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7/01/31 19:54:51
Name   셀레네
File #1   20170127_232405.jpeg (154.2 KB), Download : 9
Subject   저희집 차례(제사)상 소개합니다.


1년에 4번이며 기제사랑 봉제사? 추석, 설날 지냅니다. 열명이 넘는 친척들이 오는지라 음식을 많이 할 수 밖에 없지만
요즘도 이렇게 상다리가 휘어지도록 상을 차리는가 싶습니다. 푸짐하면서 좀 난잡한 느낌이랄까..저기 차려져 있는 음식들을 빼고도
전이며 나물, 새우, 과일 등은 잔뜩 있습니다. ㅠㅠ
다른집은 어떨까 싶어 올렸습니다.



0


    베누진A
    헐.. 상 차리느라 많이 힘드셨을듯..
    셀레네
    저것도 합친겁니다. 10번을 해본다고 생각하시면 gggg
    제물 배치는 그때 그때 하시나요?

    저는 매년 바뀌는데 저보고 뭐라 하시는데 죽겠습니다.
    셀레네
    비슷비슷하게 합니다 ㅠㅠ 한두가지 조금 바꾸기도 하지만
    April_fool
    으아… 밥그릇 개수가…
    셀레네
    저기에는 증조부 첩실밥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ㅠㅠ
    April_fool
    사실 저희 집도 총 9분을 모시고 있으니 남말 할 처지가 아니긴 한데, 저희 집은 저렇게 한 상에 몰아서 지내지는 않거든요.
    Beer Inside
    푸짐한 것을 빼면 그리 어려워 보이지는 않습니다.

    밥그릇 갯수가 많으니 평소의 고단함이 느껴지기는 합니다.

    차례상을 저 혼자서 차려본 경험도 있는데 나물은 구입, 전은 상에 놓을 것 만, 생선은 조기 한마리, 탕국도 구입으로 하지 그리 어렵지는 않더군요.

    지난 추석에는 나물, 전, 산적, 닭을 시장에서 사고 나머지만 했더니 국만 끓여서 올리면 되더군요.

    사실 가짓수 늘리려면 과일 종류별로 놓고, 한과 좀 놓으면 상을 채우는 것은 어렵지 않더군요.
    April_fool
    근데 실제로 차리시는 분은 그렇게 생각 안 하는 경우가 많죠.
    “그래도 이 정도는 해야 하지 않겠냐.” 하시는데… 좀 답답하죠.
    April_fool 님 마음 충분히 이해되어요!
    좌하단의 저것은 황남빵?!
    배 2단으로 쌓으신 거 귀여워요 ㅎㅎ
    캡틴아메리카
    떡국은 안 올리는 군요. ㅎㅎ
    보통 차례상은 최대 4대까지 지내니까 밥그릇 여덟 개가 맥시멈이라고 생각했는데 증조부님네 작은할머니도 계셨군요.
    명절날 상차림의 어려움은 음식 장만하는 일 자체(전부치기로 대표되는)보다는 손님이 얼마나 많으냐에 달렸지요. 음식들을 각각의 특성에 맞게 적절한 장소에 보관했다가 플레이팅하기(귀신용), 제사를 마치고 상이 나왔을 때 급속히 음식을 갈무리해 유저들의 밥상으로 재플레이팅하기(식당에서 갑자기 손님이 들이닥쳐 밥 달라고 기다리고 있는 상황에서 주방의 곤혹스러움), 어르신들 밥상 서빙하기, 그러면서 동시에 주방 담당자들은 자기... 더 보기
    보통 차례상은 최대 4대까지 지내니까 밥그릇 여덟 개가 맥시멈이라고 생각했는데 증조부님네 작은할머니도 계셨군요.
    명절날 상차림의 어려움은 음식 장만하는 일 자체(전부치기로 대표되는)보다는 손님이 얼마나 많으냐에 달렸지요. 음식들을 각각의 특성에 맞게 적절한 장소에 보관했다가 플레이팅하기(귀신용), 제사를 마치고 상이 나왔을 때 급속히 음식을 갈무리해 유저들의 밥상으로 재플레이팅하기(식당에서 갑자기 손님이 들이닥쳐 밥 달라고 기다리고 있는 상황에서 주방의 곤혹스러움), 어르신들 밥상 서빙하기, 그러면서 동시에 주방 담당자들은 자기 밥도 챙겨먹어야 하고요. 끝난 뒤 엄청난 설거지거리와 정리정돈까지. 그러면서 친척들 말상대도 해주어야 하고 군번 낮은 주방 신참들 교육도 같이 해야 하고... 저희 어머니는 시어머니(저희 할머니)가 살아 계실 때는 설날 하루에 손님 56명을 치렀대요. 너무 힘들고 서러워서 한 명 한 명 세어보셨다고.
    주방이 넓으면 그나마 일이 편하지요. 엄마가 넓은 아파트로 이사가고 싶어하셨던 가장 큰 이유 중의 하나였대요.
    저희는 손님이 moira 님 댁 정도로 많지는 않지만, 이번 설에 어머니 말씀하시길: "라곰 아부지, 넓은 집이 안 되몬 주방 리모델링이라도 합시다. 이 기름진 음식 냄새 때문에 이제는 살짝 속이 역할라 카는데 바깥에 내놓을 데도 없잖아요, 좁아서! + ㅅ +"

