰익스피어까지 읽을수있겠다!하고 베어울프를 들어보는 순간 충격과 공포에 빠졌던 악몽이..... 다른 유럽쪽도 그럴것 같기는한데 제가 능력이 모잘라서 확실히는 모르겠네요 ㅎㅎ
네, 유럽권 언어 중 뭐든 하나만 어느 정도 하면은 다른 언어들을 배우는게 훨씬 쉬워지는 것 같기는해요. 영어 같은 경우가 특히나 사람들이 자주 접하는 유럽 언어 원형의 두가지의 영향을 크게 받은 언어라 그런면에서 좋을수도...? 저런 단어들의 쌍뿐만 아니라, 영어 문법에서 괜히 복수형태나 과거형이 '규칙'을 따르지 않는 예외들도 이 게르만/로망스 어원을 따라가면 알수있는 경우가 있다는 이야기도 들었는데, 그건 원래 봤던 자료를 못찾아서 패스...
유럽애들은 로망스 언어중 하나만 하면 다른 로망스 언어들 배우기가 상대적으로 너무 쉬워서... 그건 다개국어 하는걸로 치면 안된다고 심술부리고 싶습니다, 걔네는 조금 많이 다른 사투리 여러개하는거죠!!
네, 유럽권 언어 중 뭐든 하나만 어느 정도 하면은 다른 언어들을 배우는게 훨씬 쉬워지는 것 같기는해요. 영어 같은 경우가 특히나 사람들이 자주 접하는 유럽 언어 원형의 두가지의 영향을 크게 받은 언어라 그런면에서 좋을수도...? 저런 단어들의 쌍뿐만 아니라, 영어 문법에서 괜히 복수형태나 과거형이 '규칙'을 따르지 않는 예외들도 이 게르만/로망스 어원을 따라가면 알수있는 경우가 있다는 이야기도 들었는데, 그건 원래 봤던 자료를 못찾아서 패스...
유럽애들은 로망스 언어중 하나만 하면 다른 로망스 언어들 배우기가 상대적으로 너무 쉬워서... 그건 다개국어 하는걸로 치면 안된다고 심술부리고 싶습니다, 걔네는 조금 많이 다른 사투리 여러개하는거죠!!
저도 언어학 전문가는 아니라 틀릴수도 있지만 대~~강 얘기하자면 아메리카대륙/서유럽은 거의 라틴어근인것 같고요.. 그리스어도 라틴어랑 다른듯 비슷한듯 한것 같아요. (라틴어랑 1:1대응 되는 번역본 이름들이 있어서.. 그리스로마신화의 신들 보면 라틴어이름 그리스어이름 다 따로 있고 성경의 사도바울도 로마시민이었는데 헬라어(그리스어)로 성경을 썼구요..)
그 외의 동유럽부터 아시아, 아프리카 쪽은 라틴어랑 관련 없는 것 같아요.
아무래도 언어가 역사/문화적으로 융합되고 바뀌니까 로마역사/서유럽역사대로 라틴어가 퍼진것 같아요.
전문가분들 어서 오셔서 지적해주시고 고쳐주세요!!
그 외의 동유럽부터 아시아, 아프리카 쪽은 라틴어랑 관련 없는 것 같아요.
아무래도 언어가 역사/문화적으로 융합되고 바뀌니까 로마역사/서유럽역사대로 라틴어가 퍼진것 같아요.
전문가분들 어서 오셔서 지적해주시고 고쳐주세요!!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b/b5/IndoEuropeanTreeDielli1.svg
위키피디아에서 이걸 찾았습니다... ㄷㄷㄷ
저희가 지금 다루고있는 언어는 다들 인도-유럽계 언어들이고 그 아래로 대분류가 (*주의* 비전문가의 발번역이 시작됩니다)
1.알바니아 2.헬라어 3.인도-이란 4.이태리 5.갈리아 6.게르만... 더 보기
위키피디아에서 이걸 찾았습니다... ㄷㄷㄷ
저희가 지금 다루고있는 언어는 다들 인도-유럽계 언어들이고 그 아래로 대분류가 (*주의* 비전문가의 발번역이 시작됩니다)
1.알바니아 2.헬라어 3.인도-이란 4.이태리 5.갈리아 6.게르만... 더 보기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b/b5/IndoEuropeanTreeDielli1.svg
위키피디아에서 이걸 찾았습니다... ㄷㄷㄷ
저희가 지금 다루고있는 언어는 다들 인도-유럽계 언어들이고 그 아래로 대분류가 (*주의* 비전문가의 발번역이 시작됩니다)
1.알바니아 2.헬라어 3.인도-이란 4.이태리 5.갈리아 6.게르만 7.아르메니아 8.발토-슬라빅으로 분류된다고합니다.
1번의 대표어는 알바니아어
2번은 그리스어
3번은 산스크리트, 힌두어, 파슈토, 쿠르드어, 페르시아어 등
4번은 라틴, 루마니아어, 불어, 이태리어, 스페인어 등등
5번은 아일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등의 갈리아어
6번은 독어, 네덜란드어, 영어, 아프리칸등
7번은 아르메니아어
8번은 슬라브어, 폴란드어, 러시아어 등등이 있다고하네요
다른 댓글에서 언급된 헝가리, 핀란드어 등은 아예 이 분류 밖의 언어들인가보네요.
위키피디아에서 이걸 찾았습니다... ㄷㄷㄷ
저희가 지금 다루고있는 언어는 다들 인도-유럽계 언어들이고 그 아래로 대분류가 (*주의* 비전문가의 발번역이 시작됩니다)
1.알바니아 2.헬라어 3.인도-이란 4.이태리 5.갈리아 6.게르만 7.아르메니아 8.발토-슬라빅으로 분류된다고합니다.
1번의 대표어는 알바니아어
2번은 그리스어
3번은 산스크리트, 힌두어, 파슈토, 쿠르드어, 페르시아어 등
4번은 라틴, 루마니아어, 불어, 이태리어, 스페인어 등등
5번은 아일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등의 갈리아어
6번은 독어, 네덜란드어, 영어, 아프리칸등
7번은 아르메니아어
8번은 슬라브어, 폴란드어, 러시아어 등등이 있다고하네요
다른 댓글에서 언급된 헝가리, 핀란드어 등은 아예 이 분류 밖의 언어들인가보네요.
재미있게 잘 읽었어요. 월터 스콧의 <아이반호>의 한 단락이 어렴풋이 떠오르는데, 12세기 영국 하층민들이 귀족들이 쓰는 말(불어-로망스어)과 자기들이 쓰는 말(색슨어-게르만어)을 가지고 농담따먹기를 하는 도중에 본문에 예시로 들어주신 단어도 나와요. 중딩 때 보고 영어는 되게 신박하다고 생각했던..
http://ppss.kr/archives/46631 (기사 끄트머리쯤에 인용문이 있네요)
http://ppss.kr/archives/46631 (기사 끄트머리쯤에 인용문이 있네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