    물론 아버지는 한 귀로 듣고 흘리셨지요 ㅠ ㅅ ㅇ ㅋㅋ
    아아 몇 년 전에 할머니가 돌아가신 뒤에 친척들 사이에 제사 구조조정을 크게 해가지고설랑 이제는 명절 손님이 거의 없어요. 거의 소꿉장난 수준으로 일이 줄었대요. 저는 시댁 차례를 지내고 귀향하기 때문에 친정 제삿상은 구경 못 하고 남은 음식만 처리해요 ㅋㅋ 엄마는 아주 홀가분해하시고 좋아하시면서도 약간은 아쉬워하세요. 아파트 평수도 줄여서 작은 집으로 이사가셨고...
    제사 음식이 파티 음식과도 달라서 참 골치아픈 게 주최자가 주체적으로 메뉴를 짤 수 없다는 거 같아요. 부침개 하나 과일 하나 빠져도 말이 많고 새로운 음식 하나 상에 올려도 말이 많고.
    화공유체역학
    저희집에 비해서 엄청 푸짐하네요 ㅇ.ㅇ
    저희랑 비슷하네요. 하지만 이제 하지 않습니다. ㅋ 다 절에 보냈거든요.
    와... 무시무시하네요
    저희집은 갱(국)을 옆으로 같이 올리기 때문에 한상에 안되어 두번씩 지냈죠. 그러다가 기제사를 한대를 줄여버려서.. 이제 기제사 5번 밖에 안된다는..제사상이야 동네마다 다른건데 저희는 저기에 문어 돔베기 정도 더 들어갈려나요. 나물도 좀 있고요.전체적 가지수는 저희집이 더 많습니다. 함정은 예전엔 다 직접하던거를 요즘 몇 아이템은 사는 정도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476 요리/음식그대의 뽀얀속살을 그 위에서 보았을때 내 심장은... 11 다시갑시다 17/04/20 5875 7
    5474 요리/음식집에서 스테이크 구우면 맛이가 없는 이유 35 Morpheus 17/04/19 7937 15
    5382 요리/음식딸기를 갈아먹자 16 녹풍 17/04/06 5681 5
    5297 요리/음식애슐리 딸기 시즌 간단평 : 빛 좋은 개살구 7 고난 17/03/26 4978 1
    5160 요리/음식이런 날은 삼겹살 13 녹풍 17/03/12 4905 5
    5017 요리/음식茶알못의 茶리뷰 21 사슴도치 17/02/27 6722 6
    5006 요리/음식1인분 삼겹살 밀푀유 나베 27 HD Lee 17/02/25 10817 14
    5002 요리/음식당면고로케를 그리며 3 시커멍 17/02/25 6318 2
    4924 요리/음식초딩인 동네 꼬마가 된장국을 끓여줘서 먹었어요. 15 진준 17/02/18 5624 5
    4729 요리/음식저희집 차례(제사)상 소개합니다. 19 셀레네 17/01/31 6582 0
    4718 요리/음식새우 소금구이 — 손쉽고 저렴한 대박 안주 16 녹풍 17/01/28 7133 8
    4686 요리/음식어떤 백작과 짝퉁 홍차 10 사슴도치 17/01/24 6100 15
    4580 요리/음식돼지 보쌈 집에서 만들기 18 Liebe 17/01/09 7892 2
    4577 요리/음식안주로도 반찬으로도 괜찮은 양송이 버섯 구이 21 녹풍 17/01/09 13116 3
    4545 요리/음식혼자 밥해먹을때 좋은 간단한 라면 레시피 10 쉬군 17/01/05 4928 2
    4387 요리/음식2016 신규라면 14 헬리제의우울 16/12/15 6338 2
    4310 요리/음식미네스트로네 수프 레시피와 주절거림 (야매주의, 계량법 없음 주의) 18 elanor 16/12/06 6626 2
    3997 요리/음식주말 LCHF 요리! 12 쉬군 16/10/24 6234 2
    3959 요리/음식광주출신 40대 아재 고향 광주에서 블로거지에 낚여 멘붕한 날. 26 tannenbaum 16/10/19 5892 5
    3730 요리/음식여러분 KFC 가세요 두번 가세요 26 바밥밥바 16/09/20 4871 1
    3513 요리/음식오늘 인천 차이나타운에서 먹은 것들 5 Raute 16/08/14 4543 0
    3463 요리/음식알콜의 극과 극 25 SCV 16/08/06 5345 2
    3246 요리/음식여행 + 음식. 식재료 자랑. 20 졸려졸려 16/07/11 5853 1
    3228 요리/음식콩밥 좋아하시나요? 29 얼그레이 16/07/08 7042 0
    3177 요리/음식월요일날 가볼 후보로 꼽은 뷔페음식점 몇군데 3 klaus 16/07/02 5054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